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2-02 18:22
[전략] Kill Chain
 글쓴이 : somalia
조회 : 3,930  

Kill Chain은 적(현재는 북한 한정)의 탄도탄 및 방사포와 같은 아군에게 치명적 위협이 되는
장거리 위협수단에 대한 선제타격 및 요격체계를 통틀어 이르는 개념입니다.

위성-정찰기-레이더-첩보등등의 정찰 자산을 활용하여 24시간 적 고정및 이동형 발사대에 대한 감시와
사전 발사징후 포착, 분석 및 결정을 통하여 적 위협수단을 미리 무력화 시키는 것이며
이는 북한의 발사체에 대해 70%의 선제 무력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30%에 대하여 KAMD에 의한 탄도탄 요격이 이루어집니다.
(향후 레이저를 활용한 C-RAM을 통한 방사포탄에 대한 요격도 포함 될거라 봅니다.)

타격수단으로서 현무시리즈의 탄도탄이 활용 됩니다.
현재 북한의 이동형 탄도탄 발사차량의 발사준비에서 발사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내외로 판단하고 있으며,
사전에 징후 포착한 상태에서 이 시간 내에 타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대응수단은
현재 탄도탄뿐입니다.
- 미군도 짧은 시간내에 인지한 표적에 대해 결정하고 타격에 이르기까지
공군의 전폭기등의 수단을 통한 효과적인 제압에는 한계가 있다 판단하여 통상형탄두를 활용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것이 '제래식 전세계 즉시타격(PGS: Prompt Global Strike)이며,
전세계 어디라도 1~2시간내에 타격하겠다는 목표입니다. 
falcon HTV-2.jpg




국내의 사정거리 550km 탄도탄의 경우 마하 5 이상의 속도로 무수단리까지 5분~6분 사이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번에 2015년까지 배치 계획을 앞당기라고 국방부장관이 지시한 사거리 800km의 탄도탄은
마하 10에 이르러 2분 30초만에 타격이 가능하다 합니다.
재래식탄두이기에 CEP가 높아야 하므로, 명중률증대를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지고 있다 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제한적입니다.
위성및 항공정찰등을 통한 북한 미사일에 대한 정보가 하루에 한번씩 갱신되는 상황이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모든 목표에 대한 타격은 몇 일 이상 소요될 것입니다.
이러한 제한적인 상황으로 현재 미국과의 정보자산을 통한 공유를 하고 있으며
가까운 시기에 위성 및 정찰자산을 독립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확보 계획중입니다.
군에서는 북을 24시간 실시간 감시에 필요한 위성을 5개라 보고 있으며,
글로벌호크 도입 또한, 이 계획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군은 이러한 선제타발로 하루 내에 북의 이동형발사대의 70%를 제거할 수 있다 확신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30%는 한국을 향해 발사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Kill Chain에 포함 되어있는게 나머지 30%를 요격하는 KAMD입니다.
미국의 MD체계와는 다르게, 중/저고도 탄도탄을 요격하기 위한 요격체계입니다.
아시다시피, 북한과 한국은 탄도탄투발 거리로 봤을때에 단거리이며, 북한 끝에서 제주도까지의 거리도
겨우 중거리에 불과합니다.
단거리/중거리 탄도탄은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탄도를 그리기에 요격고도는 낮으나
가까운 거리에 따른 대응속도가 빠른 요격체계가 필요합니다.
현재, 철매PIP 및 L-SAM 계획이 이에 속합니다.

또한, AESA레이더 개발도 빠른 진척을 이루고 있으며, 이스라엘에서 구입한 그린파인-B레이더는
한반도의 광대역을 스캔할 것입니다.




H.jpg

2.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일빠싫어 13-02-02 18:31
   
음 정보자산만 충분하다면 정말 훌륭한 방호체계겠네요.
스마트MS 13-02-02 20:00
   
문제는 30%의 스커드 계열이라든지 기타 탄도미사일 방어망 구성을 위해. 어느정도의 포대 규모를 구성해야 하는지도
정보력 확립과 요격성능의 완성과 함께 생각해봐야할 사항일듯 하기도 하네요
뒈질래 13-02-03 11:48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