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09-28 17:52
[공군] kfx 완전 스텔스형 에서..
 글쓴이 : 개포사람
조회 : 6,694  

IMG_8513.jpg

2_jw23827.jpg

세미스텔스형 다음으로 준비중인 완전 스텔스 kfx에

공기흡입구 내장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섹터를 상상하는건 무리일까요??

익면하중과 중량추력비를 보면 f-22 이하 어떤기체를 상대로든 제공전투기로 충분한 기체인데

완전 스텔스형에서 공대지로 쓰기에는 

kfx의 설계상 가능한 작은 내부 무장창 만으로는 부족할것도 같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케몬 19-09-28 18:18
   
일단 아직 내부무장창도 안만든 기종에 그걸 미리생각해봐야 의미가 있을까요??
반매립으로 개발후에 (내무무장창을 생각한 여유공간이 있다고하니) 내무무장창설계하면서..
생각해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조금 앞서 나가는게 아닌가 싶네요..
목적이 우선이겟죠 공중우세기냐 전폭기냐 가.. 중요하겟죠..
말씀하시는건 전폭기로써의 공대지 무장창이 부족할꺼라는 말씀이신데..
그때는 일부 스텔스성을 포기하고 반매립과 외부파일런에 달아야죠..
카오스 19-09-28 18:19
   
확정된 C109 형상을 보면 공간이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연료탱크 들어갈 자리도 있어야죠. 많은 내부무장창은 연료적재량에 반비례합니다. 그렇다고 F-15SE같은 식으로 달아버리면 피탐성 문제가 생길거고요.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내부무장창 관련자료 첨부합니다. 공식적인 문서가 아닌 개인의 공모전 자료이고, 최종형상 확정 전의 문서인지라 참고만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자료를 제작한 글쓴이는 KFX형상을 16.7m 로 상정하고 작성하였지만, 현재 결정된 형상은 16.8m인 줄로 압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만 뽑혀도 저는 매우 만족스러울것 같아요.
http://blog.daum.net/dandakhan/16575939
     
개포사람 19-09-28 18:26
   
오호 좋은자료네요.감사합니다.
다음 설계팀도 분명히 공기 흡입구 내장 부장창의 설계반영여부를
다각도로 검토는 해보긴 하겠지요.~~
          
눌변 19-09-28 23:37
   
위에 언급한 링크 자료는 정식 KFX 관련자료가 아닙니다.

저 자료는 이전에 한참 kfx지지자 vs anti-kfx 자들( 화교+ 중공 및 일본인 + 록마충들)간 싸움이  났을때.... KFx지지자 중에  한명인... 검은XX 란 사람이 저 개인적 디자인 관점( 금형 또는 외형설계 경험한)을 표현한 모델 입니다. 즉 전혀... 현쟈의 KFX 형상이나 내부무장창 실체와는 동 떨어진 설계개념입니다.

물론, 저사람의 열정이나 애국심(?)을 탓할 마음은 없으나..  전혀 실체와 다른 개인 뇌피설을 가지고 일부 잘모른 사람들이 저게 실체 KFX 인냥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사실적시를 위해 적습니다.

저분은 현재... KAI의 홍보팀에 소속(?)되어서 KFX 홍보 담당중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무자나 또는 설계자가 아님.. 그냥 취미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걸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결론: 저거 가짜 섥꼐안 이니. .착각하지 마시깁 바라고.. 현재의 KFX 형상과 설계는 이미 저 사람의 상상보다 휠씬 앞선 물건이니 걱정을 붙뜨려 매도 됩니다..
               
카오스 19-09-29 01:00
   
내부무장창의 개략적인 구성과 공기흡입구 부분에 무장창을 만들 공간이 나지 않는다는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첨부한 자료이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벌크헤드  가공기념식 자료를 찾아보시면 하부무장창공간은 보이지만, 양측 사이드에는 그 어떤 공간도 내지 않고있다는것을 아실 수 있고, 그럴 공간도 협소하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죠. 그냥 벌크헤드 가공기념식 자료를 첨부할걸 그랬나 보네요.;;

그런데 벌크헤드는 그냥 단면도같은 느낌이라 그것만으로는 공기흡입구의 S자 설계로인해 하부무장창 자리를 만드는것이 가능했고, 하부무장창의 확보를 위해 공기흡입구쪽의 공간을 포기했다는 설명을 충분히 뒷받침할 수 없는지라..

