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10-15 02:07
[질문] 주변국과 전력차를 메우기 위해 비대칭전력에 몰빵이라
 글쓴이 : 빛은사랑
조회 : 2,017  

이 교리를 세계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따르는 족속들이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죠...

언젠가 통일이 된다 해도 주변국과 체급 차이는 어쩔 수가 없는 노릇인데 통일한국도 보병, 기갑보다는 미사일, 로켓에 또 이지스함이나 구축함보단 고속정이나 잠수함에 집중하는 게 맞을까요(핵이나 대량살상무기는 어쩔 수 없다 쳐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igerpalm 15-10-15 02:37
   
전투 위성이 어떨까요? 위성 궤도 상에서 적국 수도 박멸시키는.
     
다다나 15-10-15 07:43
   
천조국조차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포기한 공격위성을요?
드림케스트 15-10-15 03:38
   
기본베이스가 없다면 죽도밥도 안됩니다.
전투계념이 상대방을 이기는것 보단 상당한 피해를 주는쪽으로 가야 맞는거겟죠.
그리고 방어하는쪽이 유리한게 전투계념입니다..
핵기술은 우리도 충분히 있으니 우리한테 전쟁할나라는 없다고 바도 무방하다 생각하네요.
현시창 15-10-15 08:24
   
대칭전력에 대응한답시고, 비대칭 전력에 몰빵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우리는 잘 알고 있죠.
군사사(軍事史)를 공부하는 이유가 그저 전훈만 배우려고 드는게 아닙니다. 역사에서 어떠한 문제에 어떤 솔루션을 내놓았을 경우 어떤 결과가 도출되었는지를 미리 배워보는 소중한 기회이기 때문이죠.

장갑함 시절까지 영국해군을 그래도 이래저래 따라잡으며 세계 2위 해군국이던 프랑스가 나락으로 떨어진게. 영국의 전함전력을 죽어도 따라잡을 수 없어서 비대칭 전력인 어뢰정에 몰빵한 이후입니다. 값싼 어뢰정으로 전함을 때려잡으면 싼 값에 동일한 전력을 얻을 수 있을거라는 착각을 한 덕분에.

영국이 그 대응으로 마찬가지 싼값에 대량으로 찍어낸 어뢰정 킬러 [구축함]이 등장했고.
이 구축함이 도배되면서 프랑스 해군은 나락까지 떨어져 버립니다. 비단 구축함만이 아니라, 범용성이 부족한 비대칭 전력에 몰빵을 친 덕분에 연근해안 벗어나면 아무것도 못하는 절름발이 해군이 되어버렸거든요. 덕분에 프랑스는 2류해군국으로 확실히 자리보전 하게 되죠.

주변국과의 전력격차를 어떻게 메울까,란 고민에서 비대칭 전력 건설이란 가장 바보같은 선택이지임을 역사가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 어떤 방식으로든 대응전력은 범용적인 전술능력을 꾸준히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항공전력에서 미사일 몰빵은 가장 미련한 선택이고, 해군은 잠수함 몰빵이 가장 미련하며, 육군은 보병과 공병을 무시한 기갑포병위주의 전력이 가장 미련한 선택입니다.)
     
구름위하늘 15-10-15 14:36
   
좋은 설명이네요.
비대칭 전력을 가지는 것은 필요하지만,
몰빵은 좋은 선택이 아니죠 ^^

히든카드나 스페셜카드는 소수로 있을 때 의미있는 것이지
모두 히든카드이면.... ㅎㅎㅎ
          
ellexk 15-10-15 15:41
   
카드 게임 하면서 덱을 모두 히든카드로 몰땅해놨다가

자원은 광탈 상대의 잽만 초반에 수없이 얻어맞고 그로기 됐네요 ㅋㅋㅋ

좋은것만 있다고 해서 꼭 이기는건 아닌듯합니다

전쟁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보통이 15-10-15 15:50
   
음...좀 더 간단하게 드릴 수 있는 답으로 이건 어떨까 싶네요.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8A%A4%ED%88%AC%EC%8A%A4_%ED%8F%B0_%EB%A6%AC%EB%B9%84%ED%9E%88
유스투스 폰 리비히라는 식물학자가 있는데요. [최소율]이란 개념을 창안한 사람이예요.
보통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소가 70 여 가지 되는데 그 중 한가지라도 부족하면 식물의 생장은 그 가장 부족한 영양소가 제한한다는 게 요지인데요.

[범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자주 쓰입니다. 최소한 공통된 기본 바탕이 있고나서 그 뒤에 더 예리하게 다듬는 것이 필요하지요. 현시창님의 이번 설명은 요지가 참 명쾌하네요.

그런 의미에서 범용 함정(표준 함정)에 관한 생각도 같은 방향이시면 참 좋겠는데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