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9-16 01:19
[잡담] 수리온 헬기 중동 판매 성공?????
 글쓴이 : MK통신소
조회 : 3,714  



수리온 헬기 중동 판매 성공 했다는 애기가 나오고 있는데

팩트인가요? 베트남 판매보다는 중동 뭐 국가에 팔렸다는데..엠바고 걸려 있는듯 

사우디 천무처럼 조만간 중동 언론에 나오는게 아닌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피엔스 23-09-16 01:42
   
중동이라고하면 왠지 UAE일 듯 하네요
특전사랑 훈련도 같이 하니까
살수있다면 23-09-16 02:24
   
이런 수리온이 팔리다니....
베트남은 소형무장헬기 와 수리온 구입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헬기까지 팔아 버리면 우리나라에서 못판 무기는 없는듯 하네요 ㅎㅎ
사다리공장 23-09-16 02:27
   
수리온은 첫 해외판매라 첫구매자한테 잘해줄수 밖에 없었을듯. 판매조건이 어떻게 될라나.
피싱맨 23-09-16 03:16
   
UAE 아니면 사우디인데
     
도나201 23-09-16 05:57
   
수리온 판매 이야기는 전에 조금 나왔는데.

오히려 uae 는 현재 미국에게 조금 개기는 중이라서  무기판매관련해서 조금 제약이 있는상황입니다.
사우디 역시  엔진관련해서 . 미국엔진이기에.  수출은 힘들다고 보고 있고,

이두국가는 예저녁부터 알아보고 있었지만, 구매의사를 밝혔어도 미국에 대한 승인문제가 걸려 있는 국가입니다.

의외로 쿠웨이트가  수리온의 구매의사를 밝혔다라는게  재작년부터. 거론된 상황이였습니다.
쿠웨이트의  대공사관련해서 수주건도 있고해서 .
현재 쿠웨이트에서 ... 수리온의 구매의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기에.  카타르 역시.    밝혔던 상황인데.       

uae 가 만약에 구매했다라고 한다면  굳이 엠바고 걸릴이 없고,
사우디라면 엠바고 걸렸을 것은 당연한데. 

엠바고 걸릴 국가가.....  쿠웨이트 ,  카타르 역시 엠바고 걸릴 확률이 높은게.
이쪽은 터키하고 조금은 연관지어서 이야기해야 하기에.  엠바고가  어느정도 걸렷을 겁니다.
태지2 23-09-16 03:35
   
제발 새(鳥)라도 안들어가게 돼지 코쿠녕 앞에 다른 핼기들처럼 열 전도 거름망이라도 달았으면 합니다.

계속 안 다는 이유를 저른 모르겠습니다.
달아서 열전도 하면 힌냉지에서도 목표 행동을 할 수 있었을 것인데... 안 하고, 못 했었습니다.
그런데 다른 미국 헬기들은 다는데...안 달고 있는 것입니다.

남극에서도 떠야 하는 일이었는데 실패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에 관하여 정부나, 언론이나 아무 말이 없는 것 같습니다.

미국 UH-60이 우수 하다면 그 내용도 써야 했었을 것입니다.

어느 강도에서 유지 할 수 있고, 어느 시간 유지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것은 그 돈 쓰임의 양과 비율에 있었을 것이고요.

ps- 미국의 개 돼지들... 한국민 속에 있다 생각합니다.
     
두루치기 23-09-16 05:14
   
유럽헬기 라이센스 한건데....
     
도나201 23-09-16 05:58
   
鳥 ㅅ 도 안들어가는 소리를  열심히 하고 있네.....ㅡ.ㅡ

버드스트라이커는.  비행기나 .. 버드스트라이커고,
헬기는 버드스트라이커 없다라는 사실도 모르는 무식한놈.

메인로터 바람과 소음때문에.. 새들은 근처에도 못온다라는 사실도 모르는 놈.

그리고 결빙현상관련해서 이야기하면.
이미 자구책마련해서 개량된지가 언제인데..... 선동문구나.. 헤대고,
남극...  웃기는소리하고 있네

uh60 관련해서 uh60도 최신형이나 괜잖은것이고 그것도 현재는 차세대헬기사업때문에 단종된 헬기를 뭣하러 거론하고 있는지.
거기에 시콜스키사의 갑질이 때문에 사실상 육군에서 단절한 사실도..모르고 있는상황임.
          
마술 23-09-16 06:36
   
어느 나라이든 헬기 수출이 가능하다면 다행입니다.
헬기가 수출되면 점차 자체 개발도 가능하리라 기대합니다.
          
태지2 23-09-16 09:29
   
새(鳥) 떼들 무리지어 이동하는 것 본 적이 있나요?

내 경험에 겨울에 바람 쎄지고, 날씨가 갑자기 추워졌는데...
여러 종류의 새 떼들이 같은 방향으로 욺직이는 것을 보았습니다.
새들이 알아서 피할 수 있는 그런 상태가 아니란 생각을 합니다.
그냥 막으면 되는 일이고 열 전도도 하면 되는 일, 2중으로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일인 것입니다.

PS- 옛날 제가 과수원에 참새 잡으려고 제가 새그물을 설치 했었습니다. 그 때는 불법이 아니었습니다.  아침에 일찍 일나서서 가보니, 오만가지의 새들이 하늘 저 멀리에 있었고, 그 새들이 제가 설치한 그 과수원에 오기를 바랬었습니다. 그런데 진짜로 왔었습니다. 희망과 절망(새 그물이 다 찢어질 것 같아서)을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설치한 새그물이 역활을 못할만큼 거짐 넘어져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그 넘어진 새그물에 5~8마리인가 새가 달려 있었습니다.
               
