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6-02 19:26
[뉴스] 필리핀, 대만산 고속정에 스파이크ER과 RCWS 장착
 글쓴이 : 사스케
조회 : 4,313  
   https://www.asiapacificdefensejournal.com/2022/05/philippine-assault-b… [46]


.

필리핀이 대만에서 주문했던 고속정에 RCWS랑 스파이크ER을 장착했다고함.


영토 분쟁중인 대만말고 한국산 고속정 구입 안하나?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태지2 22-06-02 19:50
   
지구 곡면으로 25km 나온다던데... 스파이크ER도 그 거리이고,
속도가 빠르다면, 상대방이 잘 포착할 수 없다면... 현 상태가 그런 면이 유용할 것 같은데...

울 나라도 그렇지만 핵 투발 수단도 중요하지만 핵탄두, 소형화와 먼저 만들어야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한 의미가 될 것 같네요.

프랑스나 영국처럼 자주 국방 할 수 없는, 친일하던 그 인간들이 미 군정 하에서 재 등용된 울 나라..

미국이 지켜주는데... 자주국방을 왜? 해야 하냐고 말하는 사람이 많은....
아직도 그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 속이려 하는...  그러한 인간들이 많은 울 나라....

잘났다! 하려 함과 돈벌이를 위해 위안부 할머니들을 모집하던 그 앞잡이가 많았었더..
서로 하겠다 했었던 울 나라...

만주에서 독립군 토벌하던 박정희가 대통령 되고, 위안부 할머니들 앞잡이?
그 짓을 하려 했었는데 박정희가 급수 매김으로 공무원 진출 할 수 없었던 울 나라...

친일, 친미, 친중, 친러.... 개 쓰뢰기들이 많은 울 나라...
저보고 짜장이랑 하던 사람들이 많은...
중국어와 한자와 차이가 있어서 다음 사전에서도 다르게 있는데 그 일을 구별 못하는 인간들이 있는 계속 말 하는 나라...

기본적으로 잘났다! 하려 함에서 기본이 안 된 사람들이 말하는 울 나라....
잘났는데 왜 잘났다? 하고 싶었을까?
archwave 22-06-02 21:01
   
저 사진에 나온거 보니 군함이 맞나 싶을 정도로 꼬꼬마네요.
한국에선 해경도 저거보단 큰 거 쓰자고 할 정도로요.
한국산 고속정이 저런 식으로 만들어질 일이 없음.

대만은 어떤 용도로 쓰려고 저런거 만들었는지 모르겠군요. 어쨌든 필리핀으로선 조그만 섬들 사이 사이 왔다 갔다하면서 기관포와 대함 미사일을 운용하는데 알맞을 듯.
     
도나201 22-06-02 22:26
   
예전 참수리 공여를 한 적이 있었는데
저물건 을 들여 왔나보네요.

그런 물건 꽤 됩니다.  공여물건 받아 놓고서 다른 물건 들여놓는..
소문만복래 22-06-03 15:06
   
Multipurpose Assault Craft 라고 줄여서 MPAC 라 부릅니다.
우리말로 바꾸면 다용도 돌격정 정도에요.
크기는 보통의 어선보다도 살짝 작으며, 탑승인원도 가장 덩치가 커진 마크3까지 가서도 8명입니다.

생산 자체는 꽤 오래 진행되어, 15년 전에 사업 시작되었고, 거진 1년에 한척씩 건조했어요.
그때 한국은 구형 참수리를 제외하면 고속정 모델 자체가 없었으며, 심지어 저렇게 작은 -돌격정-은 우리 군 역사에도 없습니다. 대신 상륙돌격장갑차량을 해병대용으로 구비중이죠.

참수리가 인원 30명으로 운영되고, 내부에 침상까지 구비한 꽤 큰 선박인걸 생각하면 비교하는 것 자체가 어이없죠.

심지어, 필리핀은 우리가 공여한 참수리에 대한 보답으로, 참수리와는 가격으로는 비교하는게 불가능한 항공기와 프리깃함을 샀어요.
그런데, 겨우 어선만한 보트를, 그것도 한국에 모델 자체가 없던 시절에 시작한 사업을 두고 뭐라 하는건 좀... 그렇다 봅니다.

게다가,
대만은 대형함 건조능력부족에 설계능력도 부족하지만, 그걸 메꾸기 위해 고속함과 고속정에 긴 기간 올인해온 나라로 꾸준히 신형 고속정이 나오는 나라거든요. 필리핀이 대만에서 고속정을 구매하는건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