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04-02 14:41
[질문] 궁금한게 있는데요..
 글쓴이 : 주영
조회 : 1,073  

같은 종류의 스텔스(성능이 비슷한)가 교전한다면 어떻게 격추시키나요? 레이더 안잡히니까.. 눈으로 보고 격추? 하나요? 갑자기 궁궁하네요,,ㅡㅡ;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주영 19-04-02 14:58
   
말도 안되는 질문인가....ㅡㅡ;
     
TTTTTTT 19-04-03 06:57
   
ㄴ 같은 종류의 스텔스(성능이 비슷한)가 교전한다면 어떻게 격추시키나요? <= 스텔스기끼리는 IRST(적외선 탐지기)로 추적합니다. 요즘 최신형 모델은 사거리가 70 km정도 나옵니다. 그래서 KF-X에는 하방 적외선 탐지기는 탈착식 옵션이라도, 전방 적외선 탐지기는 기수에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IRST로 상대방 식별후, 초음속 순항으로 접근해서 열추적 미사일로 근접전 하는 거지요. 그래서 스텔스기 시대에 기동성이 더 중요해진거고요. 스텔스로 인해 레이더 추적 장거리 미사일 대신에 열추적 미사일로 승부하는 근접전이 될 확율이 올라가기 때문이지요.
          
주영 19-04-03 09:52
   
어떤건지 이해가 돱니다.. 감사합니다~
Anarchist 19-04-02 14:58
   
인정받는 스텔스기는 미국 밖에 없기에 아직은 예측 불가능하긴 하지만..
잠수함끼리 교전과 유사할 거라 생각하지요..잠수함도 물 속에서는 스텔스기능이 자동 추가되는 효과가 있으니..
잠수함간 교전은 사실상 굉장히 힘들지만 보통 먼저 보고 먼저 쏜 놈이 이기지요..
스텔스기끼리 교전도 탐지자체가 힘들지만 탐지된다면 먼저 보고 먼저 쏜 놈이 이긴 게임이겠지요..
     
주영 19-04-02 15:00
   
아.. 답변 감사합니다~!
     
Anarchist 19-04-02 15:31
   
잠수함이 물 속에서 스텔스기능이 자동추가된다고 했지만 사실 소음감소를 위해 엄청 노력하죠..스크류 설계, 외부 방음 타일 장착,내부 소음 감소 장치 추가 등..이 부분을 추가해야겠군요..
          
주영 19-04-02 15:45
   
감사합니다.~
구름위하늘 19-04-02 15:19
   
스텔스의 효과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합니다.
즉, 거리가 가까워지면 스텔스 효과는 급격하게 없어집니다.
RCS와 레이더 출력에 따라서 다르기에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인테넷 자료를 보면
F-35 급의 스텔스도 40Km 정도면 일반 전투기에 탐지되는 것으로  이야기되네요.
근접하면 서로 보면서 싸우게 되는 것이죠.
     
주영 19-04-02 15:29
   
아~! 40Km 정도면 탐지가 되는 거군요~ 감사합니다~!
야구아제 19-04-02 16:08
   
레이더에 매우 작게 잡힌다는 것이지 안 잡힌다는 뜻은 아닙니다.

원거리의 경우 레이더에 포착된 물체가 무엇인지 판단하기 어려워 대처가 힘들다는 것이죠.

하지만 프로그램의 발달과 컴퓨터 처리 속도의 발달로 머지 않아 지금보다 훨씬 효율적인 대비책이 나타나리라 봅니다.

문제는 전투기 단위에서는 절대적으로 우위지만요.
     
주영 19-04-03 09:53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밀게는 무식한지라~
태강즉절 19-04-02 17:33
   
안 잡히는게 아니라..(근접할때까지) 늦게 잡혀...대처할 시간이 줄어든다는게 문제지..완전 투명이 아닙니다.
적 레이더 탐지 영역이 줄어드니..그 사각지대로 자객처럼 샤샤삭 몰래 들어와 ..먼저 쏘고 토끼고...야비하게^^
잡설
구름 한점없는 맑은 하늘에서 ...창밖을 보는데..멀리 까만점 하나가..그냥 그렇게 한참동안 보이다가..
갑자기 확대되더니...굉음을 울리며 스쳐 지나갑디다..이쪽 뱅기가 능청할 정도로...근접해서..
그러더니 다시 까만점으로 화해 한동안 보이더군요...
서로간에 시속 9백키로  언저리면... 쌍방간 1,800으로 스쳤다는 소린데.
그럼 엄청나게 먼거리에서부터 그 뱅기를 목격했다는 야그고...
아마 눈 좋은 조종사들은 생각보다 엄청 먼거리에서도 적기를  육안으로도  확인할거라는...그런 생각이..
     
주영 19-04-03 09:54
   
답변 감사드려요~!^^;
sangun92 19-04-02 18:08
   
스텔스 : 탐지용 레이더 전파를 적게 반사하거나 흡수해서,
            레이더에 매우 작은 물체로 인식되도록 하거나 아예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
            레이더 탐지 가능성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역으로, 가까울수록 탐지가능성은 제곱으로 증가)

그런데 지금 논하는 것은 전파에 의한 탐지를 이야기하는 것임.
적기를 탐지하는 기술은 전파에 의한 탐지 뿐만 아니라, 광학적 탐지, 열탐지 기술도 있음.
다만 광학적 탐지와 열탐지 기술은 레이더 전파에 의한 탐지와 비교하면 원거리에서의 탐지 능력이 떨어짐.
그래서 전파에 의한 장거리 탐지를 선호하는 것이고, 이를 회피하기 위해 스텔스 기술이 개발된 것.

그러나, 거리가 가까워지면, 광학적 탐지나 열탐지에 의해서 적기를 인식할 수 있음.
요즘은 이들 기술의 적용가능 거리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미국은 새로운 열탐지 센서와 기체간 상호 데이터교환 기술을 이용하여 장거리 열탐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음.
이를 이용하여 스텔스기 탐지를 시도하고 있고.
F-18E/F block III에 이 기술을 탑재하여 스텔스 탐지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하며
이 기술을 전 F-18E/F에 탑재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 한다고 함.
     
주영 19-04-03 10:25
   
아..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나그네x 19-04-02 22:01
   
스텔스 기체라고해서 SF영화에서나 나오는것처럼 레이터에 안잡히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 기체에 비해 작게 잡힌다는것 뭐 그 차이가 영화가 아닌 현실 전장에서는 크게 작용하지만.
     
주영 19-04-03 10:25
   
답변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