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8-08-18 13:53
[질문] SM-3 Block IIA 를 이지스 어쇼어에서도 사용하겠죠?
 글쓴이 : 니내아니
조회 : 1,700  

요게 일본이 도입하는 육상형 이지스 어쇼어에서 사용하려는 것이겠죠?

그런데 애네들도 참 어정쩡한게...이지스 어쇼어에서 사용될 레이더가..SPY-1D..(탐지거리 RCS값에 따라 틀리지만..대략 500키로)

SPY-6요청했다가..안팔아~~~

SM3 블럭 1만 사용하려는것일까요?


하긴 사거리 2500키로 발당 3000만불 짜리 SM3 블럭2는 사치일지도..(블럭2는 미일 합작품)

미국이라고 해도 가장 최신은..F22처럼 안파나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니내아니 18-08-18 14:01
   
글을 적고 나서 생각해보니...SM-3 Block IIA  공동 개발 해놓고...SPY6레이다 사지도 못하고...

참 일본도 삽질많이 한다는 생각입니다..
드림케스트 18-08-18 14:12
   
호객님...
렴마군작 18-08-18 14:33
   
일본이 채택한 록히드마틴 LRDR의 통상 탐지거리는 4,000km라고 하네요. 그리고  이 레이더의 핵심은 스텔스 탐지 전문 레이더 라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SPY-1D PESA 를 쓰는  루마니아와 폴란드의 지상형 이지스 지상형 대비 LRDR AESA 를 쓰는 일본의 이지스 지상형은 요격범위가 2~5배 이상 증가한다고 하네요.
 500km요격->2,500km요격 가능.
또한 일본의 공고급과 아타고급 이지스함들은 레이다를 모두 PESA에서 AESA로 바꾼다고 하는 데 이 경우 탐지거리만 해도 2.7배 정도 늘어난다고 합니다. 게다가 LRDR과 연동되면 일본의 이지스함의 Engage on Remote 요격범위는 5배 증가한다고 하네요.
     
니내아니 18-08-18 14:43
   
록히드 마틴 SSR은 일본 산업에서의 매우 강력한 참여를 포함 하여 다가오는 Aegis Ashore 설치를 위해 일본 에서 사용할 수있는 구성 옵션 중 하나입니다 . Lockheed Martin은 Aegis Ashore 소프트웨어와 SPY-1 레이더를 제공하기 때문에 SSR은 일반적인 통합 공기 및 미사일 방어 Aegis 기준선을 사용하여 최근에 일본의 국방부가 새로운 구축함을 구입 한 방식으로 작동 할 수 있습니다 .

https://news.lockheedmartin.com/2018-01-11-Lockheed-Martin-Demonstrates-Next-Generation-Aegis-Ashore-Solution


록히드마틴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spy1d 맞습니다..
그리고..rcs값에 틀리지만..대체적으로 전문가들이 보는 시선은 500키로 내외라고 합니다..
     
니내아니 18-08-18 14:45
   
제가 틀린 부분은...이지스함의 레이더와 연동되는 부분을 깜박하였네요...
     
니내아니 18-08-18 15:14
   
Long Range Discrimination Radar
줄여서 LRDR ㅡㅡ;;

차별화된 장거리 레이더 라는 말이지요...

그리고...SPY-1D레이더는 원래가 PESA인데요...

또한 개량은 나중 일본 자체에서 할꺼란 말이 있습니다만...원래가 PESA로 나온 레이더를 뭔수로 AESA로 바꾼답니까?
미해군의 알레이버크도 지금까지 나온건 죄다 ..SPY1D입니다..DDG125부터 AESA레이더인 SPY-6사용 예정입니다..
archwave 18-08-18 15:01
   
일본은 지상의 레이더 기지와 이지스 함의 레이더가 전부 같이 데이타 통합되어서 다뤄지고요.
요격 미사일 역시 이지스 함 여러척이 전부 하나처럼 다뤄지는 식이죠.

지상의 레이더 기지가 발견한 적 탄두를 요격하기 위해 이지스 함의 SM-3 가 발사되는 식이 됩니다.

그러니까 탐지거리는 적 탄두와 가장 가까운 위치의 레이더를 기준으로 봐야 하고요.
요격거리는 적 탄두와 가장 멀리 있는 요격 미사일을 기준으로 봐야 합니다. ( 요격 미사일 동나면 가장 멀리 있는 것이라도 쏴야 할테니 )

그리고 사거리 2500 km 라는 것은 거의 다 떨어져서 100 km 고도쯤에 있을때 얘기고요.
SM-3 가 요격하게 될 ICBM 쯤 되면 사거리 1500 km 쯤으로 봐야 합니다.

그건 그렇고 어차피 SM-3 블럭 1 의 사거리는 일본의 요구에 못 미치죠.
     
니내아니 18-08-18 15:19
   
블럭 2 배치되면 요구는 맟춰지는데..

1발당 가격이 3000만불...ㅎㅎㅎㅎㅎㅎ

요거이 문제죠..

천조국도 대량 배치는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archwave 18-08-18 16:13
   
ICBM 의 가격의 절반이기만 해도 성공인거죠. ( 1 기 요격에 SM-3 두 발 쏜다는 가정 ) 3000 만불이라도 경제성(?) 있는데요.

ICBM 날아오는게 감지되면, 요격 미사일 발사만 하고 손가락 빨지는 않을 것이고, 즉각 반격에 들어갈테니, 적국의 ICBM 의 2 배 수량을 다 갖춰야만 할 필요도 없을 것이고요. 적국 또한 한번에 모든 물량을 일본에 다 쏟아부을리도 없겠죠.

뭐 하여튼 요격 미사일이 비싸다 해도, 공격하는 측에 비하면 싸게 드는겁니다.
태강즉절 18-08-18 23:25
   
대륙간...몇발 날라올때.. 그거 발당 가격과의 교환 문제가 아니라..떨어졌을때의 피해를 상상하면..
수조.. 수십조..수백조 ..국가 존망까지.. 몇백억 몇천억 들여 그걸 막는다면..남아도 진짜  대박나는 장사겠죠..ㅎㅎ
태지1 18-08-19 15:03
   
북한의 다연장 방사포 300mm 싸드와 연관 없다는 분들이 계시는데...
싸드 요격 범위 안에 있습니다.
또 개인적으로 뉴스를 근거로 돈 가격 차이가 많았지만 계산해 본 결과
세종대왕함 개장하고 1발당 SM-3 도입 비용과 싸드 레이더와 미사일 도입 비용이 비슷(?)했었습니다.

남한이 북한의 군사비 지출이 20배 쓴다고 해도, 요격율 때문에 막을 수 없고, 비율 격차가 더 벌어지면...
미사일 방어체계는 비행장 등 군 중요시설 말고는 무의미 해 질 수 있는 점입니다.

제 생각에는 감시 정찰 수단이 더 중요하고, 각종 미사일 전력을 더 확보함에 힘을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쟁 나면 당연히 민간인보다 자신들을 살필 것이라 생각하고, 민간인은 거의 무방비 상태에 있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