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9-08 16:00
[잡담] J-20과 스텔스
 글쓴이 : 파이리꼬리
조회 : 2,929  

929e2f3a1da0f86908c5b8a7758104abe8fc06bb6e20eecf14cfb18cf1e4f0005f0ca15445f8e315ced9c9319eef93d1938ae5edce784ea6746e88c1c2bbac99730943fcbd3f064b3b7aa3ebb57943b6.png
중국은 J-20이 형상설계기술면에서 러시아의 FAK-FA를 능가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크기도 더 크고 카나드 까지 달린 마당에 RCS가 더 적은게 가능할까? 싶습니다만,
카나드가 달린 유파는 F-16의 1/10의 RCS를 보이고 대형기체인 B-2는 F-16의 수천분의 1입니다.
카나드 유무와 기체의 크기가 RCS와 반드시 비례하는것은 아닙니다.
물론 방향에 따라 RCS의 값이 달라질수는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의 기술력에 회의를 가지는 사람들도 있지만,
기술력 순위는 고정된게 아닙니다.
돈+시간+인력의 집합체죠.
e96c8e6fb74af8baba28a770811fdb6fa078ce51dc38a93a07dca5f849ed0403352e46514962289032598caa8d7186fafc394efc850524e83e743218f38dd75d72365525a08e4630c3ed80b56f196c47.jpg

J-20자체도 비행성능의 희생을 감수하고, 카나드의 위치를 주익과 비슷하게 맞추는등,
스텔스 성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개발중인 기체이니 최종 성능은 스텔스노즐이 적용되는 J-20전용엔진이 개발된 후에 드러날 것같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나둘넷 17-09-08 16:20
   
RCS 통제에 대한 기본적인 접근에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카나드나 벤트럴 핀이 있더라도 스텔스
성능에 큰 영향이 없다라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발제자께서도 방향에 따른 RCS 값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집접 단서를 다셨듯, 실제로 모든 기체가
모든 방향에 대해 리니어한 계측치를 얻게 되는 게 아닙니다.

특히 RCS반사에 가장 큰 요인이 에어인테이크 구조설계를 통해 엔진 팬블레이드에 의한 반사를
효율적으로 억제함으로써 LO 성능을 보여주는 기체가 될 수 있습니다.
LO개념이 확실하게 정립되기 전의 설계 기체인 F-16과 유파의 RCS값 차이의 대부분은 바로 그런
부분에서 나오는 거죠. 거기에 더해 세세한 기체 외부 돌출부나 홈 등에 대한 적극적인 전파 상쇄/흡수
대책을 구현함으로써 대형기체도 VLO가 가능한 거고요.

이야기하신대로 기체크기만으로는 VLO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습니다만
그 기체 자체에 존재하는 수많은 홈/돌출부를 얼마나 잘 통제해서 RCS값을 낮추는 설계를 했느냐는
슈퍼컴퓨터에 의한 형상설계/예측만이 아닌 실기체 비행기동중 측정을 통해 계속 검증 개선해야
하는 거죠.

돈/시간/인력으로 따라올 수는 있습니다... 맞습니다. 다만, 스텔스기는 정적 비행만하는 여객기가
아니라 3차원 공간에서 고기동 비행을 해야하는 전투기로써 접근해야 하는 관계로 많은 경험과
시행착오를 통한 경험칙이 크게 요구됩니다. 이 경험칙은 돈/인력만으로 메울 수 있는 게 아니라
많은 실험과 분석을 통한 시간이 소요되는 관계로 현시점에서 "당분간" 중국의 VLO기체들이 미국 수준으로
가는데엔 한계가 있고 따라가는 데엔 좀 더 시간이 필요한 편입니다.

중국이 애초에 J-20을 공표하고 실전투입을 예상했던 시기보다 많이 밀리게 된 요인에는
엔진문제만 있는 게 아니라 기체 구조설계면의 문제도 상존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미국조차도 공중전 전투기보다 폭격기에 우선적으로 스텔스를 적용시킨 것도 이유가 있는 겁니다.
G평선 17-09-08 16:22
   
사진은 고장난거 아님?

한쪽 경사미익만 저렇게 될 수가 있는건가요?

고장이 아니라면. 어떨때 저렇게 조작하는건지...
     
하나둘넷 17-09-08 16:25
   
수직미익 전체가 가동하는 전가동형 수직미익입니다.

이미 대부분의 전투기들의 수평미익은 전가동형입니다. F-15, 16, 18 등등에서도 그렇게 가동합니다.

위의 J-20은 수직미익도 수평미익처럼 전체 가동하도록 구조 설계 한 겁니다 .

