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10-13 18:18
[질문] 구룡을 해군으로 업글가능한가요? 아니면 안되는 이유좀 아는분들
 글쓴이 : 티아라떼
조회 : 2,136  

천무나오면 효용성도 떨어질테고 독도나 나중에 마라도.7광구 대비해서 해경끼리 대치할때 수평선25km너머 대기하는 해군견제용으로 딱일듯한데요 대치시에 일본 이지스함도 구룡다연장 막긴 힘들꺼 같아서요 5트럭분만 고속함급에나 초계함에 탑제해도 심리적아박용으로도 죽일꺼 같음ㅋㅋ너무갔나요 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procc 15-10-13 18:21
   
구룡이라는게 무유도탄이라서 정확도가 별루 없습니다..
거기에다 배에다 장치하게되면 평지에서 쏴도 제대로 안맞는데 출렁이는 바다위 배에
장치 한다고 생각 해보세요..
돈낭비 시간 낭비 할 이유가 있을까요???
스마트MS 15-10-13 18:57
   
아주 가까운. 근거리내에서.불시에 발사하는것이라면. 가능성은 있을지 모르겠지만
.팰렁스나. 골키퍼. 혹은  AK630등 CIWS의 요격능력이라면. 대응가능할듯 싶기도 하고.

 상륙전시.이나. 기타 대지공격 분야라면 모를까. 함대함 교전시에 다연장 로켓이 유용한 화기는 아닐듯 싶네요
ㅎㅎ.

아.고속정용.탑재 로켓이라면. PKX-B에 12연장 130mm LOGIR가 개발중에 있긴 하지만. 침투정 이나 공기부양정 등. 소형 수상함 타격을 주임무로 하는 예상되기에  000톤 급 이상의 선체에는 큰 데미지를 줄수 있을지가..

뭐. 중국에서는.함대지. 대구경 로켓인 타입- 96 300mm 8연장을 함상용 개발한다더라...라는 이야기는 얼핏 접해보긴 하였지만. ws-1/2 계열이라면. 흠. 위력적일듯 싶기도 하네요.
꾸암 15-10-13 19:24
   
kggb나 천무를보듯 구룡또한 유도기능을달면 딱히 해군용이아니더라도 지대지로 효율적일것 같네요.
영웅문 15-10-13 19:46
   
구룡의 사거리는  23∼36㎞정도죠.
이뿐 아니라 명중률이 떨어지죠.

함포를 쏘든 미사일을 쏘든 해안포등의 사거리로부터 벗어난 곳에서 발사할수 있어야죠.
23~36km는 너무 짧죠.

그리고 구룡의 화력이 너무 협소하죠.
자바커피 15-10-13 22:29
   
구룡이라는 무기체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네요.

구룡같은 무유도 로켓은 적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고(자체 목표획득 수단이 없음)

목표가 가급적 이동하지 않는 고정목표여야 하고(전진된 중/대대진지등 또는 동급의 전진된 야전 HQ)

또는 이동목표일 경우 이미 탄착지 잡아 놓은 일종의 매복화력지대를 통과하는 병령에게

이런곳에 화력을 한순간에 쏟아 넣고 그대로 그자리를 이탈하는 일종의 히트앤 런 계열의 무기 입니다.


여기에 유도시스템이 없는 로켓시스템의 특성상 사거리가 길어질수록 공기저항에 따른 공산오차가 미친듯이 늘어나고 여기에 측풍에 약한 특성상 바람이 좀 부는 날에는 공산오차가 미친듯이 늘어납니다.


이걸 함정에 올린다면 어떤곳에서 어떤 목표물을 어떤목적으로 사용해야 할까요?


참고로 PKX-B에 올라가는 130mm 로켓은 실패한 번개사업의 재활용으로 유도로켓입니다.
육상의 복잡한 지형과 배경, 은폐, 엄패수단을 구분하고 적을 찾는 시커개발은 엄청 난해하지만
바다라는 육지에 비해 거의 평평한 상태에 혼자 갑툭튀하고 바다와 함정의 온도차 극명해 단순한 시커로도 구분이 가능해서 기존에 개발하던 시커를 단순화 시켜 저가 저성능으로 시커를 달아 유도해 줍니다.

여기에 로켓의 특성상 고점까지 올라가는 중간과정에선 시커가 목표표적을 찾지 못하기 때문에 로켓을 발사한 모함에서 표적 정확도를 올리기 위한 중간유도 기능까지 넣습니다. 

이렇게 해봐야 사용가능한 표적은 주로 근거리 전투하는 고속정이나 공기부양정등의 소수표적에나 적합합니다.


글쓴이가 언급한 이지스에 쏘려면 로켓 달은 고속정이 일단 일본 이지스의 대함 미사일에 8척 수장되고
구룡로켓보다 사거리가 긴 127mm 함포사격을 묵묵히 견뎌 로켓의 사거리에 이지스함을 두고 무유도로켓을 발사한후 무유도로켓이 날아가는 동안 이지스함은 그냥 그자리에 있어주길 빌던가 눈먼탄 하나라도 이지스함이 맞아 주길 바래야 할겁니다.  물론 로켓이 날아가는 동안 방공미사일과 근거리 방어수단에 의해 이지스함에 위협이 되는 궤도로 날아오는 로켓은 순차적으로 요격될테지만요.  수십척 떼거지로 몰려가서 로켓 날리면... 뭐 몇발은 맞겠죠.
archwave 15-10-13 23:04
   
윗 분들도 언급하셨지만, 현재 남아있는 구룡은 개조 또는 재활용을 통해서 다른 용도를 찾아가는 것 같고요.

말씀하신 이지스함에 대한 공격 용도라면 아예 따로 만들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구룡 베이스라면 운 좋게 목표에 도달해도 이지스함등에 따라가는 근접방어무기를 뚫지도 못 할거고, 사거리도 태부족.
구름위하늘 15-10-15 13:14
   
구룡과 같은 다연장은 해전용도가 아니라 지상공격 용도라면 아주 '특수'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겠죠.

일부 전쟁소설에서 잠수함에 다연장을 달아서 (방수 처리) 일본 근해로 접근하여 일본 공자대 비행장을 포격하는 내용도 있었으니까요.

해전 용도라면 저 무기가 차지할 공간이 아까울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