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2-01 13:04
[공군] 러시아 로켓 엔진 - 유용원의 군사세계에서 펌
 글쓴이 : 서울뺀질이
조회 : 4,164  

글번호 174780 조회수 : 10867 다운횟수 : 0
작성자 쓴헤이즐넛
제목 러시아 로켓엔진
홈페이지

RD-107엔진입니다. 소유즈 우주선에 탑재되는 모델로써 최초로 인간을 우주공간에 올린 엔진이기도 합니다. 
해수면 기준 추력은 약 80톤 정도입니다. 주엔진 연소실이 4개가 보이고 주위에 있는 작은 엔진들은 자세제어용입니다. 최초모델의 개발기간은 1954년부터 1959년입니다. 여러 소소한 개량을 거쳤으나 아직도 현역인 놀라운 녀석입니다. 사용연료는 액체산소/케로신.

  
RD-170시리즈. 현존하는 액체로켓엔진중 최강의 파워를 자랑합니다. 해수면기준 740톤이라는 미쳐버린 추력을 자랑합니다. (미국의 F-1엔진은 단일연소실로 690톤의 추력을 냅니다.) 쉽게말하면 나로호 3-4개 얹고도 혼자서 우주로 보낼 수 있는 녀석이죠. 에네르기아와 제니트 로켓을 위해 설계된 친구로써 원래는 러시아판 우주왕복선인 부란을 우주로 보내기 위한 녀석이었습니다만.... 소련이 망했죠.
1976년에서 1988년까지 개발했고 사용연료는 액체산소/케로신입니다. 

아틀라스 발사체용 엔진인 RD-180입니다. 해수면기준 추력 390톤을 자랑하죠. 저렴함과 놀라운 효율성에 감명받은 미국친구들이 자국 엔진을 마다하고 아틀라스에 탑재한 엔진입니다. 개발기간은 1994년-1999년이고, 사용연료는 액체산소/케로신입니다. 

대망의 RD-191엔진입니다. 이걸 개조한 엔진을 나로호 1단에 얹었죠. 앙가라로켓용으로 개발되었고, 해수면기준 196톤의 추력을 자랑합니다. RD-170시리즈처럼 4개를 클러스터링하면 800톤도 노려볼 수 있겠죠. 개발기간은 1999년부터 2011년까지입니다. 이번 나로호 성공으로 러시아도 자신의 엔진을 실증하였죠. 사용연료는 액체산소/케로신입니다.    

첨언하지만 우리나라가 러시아의 기술지원을 받은 것은 어찌보면 신의 한수였습니다. 사기먹은것만 빼면...
러시아 발사체는 고체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왠만하면 액체엔진으로 모든것을 해결할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의미에서 고체부스터 사용에 제약이 있는 우리나라로써는 매력적인 대안이죠.
물론 초기가속용으로 고체부스터가 있는게 좋긴 좋습니다....
2013-02-01 02:14:09
나르샤 출처밝히고 퍼갑니다
2013-02-01 추천(0) 삭제 신고 추천
파괴와 창조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추천!!!
2013-02-01 추천(0)
나르샤 출처밝히고 퍼갑니다
2013-02-01 추천(0) 삭제 신고 추천
파괴와 창조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추천!!!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씹덕후후후… 13-02-01 13:11
   
러시아 엔진 기술이 미국보다 더 좋은가보군요
서울뺀질이 13-02-01 13:12
   
그런가 봐요.
캐미남 13-02-01 13:41
   
그것보다 한사이트에 두개의 사이트가 존재하는느낌이군녀
Orphan 13-02-01 13:46
   
아무래도 미려함은 떨어져도 러시아제가 ㅎㄷㄷ하긴하죠
자파리 13-02-01 13:59
   
나로호 1단 로켓...... 회수는 불가능이겠죠?
요번 부칸꺼는 우리 영해에서 낮은 수심이니 건져 올렸겠지만, 나로호는 너무 멀어서리....
건져 올리는 것만 가능해도 내부 구조 연구에 상당한 도움이 될 텐데....
어쩌라고요 13-02-01 14:30
   
rd-180  하악
서울뺀질이 13-02-01 15:28
   
수소 연료 쓰면 좋고  케로신 쓰면  나쁘다는 건  멀 근거로  그런 이야기 하는지  모르겟음.
     
스마트MS 13-02-01 15:51
   
한국에서도 액체 수소 액체 산소를 많이 연구 개발하고 잇죠 ㅎ
뭐 연료통안에 들어가잇긴 하나. 산화제인 액체수소.  로켓의 연료인 등유. 케로신
항공연료로서 많은분야에 활용되긴하나. 딱히 나쁘다고 생각은 되지 않는군요?
액체수소 산소. 산화제나. 등유나. ..흐음

북괴 처럼. 인명따위 무시하는곳에서. 유독성. 폭발성이. 강한. 위험도가 타. 산화 연료에 비해
높은것을 사용것은. 충분히 나쁘다곤 할순잇겟지만
(...금속을 단시간에 부식시키는 정도인데....정은이로부터. 영웅.칭호를 하사 받고. 유독물질에 노출되어 병걸려 뒤질려나)
참치 13-02-01 16:16
   
안타깝게도 요즘 발사체의 대세는 고체연료로 넘어가는 듯 싶더군요. 일본도 그렇고 미국도 그렇고 고체연료의 자유로운 추력제어가 기술이라고 하던데.. 쩝.. 한국은 미사일제약때문에 꿈도 못꾼다는...

암튼 고체연료로켓이 더 저렴하고 제작이 쉽기때문에 상업용도로 개발하고 있다는...
남풍 13-02-01 16:39
   
고체연료는  우리나라도 잘 만들지 않나요?
스마트MS 13-02-01 16:50
   
네 잘만들죠 ㅎ. 현무계열 미사일 또는 기타 유도탄 병기.같은 군용로켓분야나 이번 나로호의 2단 로켓 같은 예를 봐도 한국의 능력을 예상해 볼수 잇을듯 합니다 ㅎ
스마트MS 13-02-01 16:51
   
대신기전 만들던 역사가 이어져 내려오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ㅎㅎ
둥가지 13-02-01 17:27
   
북두칠성 13-02-01 17:57
   
에너지를 태울 때 나오는 추력으로 반작용의 법칙으로 지구 중력을 벗어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열료의 에너지를 기체,고체 연료 선택에 신중해야 하고 도 새롭게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북두칠성 13-02-01 17:58
   
물론 각 연료 마다 경제성 과 위험도가 달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그렇지만
그래도 안전의 비중이 높다면 수소 보다는 케로신이 훨낫죠.
북두칠성 13-02-01 18:00
   
그리고 고체 연료는 바로 발사 준비가 가능하지만
액체 연료는 수 개월 씩 준비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요. 그러니까
지구 밖 위성을 쏘아 올리는 데 있어 여러 방법들 중 최상의 것을 선택 후 집중 연구 , 개발해야 하는데
한국의 특성상 그리 평탄하지는 않아서요. 그놈에 사농공상 주의, 그리고 관료주의 또 치적주의 때문에
현실은 시망.
리마 13-02-01 21:32
   
로켓엔진기술은 미국이 한수 위죠..로켓발사체도 민간외주 할수 있는 미국의 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