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1-02 22:10
[육군] 살아있는 군용헬기의 전설 UH-1 휴이(유용원의 군사세계에서 펌)
 글쓴이 : 서울뺀질이
조회 : 5,290  

UH-1 헬기는 미국의 벨 헬리콥터가 개발한 다목적 군용 헬기로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생산된 헬기이다. <출처: 김대영 >
 UH-1 헬기는 미국의 벨 헬리콥터가 개발한 다목적 군용 헬기로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생산된 헬기이다. <출처: 김대영>

인류의 헬기에 대한 발상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 천재 화가 레오나르드 다빈치가 그린 한 장의 데생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이 데생은 오랜 세월 동안 상상도에 머물러야 했다. 그러나 1939년 헬기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시콜스키(Sikorsky, 시크로스키)에 의해, 오늘날 헬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일 회전익을 사용하는 헬기가 개발된다. 이후 헬기는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급격한 기술적 발전을 이루게 되고, 특히 수직기동이 가능한 헬기는 군의 주목을 받게 된다. 이후 군 작전을 위한 군용 헬기가 탄생하게 되었고, 군용헬기는 오늘날 군에서 빠질 수 없는 무기가 되었다. 이러한 군용 헬기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이 바로 UH-1 휴이(Huey) 헬기이다.


 

(좌)UH-1 헬기는 개발된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미국을 포함해 30여 개 국가에서 여전히 군용 헬기로 애용되고 있다. <출처: 미 공군 ><br>
(우)UH-1 헬기는 군용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도 대성공을 거둔 헬기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cc) Alan Radecki >
 (좌)UH-1 헬기는 개발된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미국을 포함해 30여 개 국가에서 여전히 군용 헬기로 애용되고 있다. <출처: 미 공군>
(우)UH-1 헬기는 군용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도 대성공을 거둔 헬기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cc) Alan Radecki >

전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생산된 헬기


UH-1 헬기는 미국의 벨 헬리콥터(Bell Helicopter)가 개발한 다목적 군용 헬기이다. 지난 1956년 첫 비행에 성공한 이래 지금까지 16,000여대가 넘게 생산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이 생산된 헬기로 알려져 있다. 1959년부터 미 육군에 배치된 UH-1 헬기는 원형을 포함해 10여종 이상의 파생형이 탄생하였으며, 개발된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미국을 포함해 30여 개 국가에서 여전히 군용 헬기로 애용되고 있다. UH-1 헬기는 원래 이로쿼이즈(Iroquois) 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지만, 휴이라는 애칭이 더 유명하다. 휴이라는 애칭은 1955년 개발 당시 HU-1(Helicopter Utility) 라는 제식번호에서 유래가 되었다. UH-1 헬기가 군용헬기의 전설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960년부터 시작된 베트남 전쟁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좌)베트남 전쟁에 최초로 투입된 UH-1A 헬기는 기관총과 로켓을 장착하고 무장헬기로 운용되었다. <출처: 미 육군 ><br>
(우)병력수송 요구가 높아지면서 UH-1 헬기는 엔진출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동체길이도 연장된다. <출처: 미 육군>
 (좌)베트남 전쟁에 최초로 투입된 UH-1A 헬기는 기관총과 로켓을 장착하고 무장헬기로 운용되었다. <출처: 미 육군>
(우)병력수송 요구가 높아지면서 UH-1 헬기는 엔진출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동체길이도 연장된다. <출처: 미 육군>

헬기의 전쟁이 된 베트남 전쟁


통킹 만 사건을 계기로 미군이 본격적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미군의 헬기가 대규모로 전장에 투입되었다. 베트남은 정글지역이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아 부대 이동에 제한이 많았다. 또한 북 베트남 군과 베트콩의 치고 빠지는 게릴라 전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형에 상관없이 신속히 이동이 가능한 헬기가 선호될 수 밖에 없었다. 1962년 베트남 전쟁에 최초로 투입된 UH-1A 헬기는 기관총과 로켓을 장착하고 무장헬기로 운용되었다. 하지만 병력수송 요구가 높아지면서 UH-1 헬기는 엔진출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동체길이도 연장된다. 특히 UH-1 헬기는 미 육군 최초로 터보샤프트(Turboshaft) 엔진 을 장착한 헬기였다. 베트남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피스톤 엔진을 장착한 헬기들보다 엔진의 효율성이 높았고 정비 또한 용이했다.


