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10-31 17:45
[기타] [펌] 인도네시아가 KFX분담금을 안내는 이유
 글쓴이 : 노닉
조회 : 7,226  


간단함.

이런 자원팔아먹어 먹고 사는 국가는 연구개발에 거액을 쏟아붓는 개념에 대한 이해가 없음.

항공산업육성은 원하지만 그 산업의 기본이 되는 기술력습득에 돈을 쓰기는 싫어함.

위 그래프 보면 이해가 갈것

동그라미 크기는 R&D 지출정도를 나타냄
X축은 GDP대비 비율. Y축은 100만명당 연구자수임

한국은 질적 양적으로 거의 최상위권이고 인도네시아는 공히 최하위권임.

더 자세히보면 한국은 730억달러를 투자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는 GDP 의 0.1%인 고작 21억달러임.35배가 넘는 격차임. 그마저도 정부지출은 8억달러에 불과함.


이런 대규모 프로젝트의 기술습득에 거액을 투자하는건 우리 생각엔 너무 당연한 것이지만 얘네들 마인드는 전혀 그렇지 않은것임.

100만명당 연구자수도 거의 70배 차이가 남.

이러니 인프라 건설하고 전투기 완제품 수입할 돈은 있어도 KFX개발비 낼돈은 없는것임



인도네시아 F-21 24대 도입 검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야구아제 19-10-31 17:52
   
양아치 같은 놈들.
박카스 19-10-31 18:04
   
우리나라도 kfx 팔아먹을 생각은 접고 이 건에 있어서 인도네시아를 빨리 손절하는게 답인 것 같네요.
신뢰성 면에서 살 나라도 없을 것 같고 혹시 산다하더라도 인도네시아는 크게 도움은 안될 것 같습니다.
     
아리온 19-10-31 19:11
   
사업성때문에 사업 접네마네하던거 겨우 인니 끌어들여서 국무의원들 합의 끌어낸 사항이라 저 새끼들 손절하는 순간, 풀발기해서 덤벼들 얘들 많아서 탈인 상태죠
다비드남 19-10-31 18:23
   
뭐지 이 넘들..
노원남자 19-10-31 18:24
   
카이가 곤란해지는데 정부가 나서서 돈내라고 촉구해야하지않나싶은데요.
     
나루도 19-10-31 18:59
   
카이가 직접 받는 돈이 아닙니다
카이는 정부한테서 돈 받아 갑니다.
즉 빵구나면 정부가  메꿔야 하는 부분입니다 국민들 세금으로요.
Tigerstone 19-10-31 18:56
   
돈안내면 인니연구원 전부 추방하면안돼나. 왤케 호구짓을하는지 저쪽이 비상식적으로 나오면 대응이라도 좀해야지 한국인종특 착한병은 좀한심하네 세게나갈필요가있는데
     
축구게시판 19-10-31 19:03
   
인도네시아가 인구2억7천만. 4위의 작은 나라가 아니죠. 세게나가기엔 그 시장이 너무 큽니다.
앞으로 우리가 가서 해먹을게 많은 나라예요.
          
승리만세 19-11-01 07:38
   
그런식이면 거대한 시장인 중국에는 영원히 비굴하게 노예처럼 사는걸 감수해야하는데, 인도네시아 따위에게 굴종을 할바에 그냥 단교하는게 낫지
영어탈피 19-10-31 19:06
   
이거 젤큰 문제는 인도네시아 저렇게 하이급 전투기에 돈써버리면 kfx 개발되도 살돈 없다고 기술 습득만하고 말 수도 있다는겁니다.
mymiky 19-10-31 19:12
   
한국도 호구짓을 작작 해야함...

일본처럼 영악하게 해야지..

동남아 애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우리보다 중국.일본이  노하우를 더 제대로 압니다.

괜히 한국처럼... 인심좋게 선비짓 하다간
만만하게 보고 털어먹음..

호의가 권리인줄 안다니까요ㅡ.ㅡ
     
부르르르 19-10-31 19:29
   
일본이 뭘 영악하게 했나요?
          
수퍼밀가루 19-11-01 07:41
   
물건만 팔고 기술전수 같은 거 전혀 안 합니다.
배신자 19-10-31 19:21
   
요즘 인도네시아 수도이전 사업하는데 40조원 쓴다고 함

거기에 우리 기업들이 많이 관여되어 있고 울나라가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경험이 있어서

인도네시아에서도 울나라한테 많이 러브콜 보내고 있는 상황.

