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9-10 15:35
[뉴스] 국산화의 중요성
 글쓴이 : 넷우익증오
조회 : 5,047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중국이 자체 개발했다는 군용 무기에 일본산 부품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중국 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자체 개발한 방공 미사일 ‘훙치-9’를 터키에 수출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중국의 기술 발전에 세계가 놀라움을 금치 못했지만, 일부 부품이 일본산으로 알려지며 일본 의존도가 우려를 낳고 있다고 중국 관영 환추스바오(環球時報)가 전했다.

누리꾼들이 인터넷에 올린 사진에 따르면 중국이 터키에 수출한 훙치-9에 들어가는 리미트스위치는 일본 파나소닉의 것을 사용했고, 중국의 잠수함에도 다른 일본 브랜드의 유도 레이더가 사용됐다.

환추스바오는 사설에서 중국이 비록 무기시스템 연구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뤘지만, 무기공업 관련 기초산업에서는 여전히 외부의 ‘통제’를 받고 있으며 특히 전자소자, 신소재, 반도체와 공업제조 설비영역 등은 장기간 수입에 의존해왔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의 탄소섬유, 전자소자부품과 반도체 등은 장기간 일본과 한국 등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해왔다. 만약 수출이 금지되면 그 결과는 상상할 수 없다”며 “일본과 한국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는 문제는 매우 긴급한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한 군사 전문가도 신문에서 “중국산 부품은 단시간에 일본제품을 대체하기 힘들다”면서 “만약 양국간 전쟁이 일어난다면 중국이 궁지에 빠질 수 밖에 없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를 제치고 훙치-9을 미국이 주도하는 나토(NATOㆍ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인 터키에 팔기로 최근 계약했다. 이번 사업은 40억 달러(약 4조3000억원) 규모로 향후 중국의 해외 무기 수출 확대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중국 관영매체의 이같은 주장은 훙치-9 수출을 계기로 첨단 군용무기 등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에 대한 국산화 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넷우익증오 17-09-10 15:37
   
천궁은 어떤지궁금함
     
hermitovers.. 17-09-10 16:49
   
확실한 건 천궁에 짱깨제 부품이 있을리 없죠.
          
Davidoff 17-09-10 23:25
   
그래서 K2/t50/세종대왕급 국산부품 얼마되나요?
               
hermitovers.. 17-09-11 01:22
   
국산부품이 얼마나 되는지는 방사처에 문의해야죠.
그러나 확실한 건 K-2/T-50/T-50/세종대왕급에 짱깨제 부품이 들어갈리가 없죠.  ㅎㅎㅎㅎ
안경도깨비 17-09-10 15:40
   
기사에서 말하는 홍치 라는건 중국산 장거리 대공미사일 시스템인 HQ-9를 말하는 겁니다.

그리고....터키판매는 걸렬된지 좀 된걸로 압니다. 대신 파키스탄에 팔렸다던가....
     
꺽지 17-09-10 19:42
   
아하...감사합니다...
hermitovers.. 17-09-10 16:15
   
"홍치"라 .... 짱깨제답게 이름도 흉칙한데.....

홍치(HQ-9)는 2013년부터 말만 무성했지 터키에 팔리지 않았습니다.
몇년동안 공을 들이던 홍치의 터키 판매가 지지부진/실패하자 중국이 집적댄 나라가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인데, 팔았다는 얘기는 아직까지 없습니다.

홍치의 이라크 수출형 버젼인 FD-2000IQ을 이라크가 구매하기로 확정했는지도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이라크가 워낙 돈이 없다보니 중국이 이라크한테 돈까지 꿔줘 가며 팔려고 기를 쓰고 있는 걸로 압니다.

파키스탄한테도 팔려고 중국이 집적대고 있는 걸로 아는데 아직까지 아무런 소식이 없죠.

짱깨제 무기는 가격을 왕창 깍아 주고 돈까지 꿔 주고 다른 지원까지 해줘야 겨우 팔 수 있을 겁니다.
그야말로 간 빼주고 쓸개 빼주고 빤쓰까지 벗어야 짱깨제 무기를 사겠다는 구매국이 나타날 겁니다.
중국이 태국한테 그렇게 해서 겨우 탱크와 잠수함을 팔수 있었죠.
.
     
꺽지 17-09-10 19:47
   
설명 감사합니다.
스크레치 17-09-10 17:4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한민국, 일본이 괜히 세계 5대 제조업 강국으로 불리는게 아닌데 ㅋ
wjs76 17-09-10 18:34
   
무기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소재를 돈좀 만지겠다고 적성국에 파는놈들도 문제..
그돈 쳐발라 키운 자식새끼들 그소재로 만든 무기에 뒈져봐야 정신 차릴라나. 저런거 제재할 법같은건 없나요?
     
넷우익증오 17-09-10 18:43
   
아직은없죠......
     
꺽지 17-09-10 19:4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감...
     