 

(좌)베트남 전쟁 기간 중 7,000여대가 생산된 UH-1 헬기는 다양한 작전영역에서 눈부신 활약을 선보였다. <출처: 미 육군 ><br>
(우)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5,000여대의 UH-1 헬기가 피격되었고 2,000여명의 조종사가 사망했다. <출처: 미 육군>
 (좌)베트남 전쟁 기간 중 7,000여대가 생산된 UH-1 헬기는 다양한 작전영역에서 눈부신 활약을 선보였다. <출처: 미 육군>
(우)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5,000여대의 UH-1 헬기가 피격되었고 2,000여명의 조종사가 사망했다. <출처: 미 육군>

베트남 전쟁을 상징하는 헬기


1967년에 등장한 UH-1H 헬기는 UH-1 헬기의 결정판으로 꼽힌다. 1,400 마력의 엔진을 장착해 최대 220km 이상으로 비행을 할 수 있었으며, 최대상승고도와 제자리 비행고도도 높아졌다. 이러한 성능을 가진 UH-1H 헬기는 베트남 상공을 누비며 지상군의 "발" 역할을 톡톡히 했다. UH-1H 헬기는 UH-1 헬기 파생형 가운데 가장 많은 5,000여대 이상이 생산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중 7,000여대가 생산된 UH-1 헬기는 병력수송, 공중강습, 탐색구조, 전자전 등 다양한 작전영역에서 눈부신 활약을 선보였다. 다용도 공구와 같은 활용성을 자랑했던 UH-1 헬기는 이후 개발되는 군용헬기에 롤모델(role model)이 된다. 베트남 전쟁 당시 UH-1 헬기는 군용헬기의 역사를 새로 쓸 만큼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지만 피해도 만만치 않았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5,000여대의 UH-1 헬기가 피격되었고 2,000여명의 조종사가 사망했다.


 

(좌)쌍발엔진의 UH-1 헬기는 UH-1N 트윈휴이로 불리는데 캐나다 군의 요구로 지난 1960년대 말 개발되었다. <출처: 미 국방부 ><br>
(우)UH-1Y 헬기는 지난 2009년부터 미 해병대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정찰 및 무장헬기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미 해군>
 (좌)쌍발엔진의 UH-1 헬기는 UH-1N 트윈휴이로 불리는데 캐나다 군의 요구로 지난 1960년대 말 개발되었다. <출처: 미 국방부>
(우)UH-1Y 헬기는 지난 2009년부터 미 해병대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정찰 및 무장헬기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미 해군>

전설은 계속된다


미 육군은 UH-60 기동헬기로 UH-1 헬기를 대체했지만, 미 공군과 해병대의 경우 쌍발엔진의 UH-1 헬기를 여전히 운용 중에 있다. 쌍발엔진의 UH-1 헬기는 UH-1N 트윈휴이(Twin Huey)로 불리는데, 캐나다 군의 요구로 지난 1960년대 말 개발되었다. 미 공군의 경우 현재 대륙간탄도미사일기지의 인원수송이나 경비에 사용하고 있으며, 미 해병대는 기존의 UH-1N 헬기를 개조 및 성능 개량한 UH-1Y 베놈(Venom) 헬기를 운용 중에 있다. UH-1Y 헬기는 지난 2009년부터 미 해병대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정찰 및 무장헬기로 사용되고 있다. 이밖에 UH-1 헬기의 제작사인 벨 헬리콥터는 UH-1H 헬기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휴이 II(Huey II) 현대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다.