그래서 정부에서도 강하게 못나가는 듯 ㅡ.ㅡ;;;;
바로그것 19-10-31 19:24
   
이거 아무리봐도 인니가 시제기 받아서 뜯고 맛보고 즐기라며 다른나라들한테 장사할 삘인데
새콤한농약 19-10-31 19:30
   
국가적인 사업인데 잡음안나도록 잘 좀 처리하자..
nigma 19-10-31 22:33
   
흠, 이미 줄건 준 상황이라 하는데다 인니가 저렇다고 하니 차라리 잘됬습니다.
돈 받지 말고 떨어내고 어차피 인니 수도나 기타 여러 다른 분야에서 우리와 교류 교역하기 원하니 저렇게 빚으로 지우고 다른 곳에서 혜택을 받는 것이 훨씬 낫겠다 싶습니다.
특히 파토 내고 인니에 전투기 프로토타입등을 넘겨주줘 기술 유출하는 것보다 그게 낫다 생각합니다. 이미 개발이 많이 진행된 상황에서 입금은 의미도 없으니 그냥 지금 까지데로 서로 빠이 해서 전투기 처 시제기도 넘겨주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게 오히려 우리에게 득이라 생각합니다.
가뜪이나 미국쪽에선 기술 전수나 유출관련 별로 타탁치 않아 생각하니 우리도 좋고 인니도 이미 받아먹을건 받았으니 괜한 미국의 견재를 받는 것보다 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Deft 19-10-31 23:32
   
제발 버리고 갔으면
프리홈 19-11-01 00:38
   
세계 제 4 위의 인구대국이자 GDP 1 조 달라가 넘는 인도네시아 하고 한국과 CEPA (최혜국협정)를 최근에 맺었지요.
차후 인도네시아가 다른 국가와 FTA 를 맺어 한국보다 유리할 경우, 한국도 동일한 대우를 받는 협정이지요.

인도네시아는 40 조원에 달하는 수도이전건도 있어 자금사정은 불보듯 뻔한데요.
인도네시아는 조코위 대통령 취임이후 기술이전에 야박한 일본과 화교를 활용하며 일대일로에서 발톱을 드러내고 남중국해에서 영토분쟁을 일으키는 중국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줄이고 기술이전에 후한 한국을 경제파트너로 삼기로 정책을 결정한 듯 합니다.
한국은 후발주자이므로 비지니스를 유리하게 전개하기 위해 가격경쟁력과 기술이전에 후한 편이고요.

https://www.youtube.com/watch?v=8UsHyJ3n1wg
(인도네시아가 일본을 밀어내고 한국을 선택한 이유, "세계인구 4위 인도네시아의 목숨을 구하는 한국의 기술력")

https://www.youtube.com/watch?v=ZIEjRE5x3h8
(KFX 분담금 '배째라'는 인도네시아, F-16V + Su-35 도입!)

동남아 경제를 틀어쥐고 있는 일본을 제끼고 틈새를 비집고 정착하는 일이 쉽지 않은 관계로 한국은 베트남부터 시작하여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지아로 경제협력을 확대할 것이네요.
그렇지 않아도 상기 3 나라에서 경쟁하듯 한국으로 콜이 계속 들어오고 있네요.

정부도 KFX 에서 어느정도 눈감아 주는 것 아닌지 모르지요....향후 얻을 것이 수십배 더 많기 때문입니다.
현대자동차와 롯데케미칼도 투자하여 생산공장을 세우기로 하였구요.

인도네시아의 95 % 에 해당하는 자동차와 부품시장을 일본이 장악하고 있었네요....기술이전 없이요.
인도네시아 경제도 인구수 5 % 의 화교가 대부분 장악하고 있어왔네요.

즉 "인도네시아 산업로드맵 4.0" 건도 기본계획은 일본에 맡기고 실행계획은 한국에 맡겨 한국이 먹을게 많고 향후 경제개발 계획에도 한국기업들의 많은 참여가 요구되고 있네요.
그리고 수도이전건도 한국의 세종시 건설경험과 성공사례로 한국기업들에 많이 의존하고 있구요.

인도네시아는 미국의 국방수권법에 따른 기술이전의 제한으로 KFX 에서 얻을 기술이전이 많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계약을 파기하자니 계약금문제도 있고 향후 경제개발 계획에 한국에 의존하는 바가 크므로 KFX 에 투자없이 동결상태로  KFX 진척을 봐가면서 현재 그대로 가기로 한 것 아닌가 싶네요.
KFX에 4 대 핵심기술 제외하고는 록마와 보잉의 기술이 많이 들어간 것은 다 아시죠....인도네시아는 미국우방국의 하위레벨이구요.

해서 인도네시아는 기존 보유 33 대의 F-16 을 F-16V 로 업그레이드하고 SU-35 도 구매검토하고 있는데 KFX 에 투자할 수는 있는건지 아님 돈은 안내고 기술만 빼내겠다는 건지 두고봐야 겠네요.

