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3-16 14:27
[영상] 미군, 한국에 신형 아파치 헬기 배치
 글쓴이 : 라볼레오네
조회 : 2,895  


기존 아파치 헬기보다 성능이 강화된 신형 아파치 헬기가 이달까지 한국에 속속 들어온 상태

피터 슈미트 대대장 "이전 아파치보다 월등히 성능이 뛰어나다"고 평가

우리나라도 36대 아파치 운영중이고 추가로 36대 구매 예정



아래는 영상에 대한 댓글 반응


댓글 1.
산악지역이 많은 한국에선 헬기 부대는 필수다

----------------------------------------------------
댓글 2.
헬기론 힘듬... 바주카포 쓰는 중동에서도 추락하는데...북한이 그정도도 못할까...자폭 드론 시대가 올거임... 기술이 발전할수록 사람 죽이긴 더 쉬어지지...

----------------------------------------------------

댓글3.
아파치 산 뒤에서 쏘는거 가능 적 입장에서는 안보이는데서 계속 쳐 맞는거지

-------------------------------- (실전 경험자 등장)
댓글4.
바주카포라는게 혹시 RPG-7 같은 무유도 로켓을 말씀 하시는거라면….
사실상 AH-64가 RPG-7에 피격 당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제가 US Army SF 소속으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서 여러 미션을 수행하는 동안 AH-64의 지원을 여러번 받았습니다.

당시 상대세력이 RPG-7이나 심지어 맨패즈를 보유한 경우도 있었지만, AH-64의 교전방식에 의해 전부 거부당했습니다.

물론 후티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 소속 AH-64를 SAM으로 격추한 사례가 있습니다만, 개활지였고 기체도 구형인 AH-64A형이었습니다.최신형은 SAM 및 맨패즈에 대한 회피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AH-64는 산기슭 뒤에 숨어 호버링 하면서 롱보우 레이더만 내놓고 엄폐하고 있다가 적 발견시 공격하는 전술기동을 하기 때문에 적 세력이 먼저 AH-64를 발견하는건 정말 쉽지 않아요.

실제로 산 뒤에 엄폐한 채 호버링 하고있는 AH-64는 3~400m 거리에서도 로터소리를 듣지 못합니다.

반면 AH-64는 최장 교전거리가 8~10km 입니다.결국 적 세력이 AH-64를 발견했을 때는 이미 공격받고 있을 시점이라는거.. 아니 아얘 발견조차 못하고 피격당할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즉, 한반도와 같은 산지가 많은 전장환경이라면 오히려 화력투사에 유리한 것이 AH-64 같은 공격헬기죠.그리고 자폭드론 말씀 하셨는데….애초에 자폭이 가능한 수준의 드론이든 헬기든 제공권 장악 후에나 뜰 수 있는 무기체계 입니다.

북한군이 한국군과 주한미군을 상대로 제공권 장악을 할 수 있을리가…없고요.설령 자폭드론을 띄운다 하더라도 AH-64와 조우하기 이전에 한국공군과 주한미군 공군 혹은 한국군 방공망에 먼저 쓸려 나갈겁니다.

뭐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에서 공격드론으로 재미를 봤다지만…. 그쪽 동네와 한반도 전장환경은 아얘 비교 자체가 안돼요.RQ-4 굴로벌 호크같은 고고도 무인기도 한반도에서 격추위험 때문에 제한적으로 운용하는 마당에 저, 중고도 무인기 따위 ㅋㅋ게다가 AH-64는 자체적으로 대공모드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한국군도 AH-64에 스팅어 대공미슬을 탑재하고 있어요. 그 외에도 30mm 체인건으로 대응할 수도 있고요.실제로 북한 특수부대를 태운 AN-2에 대한 가장 유용한 대응수단 중 하나가 AH-64의 30mm 체인건 입니다.

뭐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미육군이 이라크에서 미션 수행 하면서 약 2,700여회 AH-64를 투입하고 약 40여기가 파손됐습니다. 지상개기 중 피격된 기체나 고장으로 추락한 비전투손실을 감안하면 실제 작전 중 피격된 기체는 10기가 채 안돼요.

그 마저도 전부 초기형 AH-64A 입니다.반면 한국군과 주한미군이 보유한 기체들은 전부 Es 버전 입니다. 물론 전투과정에서 피격당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훌륭한 무기도 먼치킨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소수의 피격사례를 걱정해 압도적인 전력차를 유발하는 무기를 무의미하다 말하기는 어렵습니다.현 시점.. 아니 근 미래를 포함해서 AH-64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무기는 고정익 항공기 외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라볼레오네 22-03-16 14:38
   
땡말벌11 22-03-16 14:45
   
보잉에서 라인 준다고 했을 때 받으면 좋았을 텐데
해병대도 굴리고 육군도 굴리고
     
과부 22-03-16 18:17
   
에이젼트가 혼자서 자가발전한걸 정설로 믿고 계신 분이 아직도 계시네
zzanzzo 22-03-16 14:46
   
몰래 들여온것까진 아니고
여태 순환배치하던거 고정배치하는거에요
주한미군것까지 거의 100대 가까이니 적들 지상군은 아파치 가디언 만나는 순간 죽었다고 봐야하죠...
아니 못보고 죽는 확률이 많을듯.
도나201 22-03-16 14:53
   
ah64e 형  그것도 최신형버전... 입니다. 
이게 뭘의미하는가 하면  멈티체계를 구축한 버전이라는 소리입니다.
무인기 6대를 동시에 운영이 가능한 버전이라는 것이죠.