공기흡입구 부분에도 내부무장창 공간을 확보하려고 한다면 기체안정성부분에서나 충분한 연료적재를 위해서나 애초에 F22에 준하는 만큼의 동체 너비를 확보했어야 한다는것이 제 생각입니다.
알브 19-09-28 18:30
   
kfx 공기흡입구쪽은 랜딩기어 달려있지 않나요?
     
개포사람 19-09-28 18:33
   
제일 위에사진 f-22와 거의 비슷한 위치에 랜딩기어가 있을겁니다.
마술 19-09-28 20:09
   
나중에 KFX도 T-50을 FA-50처럼 개조하듯이 스텔스형으로 만들 수는 있겠죠
푹찍 19-09-28 20:14
   
암람 4발 / 250파운드 4발 정도면 충분 하죠 ㅋ
     
개포사람 19-09-28 21:24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이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개싸움이 발생할때는
미그21도 이긴다고 보장할수 없어요.
아무리 현대전이라도 전장의 상태에따라 독파이팅이 없디고 단정지울수도 없고요.
차라리 암람을  발사할정도로 장거리에서 적을 발견하면
 암람은 없어도 회피하고 돌아오면 그만이지만..단거리 개싸움에서는  사이드와인드급이
없으면 기총으로...
신하 19-09-28 20:30
   
우리가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하게 된다면
신궁 미사일처럼 발사 전까지 접혀있다가 완전히 이탈한 후에 펼치는 방식으로
무장창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물론 말처럼 쉽지는 않겠지만 성공한다면 장착 가능한 수도 늘어날 테죠.
rozenia 19-09-29 03:28
   
개인적으로 분명 우리가 바라는것과 현실의 차이로 생각보다 내부무장창에 대한 설계와 기술적 해결이 오래걸릴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미사일개발 하나만 본다면 우리도 기술력이 꽤 축척됐다고 생각되는데, 이참에 미사일크기를 축소시키는 게발을 하는게 더 낫지 않나 싶네요.
holdmeagain 19-09-30 09:42
   
기체가 1M이상 커져야 공간이 나올 겁니다.  아니면 현존 단거리 미사일보다 훨씬 작은 미사일을 개발하면 모를까요...
Unicorn 19-10-01 08:33
   
내가 생각하는 무장창은 열고 닫히는 문이 아니라 리볼버 권총의 회전하는 약실입니다. 그리고 이 원리를 이용해서 응용이나 변형가 가능한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을 포함하는 아이디어.

그러니까 미사일 발사를 준비 하기 위해 미사일이 장착된 회전형의 약실을 약간 노출시키거나 하더라도 외부에서 봤을때 스텔스 형상에 변화가 없거나 적은 거죠.

아니면 약실을 본체 내부 부품으로 만들고 잠수함의 어뢰 발사관처럼 발사관만 살짝 열어 미사일을 쏘고 다시 닫는 방식이면 복잡한 구조물의 운동도 강도 걱정도 스텔스 손실도 줄일수 있지 않을까.

매립형이던 노출형이던 문이 열리고 내부의 정돈되지 않는 복잡한 구조가 노출되 RCS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만드는게 아니라 반사면적 증가가 없거나 최소화 시킬수 있는 방식.

암튼 미국도 내부 부장창을 여는 순간 레이더에 포착이 되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래 노력하고 있을 겁니다.

나는 이 방식을 사용하면 완전하진 않더라도 기존의 무장창을 열어 제낌으로써 발생하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수 있을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현재 충분히 구현 가능한 기술이며 합리인 가성비로 만들 수 있지 않겠나 합니다.

미사일이 아닌 투하형 무기도 역시 회전식으로 응용이 될수 있습니다. 이것 역시 창을 열어 제끼는게 아니라 폭탄이 설치된 약실이 회전을 하면 폭탄이 기체외부로 향하고 투하될 준비가 됩니다. 이후 원할 때 떨어뜨리면 되겠죠.

디자인되는 형태에 따라서 필요하다면 가스 사출이나 탄성을 가진 장치를 이용해서 폭탄을 좀 더 강하게 밀어 낼수도 있을테고.

또 리볼버 회전형 약실이라고 표현하면 둥구런 원형에 360도 빙글 빙글 돌아야 한다는게 아니라. 그런 구조의 원리를 사용한다는 개념입니다. ㅎㅎ

회전 반경은 장착될 미사일의 부피나 수량을 커버할 부채꼴 정도면 충분하겠죠. 또는 외부의 스텔스 형상 변화를 최소화 시키느게 목적이니 꼭 약실이 회전할 필요도 없습니다. 벨트 급탄 방식이던 기계적 장전 방식으로 내부가 구성되어도 상관 없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