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6-21 23:45
[잡담] 재돌입?
 글쓴이 : 더러운퍼기
조회 : 2,996  

사실상 재돌입 기술이 가장 어렵다고 봅니다.
문제는 한국에 재돌입..즉 리엔트리 관련 연구하는 사람이 있나여?
기초과학에 투자안하고 무작정 눈에 보이는 성과만 추구하면..
언젠가는 한계에 부딪힐겁니다.
우리도 나사처럼 사람태워서 우주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우주왕복선 같은거 할려면 앞으로 갈길이 멉니다..
이제 겨우 첫발을 뗏다 정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돌개바람 22-06-21 23:47
   
ICBM같은 재돌입 기술은 핵을 보유 하지 않으면 필요가 없는 기술입니다
유인 우주선이 지구로 재돌입 하는건  내열소재와 공기저항을 가장 적게
받는 진입각도만 맞추면 되는거라 내열소재인 세라믹이 있어서
우주선의 대기권 재돌입은 그렇게 어려운 기술은 아닙니다.
     
방탕중년단 22-06-22 11:05
   
현무4의 신의 지팡이 급 텅스텐 탄두를 생각하면... 굳이 핵탄두가 아니라도 충분히 연구해야 하는 부분 아닐까요?
archwave 22-06-21 23:52
   
재돌입 연구하는 사람이야 당연히 있죠.

비록 무인이긴 하지만 곧 달 착륙선도 쏘잖아요.
달 착륙시키고 그냥 달에 영원히 주차시켜놓을거 아니고 지구로 귀환시켜야죠.
귀환시켜서 지상에 착륙해야 할테고요.

다만 미사일 탄두처럼 마하 20 으로 재돌입하는 것이 아니라, 엄청 속도를 낮춰가면서 재돌입시킬테니, 무기 용도에서 말하는 재돌입과는 다른 얘기입니다.
     
더러운퍼기 22-06-22 00:00
   
그렇군요..오히려 속도 낮추면서 재돌입하는게 더 어려울듯..그때 발생하는 엄청난 열을 어떻게 컨트롤하느냐가 관건일듯..
          
archwave 22-06-22 00:04
   
아뇨 더 쉽습니다.

막말로 세라믹 떡칠하고 내열제 두텁게 바르기만 하면 되거든요. 내열제가 타고 녹고 증발해버리면서 열을 빼앗아가니까요.
               
더러운퍼기 22-06-22 00:05
   
밑에 하염없어님과 반대되는 주장을 하시네여..전 하염님 말이 맞다고 봅니다
하염없어 22-06-22 00:00
   
재돌입 기술은 우주왕복선이나 소유즈 귀환선 같이 생명을 보호하면서 최대한 대기권 받음각을 조절하며 열과 충격파에 안전하게 감속해야 하는 기술이 어려운 거고,  어차피 icbm 같은 무기용 재돌입 기술은 속도는 도리어 빠를 수록 좋고,  거주 공간 따질 필요없으니 최대한 단순한 원뿔형 모형으로 원하는 위치에 정확도만 중요한 기술은 난이도가 높지 않습니다.
     
ijkljklmin 22-06-22 07:13
   
ICBM은 near vertical reentry, 우주선은 최대 감속하는 floating reentry 형태로 진입합니다.
기체에 가해지는 thermal load와 dynamic pressure load는 당연히 ICBM RV에 가해지는 것이 가혹합니다. 기체의 입장에서만 보면 ICBM RV의 재진입이 우주선의 재진입보다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나 우주선은 탑승해 있는 내부의 우주인을 열, 압력, 가속도, 낙하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까다롭고 어려운 것이지 우주선 기체의 보호 때문에 ICBM보다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ICBM은 자신의 기체가 삭마되면서 들어오지만 우주선은 조건 덜 가혹하기 때문에 SiC 타일/코팅등으로 삭마 없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ICBM RV의 요격의 관점에서 낙하속도가 빠를 수록 좋겠지만 무조건 높히면 thermal load와 dynamic pressure load에 의해 타버리거나 깨져버리기 때문 한계가 있어 AOA를 0으로 자유낙하하는 것은 아닙니다.
ㅎㅎㅎㅎ호 22-06-22 00:10
   
저는 이미 재돌입 기술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우리 나라서 제한된 영공내에서 탄도미사일시험 하기 위해서
고각발사를 일상처럼 하고있습니다

이게 뭔말이냐 탄도미사일이 고고도로올라갔다가

내려와서 표적을 맞췄다 =재돌입기술 가지고있다죠

현무4가 2톤탄두 정상각도 기준 800km 인데

 시험발사때 400km날라가 표적 맞추었다고했죠

이말은 이미 대기권 나갔다가 다시 진입했을것같네요

그리고 현무4? 만들면서 그대로 낙하하면 탄두파괴된다고해서

속도줄이는 감속단계 언급했죠(벙커버스터로 지면과 충돌 해야하니)

재돌입기술다가지고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북한 기술 비교하면서 탄두의 팝업기동 같은것도

가능하다고 했었죠? 탄도미사일에 진심이죠

당장 현무4 탄두중량 0.5톤 하면 2000km이상 날아갈껍니다
실질적으로 IRBM이죠

거기다 고체연료 위성발사체 시험발사도했죠

이건 사실상 ICBM이죠

단분리만 2번인가 3번인가 했으니까요
ㅎㅎㅎㅎ호 22-06-22 00:15
   
고온 고압 견디는 재료를 극초음속미사일 개발하면서 적용하고 있으니  탄두 만드는건 문제 안된다고 봅니다

지금 SiC로 터빈 블레이드, 코어 엔진도 만들고있으니~ 더욱 문제 안될것같네요
가생일껄 22-06-22 00:18
   
지금껏 진행된 누리호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쉬운기술이죠.
이미 현무 탄도미사일을 통해 일정부분 기술 축적도 되있구요.
말은 많지만 북한도 기술개발했다 점쳐지는 기술인데
무슨 가장 어려운 기술이겠습니까?
구름위하늘 22-06-22 09:47
   
재돌입이 기초과학이라고요?
응용과학 입니다.

그리고, 저는 기초과학을 응용과학의 우위에 두는 사람들 중에서 과학을 제대로 알고 말하는 사람을 별로 본 적이 없네요.

응용과학도 기초과학도 둘 다 중요한 것 입니다.
머야이게 22-06-22 18:25
   
1차 누리호 발사때 더미위성이 다 타질 않고 낙하해서 실상 탄두 재진입 실험이 아니었나 하는 루머가 돌았고
반박 인터뷰도 하는일이 있었죠. 비행 궤적이 ICBM과 유사해서요.
사실이 어떤진 모르죠..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