현재 우리나라 ah64e 형은  멈티체계가 빠져 있는 버전이고,    이를 수출한 경우는 없습니다.
일본도 라이센스생산이지만, 
이 멈티체계는 빠져 있는 버전이죠.

몇가지가 있죠....  데이터링크체계 자체가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기종으로서
사실상 주둔군과의 연계작전이나 특히 우리나라 처럼 무기종속적인 국가에게서 연대작전에 상당히 유리한 기종이라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무인기 6대 .. 멈티체계를 지원한다고 발표는 했지만,  무인기의 존재가 공개된 적이 없는 상황이고,
자폭형인지, 
아니면 프로데터 연계인지도 아직까지 언론에 공개된적이 없다라는 것입니다.

심지어 우리나라와 같이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자폭형 무인기도  미국에서 적아를 구분할수 잇는 장착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링크16체계가 통합되려면  상대국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기 마련이죠.

배치가 되었다라는 것은 이러한 무인기에 대한 적아구분책이 마련되었다라는 것이고,
상호간의 네트워크체계가 연계가 된 상황이라는 것이죠.

이제 무인기관련해서 우리나라가 엄청나게 뽑아내는가 하는 문제는 넘어간듯이 보여집니다.
우리나라 무인기 관련해서는 미국과의 통신연계는 필수일테니까요.

그리고 ah64e 에 .. 가장 큰 적은 바로  화승총입니다 북한의 맨패드... 죠.
결코 무시할만한 무기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워낙 많은 숫자가 깔려서..  산등성이마다 한두발은 배치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죠.
결국  ah64e 관련한 무인기 멈티체계가 실질적인 발동준비를 마쳤다고 봐야 하겠죠.
이에 관해서 그동안 무인기 개발에서 미국과의 연계성 협약이 마쳤다라는 의미이기도 하고 .

그동안 미국과의 동맹체계에서 상당히 어려운 부분을 해결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무인기의 수출에 많은 영향이 끼칠것으로 ㄹ보여집니다.


그리고 참고로 아파치 추가구매건은 연기되었습니다.
     
땡말벌11 22-03-16 15:08
   
추가 구매가 연기되었군요. 크헉
아파치가 북한에게 취약한 것이 맨패드도 있지만 산악에 깔린 그물망도 문제라고 하던데요.
전쟁나면 순항미사일과 공격용 무인기, 헬기 대비해서 그물망을 친다고 들었거든요.
야간 작전때 최악이죠.
          
도나201 22-03-16 17:07
   
그물망은 그리 큰위협도 아니고  헬파이어 사거리가 7km 이니..
사실상 그다지..

문제는 화승총으로 알려진 .. 북한의 맨패드가..  소대단위로 배치되는 수준이고,
이에 대해서 미군헬기가 dmz를 잘못넘어서. 아작나는 . 상황에서 .
북한 맨패드의 대한 연구가 진행된 상황임.

DIRCM  의 항공기에 대한 기본장착이 이뤄져서 그나마 다행이기는 한데.

수리온 부터 시작해서 LAH 까지 기본장착으로 갈상황임.

하지만,  이게 거리가 짧으면... 사거리 1.2KM 내에서 발사되면 위험하기는 함.
그러니  소대마다...  운영병력은 바로 .... 산등성이로 대기타고 있다가.
쏘면 . 이게 근거리에서 위험지수가 높다라는 것임.

그래서 천검을 일부러 유선+무선방식으로 개량해서  사거리를 최대한 늘리려고 하고,
거기에 엄폐후 유도후 자동유도명중라는 전술을 택하게 됨.

AH64 의 경우는 바로  사거리밖에서 발사후 ... 퇴각이고,
뭐 헬파이어. 암살버전까지 증명된 마당에  .  더이상 헬파이어의 운영에 대해서는 말할필요가 없기는 합니다.

하지만,  낮은 산악지형이 펼쳐진 상황에서 어디서 날아올지모를 위험성은 산재되어 있다라는 것이죠.  산악마다  체크해가며 진군하기에는 작전의 효율성이 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라는 것입니다.
기간틱 22-03-17 16:38
   
이제 구형이라 내 후년에 단종됩니다.
미군은 좀 더 비용 대비 2 배의 효과를 낼 신형 헬기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고 확인 되었어요.
우리에게 현지 생산할래? 했지만 받으면 안됍니다. 우리도 신형으로 나가야합니다.
저거 받으면 과거의 화려한 명성에 눈 멀어 그대로 주저앉고 말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