MK통신소 23-09-16 10:49
   
근데 결빙 현상은 이미 열선 깔아서 해결한걸로 아는디요?
               
하나둘넷 23-09-16 11:04
   
//태지2
Most strikes and resulting damages occur on the front fuselage section, mainly on the windshield, than on the main rotor.

글 적었는데 에러로 몇 번을 날라가는지... ㅋ

길게 적은거 포기하고 간단히 적자면... 생각만큼 걱정할 수준 아닙니다.

대부분의 로터크래프트(회전익기)에서 발생하는 버드스트라이크 피해는 영어글에도 나와있듯 전방동체구역 특히 조종석 윈드쉴드에 집중되는 편입니다.

회전익기의 에어인테이크는 고정익기의 에어인테이크와 달리 버드스트라이크에 피해를 입을 확률이 매우 낮으며 실제로 여타헬기들 중 에어인테이크앞의 장치를 달고 있는 기종들의 경우 버드스트라이크 대책용이 아니라..

먼지/비산물의 엔진흡입을 막기 위한 장치입니다. 물론, 겸사겸사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주목적 아니고요.

수리온은 전방으로 상당히 앞으로 나온 에어인테이크에 그런 형상이니 확률이 타기종대비 조금 높을 수는 있지만 큰 문제는 안됩니다.

쌍발엔진을 갖추고 있기에 한쪽엔진이 정지가 되어도 다른 엔진으로 동력계통을 구동시킬 수 있어서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리온은 에어인테이크 전방에 따로 장치를 설치하는 형태가 아닌 에어인테이크 구조설계 및 안쪽으로 먼지/비산물 억제를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운용국가의 항공안전규정 및 관련기관에 의해 도입기체의 먼지/비산물들에 대한 요구대책수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어떤 국가는 별도의 먼지/비산물 차단장치를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어떤 국가는 별도의 장비 설치를 요구하거나.. 아니면 조건에 따른 "제약"을 걸고 운용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나둘넷 23-09-16 10:44
   
//도나201

영어를 할 줄 알면... 좀 확인은 하고 글 적으세요. ㅋㅋㅋㅋ

rotor craft birdstrikes 라고 검색을 해보던가...
EASA에서 낸 보고서도 나와있으니까..

아니면, 구글 검색으로 이미지 검색만 해봐도..  버드스트라이크 당한 헬기들 줄줄이 나오니까..

아는 척도 어지간히 해야지... 보고 있자니 가만히 있을 수 없는 수준낮은 댓글...

이런 사람이 여기선 뉴비들한테... 전문가 고수 취급받는게 가생이 수준..ㅋㅋ
               
점퍼 23-09-16 13:07
   
님은 찾아보시고 말하시는 것인지? 검색을 해봐도 엔진흡입구로 빨려들어가 버드 스트라이크 사진은 찾기 쉽지 않은데요?
통계를 봐도 85% 정도가 메인로터와 케노피에 부딛쳤고 1% 정도가 엔진에 빨려들어간 경우.
일단 헬기 자체가 앞으로 전진하기 위해서는 메인로터를 앞으로 기울여야 함. 그럼 엔진 앞부분은 모두 메인 로터가 가리게 되고 바람은 하방으로 흐르므로 아래서 엔진쪽으로 올라오기도 힘듬.
메인로터의 RPM 은 300~600RPM  정도 되는데, 즉 초당 5~10회전 하는 작두가 돌고 있는 사이를 뚫고 들어가야 엔진에 도달할 수 있음.
버드 스트라이크 당할 확율도 적은데 엔진에 들어갈 확율은 더더욱 적은 것이 헬기라고 할 수 있음.
gorani 23-09-16 07:46
   
솔직히 중동, 동남아에서 수리온 정도면 최신형 헬기임
아이온 23-09-16 09:00
   
얼마전 수리온 경찰헬기 이륙하는거 20m정도 앞에서 본 적 있는데
생각보다 실제 모습 괜찮고 이륙할때도 소음이 크지 않아서 인상 깊었는데요.
돼지코도 실제로 보면 그닥 신경 안쓰임.
대팔이 23-09-16 13:52
   
낭설같은데요?
부유한 UAE가 AW149나 H145대신 FAA형식증명도 받지못한 수리온을 구매 할 이유가 있나요?
     
MK통신소 23-09-16 14:40
   
ㄴ 저정도 애기 나오는거보면 팔린거임 천무도 마찬가지였음
임펙트 23-09-16 19:51
   
콧구멍에 캡 못씌우는건 최근에 유튜브 슈퍼소닉티비에서 안승범씨가 말해준바있습니다.

 수리온의 원형인 쿠거가 원래 샤프란 엔진을 전용으로했는데, 이를 미국엔진으로 바꾸는 바람에 불가능하다고하더군요.

 물론, 그 원리는 잘 몰라서 답해드리진못하겠지만서도말이죠.
     
태지2 23-09-16 21:16
   
스탈리온에도 있고, 다른 핼기에도 국수망 같은 것 달려있는 기종이 많이 있습니다.
그 국수망같은 것을 코구녕 앞에 달면 새(鳥) 안 들어가고,
열선까지 넣으면 2~3중으로 열조절 할 수 있고, 다양성있게 열 조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큰 무게 차지하는 것도 아니고요.

참조- 국수망=https://www.11st.co.kr/products/5968542460?vkey=RLHIS0HZX24SKUXZ3933LKVUU4XMJ4&utm_term=&utm_campaign=%B4%D9%C0%BDpc_%B0%A1%B0%DD%BA%F1%B1%B3%B1%E2%BA%BB&utm_source=%B4%D9%C0%BD_PC_PCS&utm_medium=%B0%A1%B0%DD%BA%F1%B1%B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