 

(좌)UH-1 헬기의 도입으로 육군은 공중기동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북한의 국지도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출처: 김대영 ><br>
(우)수리온 헬기는 2022년까지 200여대가 생산되어 육군과 해병대가 운용중인 UH-1 헬기를 대체할 예정이다. <출처: 김대영>
 (좌)UH-1 헬기의 도입으로 육군은 공중기동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북한의 국지도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출처: 김대영>
(우)수리온 헬기는 2022년까지 200여대가 생산되어 육군과 해병대가 운용중인 UH-1 헬기를 대체할 예정이다. <출처: 김대영>

1960년대부터 국내에 도입된 UH-1 헬기


우리 군은 지난 1960년대부터 UH-1 헬기를 도입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직도입과 미국의 군사원조를 통해 130여대 이상의 UH-1 헬기를 운용하게 된다. 특히 UH-1 헬기의 도입으로 육군은 공중기동작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북한의 국지도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육군 뿐 아니라 공군과 해군에서도 UH-1 헬기를 운용했으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는 공군의 UH-1H와 UH-1N 헬기가 대통령 전용헬기로 사용되었다. 1990년대 들어 우리 군에서 운용중인 UH-1 헬기가 점차 노후화되기 시작했고, 이를 대체할 신형 헬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예산 문제로 우선 순위에서 밀리게 되고, 특히 육군의 UH-1 헬기는 기체 노후화로 인해 잦은 사고가 발생한다. 결국 2005년 말부터 한국형 헬기사업을 추진해 국내 개발로 UH-1 헬기를 대체하기로 한다. 이렇게 탄생한 국산헬기가 ‘수리온’으로 2022년까지 200여대가 생산되어, 육군과 해병대가 운용중인 UH-1 헬기를 대체할 예정이다.


제가 좋아하는 헬기 입니다.  어렷을때 프라모델로도 많이 만들엇지요.  그리고 코브라 헬기도 많이 만들어 봣어여.  요새도 옥션에서 파는 것 같던데  ㅋ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통팔달 16-01-02 22:25
   
헬기계에 f-16.월남전 영화에는 무조건 나와야하는 대표적인 무기중 하나죠.우리나라는 퇴역 점점하지만 필리핀은 지금 uh-1중고 나오면 끌어모으고 있죠.공여도 받지만 중고 나와도 사고있죠.그리고 이헬기 운용기간이 오래돼도 우리나라에선 사고가 몇건 안돼기도 하고요.그것도 기체고장보다 기상때문인게 더많고요.
바벨 16-01-03 01:12
   
제 생각엔 헬기계에 F-5..
비슷한 시기 수십년 현역에서 활동하고 아직까지도 대체하지 못해 굴리고 있는 점이..

첨부로. 헬기계의 F-16은 UH-60 블랙호크죠..
시기적으로나 범용성으로나 둘 다 전 세계적으로 F-5와 UH-1을 대체하기 위한 존재이니..
     
사통팔달 16-01-03 01:29
   
급은 f-5쯤 되긴한데 생산수량이 엄청나서 그런거죠.f-5는 생각외로 생산숫자 얼마안돼요 미국이 안써서요.
다른 전투기에 비해서 적을뿐 라이센스한거 합치면 많긴한데 f-4,16에 비하면 적은편이라서요.
          
바벨 16-01-03 02:53
   
굳이 생산 수량으로 따지자면 F-5가 F-104와 당시 서방 전투기 시장을 양분한 면도 간과 할 순 없죠.

아이러니한건. 두 기종 모두 미공군에서는 외면하거나 해외수출용으로 전락한 점이..
               
사통팔달 16-01-03 05:20
   
아제가 잘못알았네요.f-5도 엄청나게 많이 생산돼긴했네요.4천대가 약간넘게 생산됐네요,라이센스가 더많은 기종이네요.f-4는 5195대인가 그렇고 f-16는 4500대 넘었다고하니 미국에서 f-5랑 f-104붙어서 f-104가 이겨서 미국은 f-104 180구입 2600대약간넘게 만들어졌는데 이것도 많이 생산했네요.
zzanzzo 16-01-03 16:40
   
휴이를 보니 예전 꼬맹이때 티비에 했었던 머나먼 정글이 생각나네요..
wepl 16-01-04 15:40
   
빠빠라빰빠밤 빠빠라빰밤 빠빠라빠빠라라라 위에 위에 위에 ~~~~~~~~~~~~
suuuu 16-01-05 10:27
   
난 항상 영화에 나오는 uh-1헬기를 보면 느끼는게 있는데..
문짝 열어제끼고 뒤에 군인이 막 걸터 앉는 수준으로 앉고 하는데...
비행중 떨어지지 않나 하는생각이...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