한국 또한 방산수출에서 인도네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고 향후에도 계속되리라 보아 KFX 에서 단절없이 동결상태로 가면서 KFX 성공여부에 따라 차후 문제를 푸는게 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하지 않겠나 싶구요.

KFX 는 어차피 F-16 의 상위 버전이라 여지는 있을 것이네요.
흔한백곰 19-11-01 03:17
   
어차피 인니가 끼고 시제기 받아가는건 Block-I 까지니까 그냥 대충 뜰 정도만 만들어 놓고 핵심기술 적용은 Block-II 이후로 밀어버려도 되겠죠. 그도 아니라면 Block-I으로 일단 계약되어 생산한 물량을 업그레이드 형식으로 핵심장비를 올려버려도 될 것 같고... 그리고 Block-I 기체 자체의 기술도 록마가 껴 있어서 함부로 장사하기 힘들 것 같긴 한데, 푼돈이라도 찔러주면 넙죽 갖다바칠 것 같긴 하네요.
승리만세 19-11-01 07:39
   
인니는 오히려 한국이 제발로 파기해주길 바라고있습니다. 어짜기 공짜로 한국의 기술을 무단 탈취했거든요 ^^
동남아 국가들이 어떻게 한국을 다뤄야 하는지 잘보여준건 덤이고요.
태강즉절 19-11-01 08:29
   
정부는 저거 돈 받는것보다...수도 이전및 신도시 개발에 더 군침 흘릴 것으로다가.ㅎ
수퍼밀가루 19-11-01 08:40
   
한국의 토목 종족들한테는 인도네시아 수도이전 신도시로 벌어들일 돈 마련해줬으니 그걸로 만족!

프로토 타입도 다운 그레이드한 기술만 건네주면 인도네시아도 섭섭하지 않을거 같은데요?

물론 유료로 말이죠...
츄우 19-11-01 10:43
   
인도네시아 버리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현재 신남방정책으로 중국 위주의 교역에서 벗어나 시장 다변화와 북핵 문제나 기타 안보 문제에 공조 협력하는 구상으로 싱가폴, 동남아권 국가들, 인도 등에 경제, 안보 분야 등에 같이 가자고 손을 내밀고 있는 입장 입니다.
사실 대일, 대중, 대북 전략 등과 연관되어 있는 정권의 핵심 외교전략 중 하나이고,
차후 미국의 영향력이 줄어들거나 중국의 압박이 거세지는 상황도 대비하는 전략 중 하나 입니다.
그 중 인도네시아는 세계 인구 4위의 나라로 신남방정책의 핵심 나라 중 하나 입니다.
국무위원들 반발도 반발이지만 여기 베트남이니 말레이시아니 인도네시아니 이런 나라들 잘 어르고 달래서 데려가고 싶은 게 우리나라 정권의 현재 마음 입니다.
그러니 지금 필리핀이 중국하고 미국 사이에서 간 보며 이득 취하듯.
동남아 국가들이 다들 살짝 배짱 부리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현재 성과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원래 동남아는 무조건 일본 밭 이였습니다.
그런데 일본과 손잡고 몇십년간 자기들 사정이 그렇게 나아지지 않았거든요.
지금 동남아에서 우리나라 영향력이 많이 커나가고 있고 긍정적인 평가가 많습니다.
현재 정권도 이러한 부분을 외교성과로 내세우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 상황이 어려울 겁니다.
     
nigma 19-11-05 11:24
   
KFX에서 그렇게 한다는 것이지 다른 것이 그렇다는 것이 아닙니다.
인티와 KFX만 걸려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잠수함, T-50 등도 그렇고 KFX에서 그런점은 인니 입장에서 사소하고 지엽적인 것으로 이미 차고 넘치도록 받은바 우리가 잘 마무리하면 괜찮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리가 KFX에 관해 얘기하면서 인니를 언급하다보니 마치 인니 전체를 그리하는 것 같아보였겠으나 KFX에 한정이고 또 우리가 그리한다고 해서 인니가 그렇게 서운해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받은 것이 차고 넘치고 앞으로 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니 만큼...
개구신 19-11-01 11:01
   
동남아 경제규모 1위에 소득도 꽤 높은나라임에도 왜 이러나 싶었는데,

애초 연구개발 예산이나 인식 자체가 아직은 부족한 나라였네요.

다만, 쓸만하게 뽑아놓으면, 기존의 구매수량보다도 더 가져갈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어찌되었건 자원부국에 돈도 많은 나라니.
이도저도 19-11-01 13:17
   
발제글도 충분한 이유지만 동남아 국가 대부분이 냉전시대때 제3세계국가들로 분류된  국가들입니다. 3세계국가 대부분이 잘사는 국가 하나붙잡아 얻어먹는 정책을 많이했습니다. 그 밑바탕이 아직까지 남아있습니다.  국제교류의  접근방식자체가 많이달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