러시아의 파크파 Su-57도 마찬가지로 수직미익이 전기동형입니다.
          
wjs76 17-09-09 11:10
   
질문이 그게 아닌거 같은데요;  사진상 오른쪽 수평미익이 왼쪽보다 심하게 꺾여있는데 저렇게 한쪽만 심하게 꺾이는게 정상인지를 묻는거에요. 실제로 가능하다면 어떤상황에서 저렇게 꺾는지도..

저부분의 기능적인 특성상 비행중 저렇게 한쪽만 더많이 꺾이면 문제가 될거 같은데요 그래서 고장 아니냐 하는거구요.
               
하나둘넷 17-09-09 16:24
   
ㅋㅋ 아.. 네네..

글 적으실 시간에 전가동 수평미익에서 양쪽 모두 동일하게 가동하는지 아닌지부터
확인해보시는 게 먼저일 것 같네요.  유튜브같은데서 좀 찾아보시고요.

전가동형이 아닌 수직미익에서 방향타가 양쪽 동일하게 타각되어야만 한다고 착각하는
본인 생각부터 수정하고 글을 적으시고요.
스포메니아 17-09-08 16:51
   
스텔스기는 전파에 대한 스텔스 뿐만 아니라, 다른 스텔스 요소도 필요하죠.

- 전파에 대한 스텔스
- 엔진 열과 기체의 열에 대한 스텔스 (열영상 카메라 포함)
- 시각에 대한 스텔스 (가시광 카메라 포함)

J-20은 ... 글쎄요

그리고, 님은 B-1과 B-2를 헷갈려 하는것 같군요.
카나드가 달린 폭격기는 B-1임. 스텔스성을 강화한 B-1B의 RCS는 F-22의 수천배임다...

B-2 Spirit
RCS (Generalized): 0.0001Xm2 : F-22와 비슷

F-22A Raptor
RCS (Generalized): 0.00018 m2 (-37.45 dBsm)

F-117A Nighthawk
RCS (Generalized): 0.001 to 0.01 m2 (-30 to -20 dBsm)

F-35A Lightning II
RCS (Generalized): 0.00143 m2 (-28.45 dBsm)

비둘기 (또는 작은 새)
RCS (Generalized): 0.008 m2 (-20.97 dBsm)

B-1B Lancer
RCS (Frontal): 1 m2 (0 dBsm)
     
파이리꼬리 17-09-08 17:01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저는 대형 스텔스기의 예로 B-2를 예시로 들었습니다.
딱생각나는 기체가 그거라서요.
B-1B는 애초에 좀 덜맞게 스텔시하게 만들어보자! 라고 만들어진 물건이라. 태생적 한계가 있죱.
B-1B의 작은카나드(메기수염)은 카나드 보다는 베인이라고 불리는 데요.
이것 자체가 비행용이라기 보다는 진동억제용입니다. 장거리 폭격비행시 조종사&기체의 피로도를 낮추기 위해서 있습니다.
          
스포메니아 17-09-08 17:33
   
B-1A/B의 기수에 붙은 작은 날개도 카나드라고 하죠.

canard : n.
a small winglike projection attached to an aircraft forward of the main wing to provide extra stability or control, sometimes replacing the tail.

카나드는 비행 제어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비행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도 붙이는 겁니다.
B-1에 작은 카나드가 붙은 이유는, B-1이 원래 고공침투 폭격기로 마하 2를 넘나드는 고속기체로 만들어졌는데, 소련의 레이더와 미사일 기술이 발달하자 .. 기존의 컨셉을 포기하고 저공 침투용으로 개조를 해서 B-1A이 만들어지는데, B-1A가 공기밀도가 높은 저고도에서 마하 1에 가까운 고속으로 비행할때 기수부가 떨리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수 부분에 작은 카나드를 달아서 Active control을 합니다. 즉, 기수부가 흔들기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카나드를 움직여서 기수부의 떨림을 상쇄하는 것이죠.

그리고, B-1B에 가서는 에어 Inlet를 개조해서 밖에서 엔진이 보이지 않게 만들어, 전방 RCS를 대폭적으로 줄였습니다 - 덕분에 B-1B의 최고 속도는 마하 1.25로 떨어지게 됩니다 (B-1A는 마하 2 이상).
               
파이리꼬리 17-09-08 17:39
   
네 님말도 맞습니다
카나드라고도 하고 vein이라고도합니다
사용빈도가 vein이 더높다는 뜻이였습니다
일반적인 카나드가 양력증가나 비행안정성을 위해
다는것과 달리, 전방센서가 감지한 진동을 상쇄하는 역활을 하는것도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