NightEast 17-09-11 04:33
   
애초에 무기장사 해먹는 놈들은 누가 죽던 상관도 안하죠
자주한반도 17-09-10 18:48
   
일본제품을 대체하기 힘들다? 그럼 한국이 공급하는 부품은 자체 생산이 가능 하다는 소리인가??
푹찍 17-09-10 19:12
   
5-6월경 철권 스틱 대란 때 국산 삼덕사계열 스틱에 들어가는 파나소닉 스위치 단종이 생각나네 ㅋ
결국 국산 거성스위치로 교체 되어서 지금 팔리고 있음 ㅋㅋ

스틱 스위치도 그렇지만 버튼류 스위치도 국산 수요가 늘어나자
일본 산와 제품 말고 국산품
그것도 led 삽입용 스위치도 나오고 있고
인체공학 적용된 각종 국산 공방수준 스틱들이 난무하고 있으며 실제로 실성능도 비싸기만 한 기존 기성품=일제 보다 훨씬 괜찮아서 프로게이머들이 많이 쓰고 있음 ㅋ
특히 스틱 계열은 일본은 거의 산와 4각 이 다 잡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실리콘 재질의 연구부터 시작해서 각종 형상 시도로 엄청나게 다양한 커스텀 스틱 생산중 ㅋ
세계 최고의 커스텀 키보드 덕질국 아니랄까봐
스틱계열에서도 한국은 온갖 매니아들이 미친듯이 섬세한 피드백으로 진화에 진화를 거듭중 ㅋㅋㅋ
유튜브가보면 한국산 스틱 리뷰도 많음. ㅋ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류는 독일 체리사 특허 만료되자 카일축이니 오테뮤 축이니 게이트론 축이니
중국발 축이 우후죽순처럼 늘어나고 심지어 일본 리얼포스 정전용량무접점 스위치도 특허우회 방법으로 중국이 싼마이로 내놓고 미친듯이 팔리고 있음 ㅋ
초기 중국 스위치들이 내구성 문제가 부각되기는 했었지만 세대를 거듭하며 쓸만한 축으로 자리잡았고 기계식 키보드 10마넌 미만으로 떨구게 된 일등공신 ㅋ
이중 게이트론 축이라고 스위치만 팔고 있는얘들이 있는데
한국 덕후들이 하도 8-90년대 구형 흑축(서걱임 없음 스위치 하나하나를 분해해서 사포로 가는 얘들도 있을 정도 ㅋ)에 환장해서 전세계적으로 싹쓸이해가며
이베이에서 구형 키보드의 몸값을 수직상승시키자
중국에서 아예 자기들 브랜드 붙혀서 서걱임 없는 흑축을 시험작으로 내고
체리사는 뒤늦게 신신형 흑축과 신형 적축 출시로 맞불을 놓음 ㅋ
한국만큼 스위치 덕후들이 많은 나라도 없을것임 ㅋㅋㅋ
스위치 슬라이더를 사포로 갈고 공방에 의뢰해서 최적의 커스텀 스프링을 생산하며 테프론 각 계열의 윤활류 배합연구부터 스위치 분해용 툴 발명에 키보드 스위치에 한해서는 타국은 감히 쳐다보지도 못할정도로 미쳐있는 국가가 한국 ㅋ
     
꺽지 17-09-10 19:50
   
ㅋㅋ 잼나게 잘 읽었습니다..^^
     
꺽지 17-09-10 19:50
   
스틱 리뷰 보러 갑니다...
     
Augustine 17-09-10 23:39
   
말이 나와서 말인데 위 본문 기사 중 리미트 스위치는 버튼이 아니고 센서의 일종입니다. ㅋㅋ
바람노래방 17-09-10 19:47
   
돈을 주고 그돈으로 우리 무기를 사라!
이게 중국의 판매방식 아니던가?
개구신 17-09-11 15:36
   
국산화의 중요성을 우리 사례로 들어 말해보자면,

미국발 세계경제위기가 왔을때 이런저런 외산무기 도입사업이 넘어지고 폐기될때에도,
세종대왕급을 비롯한 해군의 국산함정의 개발과 건조는 다소 수량이 줄어들기도 했지만 어쨌건 진척되어 지금의 해군전력을 갖출수 있었던 동력이 되었고,
차기전투기사업이 미뤄지고 또 미뤄지던 상황 속에서도 T50프로그램은 잘만 돌아가서 시제품뽑고 전력화까지 해서 수출까지 하고 있으며,
육군의  K9은 차질없이 계속 뽑아져나오고, K2개발도 투자가 줄어들거나 축소되지 않았어요.

국산이란건 내부에 외산을 채웠을 망정, 만들수록 국내경기에 도움이 되는것이며, 거기에 더해 국산무기라는 보급과 정비, 개수의 편리를 가진 안보강화의 측면 때문에 전력을 확충하는데 비교적 경기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그래서 자국 고유모델이 중요한 거에요. 아무리 외산이 좋고 가격면에서 유리하다거나 성능이 좋다 한들, 우리의 사정상 일정규모 이상의 수적인 전력확보가 되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무리해서라도 국산화를 이끌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까르페디엠 17-09-11 20:10
   
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