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10-21 13:04
[잡담] 애초에 해병대 중대장 저거 말이 안됌
 글쓴이 : MK통신소
조회 : 1,686  

아무리 섹터가 빡세다고 해도

제가 근무했던곳도 경계 구역 빡세고 일반 보병사단보다 경계 구역 넓었음

그래도 특이사항 발생하면 경계를 강화하지 저런식으로 안함

누가 목선 들고 내려왓는데 저쪽은 경계하지말라는게 말임?

TOD말고도 그외 감시 장비 존나 많을땐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2-10-21 13:24
   
그걸 운영하는 병력이 부족하다는 것이겠죠. 애초에 육군 3개사단이 맡아야할 섹터를 1개사단이
하고 있으니깐요. 특히 방어 후 바로 북진의 계획으로 운영한다면 방어를 목적으로 후방의 다른 연대 및 사단의
지원을 기대할 수 있는 육군과는 그 강도가 크게 다를 것이라고 봅니다.

이런 와중에 목선이 발견됨으로 해서 중대장의 커리어에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가뜩이나 육군에 비해서 진급이 안되는 해병대 장교입장에서는 보고하기가 힘든 구조이겠죠.
acerokim 22-10-21 14:46
   
저는 개인적으로 경계 근무 태만이라고 보기 보다는 대공 혐의점쪽으로 생각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155마일 휴전선 11개 사단, 해병2사단 경계근무 섹터 120마일,
도서 경계의 특성을 감안 하더라도 너무 길죠? 게다가 매번 1개 연대는 교육 훈련으로 빠지고...
acerokim 22-10-21 14:52
   
10년도 더 된 기사인데 크게 바뀐것이 없어 보입니다
https://www.mbn.co.kr/news/politics/1017692
불청객 22-10-21 17:32
   
김포&강화도 및 주변 섬 일대를 경계하는 해병대 2사단의 섹터가 100km에 실제 경계범위지역은 250km에 달하면서도 육군에 비해 병력수도 적은 상태라서 육군이 전방 248km에 10개 사단이 경계하는 것에 비하면 비정상적인 상황입니다. 이 지역을 육군 3,4개 사단으로 대체한다고 해도 병력 확보 및 대체 사단들의 공백 문제도 골치라 육군에서는 굳이 부스럼 만들 이유도 없기에 뭔가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이 지역의 변화는 없을테고 1개 사단으로 가성비(?) 좋게 쓰고 있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