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6-30 12:35
[사진] 중국 J-20 근황
 글쓴이 : 노닉
조회 : 5,484  


WS-15 엔진 2기 탑재한 시제기 초도비행 성공함



초도비행 성공 축하하는 사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ugustus 23-06-30 12:49
   
초도비행 이미 진작에 성공했던 거 아니었음???

아 새로은 엔진 장착하고 한 거구나 ㅋㅋ

새 엔진 성능은 어느 정도 되려나요?
     
소문만복래 23-06-30 13:14
   
뭐 목표성능은 슈퍼크루징이 되는 수준이던데,
실제로는 모르죠.

문제는 이런식으로 카피캣으로 시작해 결국 지금 중국은 반도체니 전기차니 각종 전자기기를 만들어대는 나라라는겁니다.
당나귀 23-06-30 12:59
   
길죽하구먼..
종속 23-06-30 13:15
   
궁금해서 물어보는건데 스텔스기에 카나드를 왜함?
RCS만 높이는건데 결국엔 비행성능이 카나드를 달지 않으면 부족하다는 반증아님?
     
구름위하늘 23-06-30 13:25
   
비행 안정성을 위해서는 가장 좋은(?) 선택이니까요.
다른 단점들이 많이 있지만, 카나드 설치만으로 비행기가 비행이상에 빠지는 많은 경우가 해결된다고 합니다.

항공기술 수준으로 비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
안전한 카나드 설계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유럽제 항공기도 카나드 채용은 많이 하니까요.
          
종속 23-06-30 13:48
   
유로파이터, 라팔 등 유럽제 전투기들이 채택한건 아는데 스텔스기의 최우선 목적은 스텔스잖아요. 그래서 물어본거에요
RCS를 손해보며서도 카나드를 하는 이유가 비행성능의 안성성 미달인거라고 봐야되나 싶어서요
               
대충123456 23-06-30 14:01
   
정답
               
Tigerstone 23-06-30 14:10
   
쟤만들때 미국같이 엔진을 작게못만들어서 큰엔진넣을려고 기체가커졌는데
그마저도 출력저하라 비행안정성이 똥망이되서
울며겨자먹기로 카나드달았다고 알고있음  그럼에도 전투기로서 기동성이 너무안나와서
전투기로는 사용못하고 폭격기로 전용할정도로 똥망기체임
출력높인엔진 달았다고하지만 설계자체가 최적화되지못한 비정상적인기체임
               
구름위하늘 23-06-30 14:30
   
RCS를 기준으로 보면 카나드와 더불어 수직미익도 상당히 영향을 줍니다.
(카나드도 카나드 자체가 RCS를 늘린다기 보다는 카나드와 연관된 구조물로 RCS가 증가한다고 합니다.)

중공의 항공기술이 미국에 비해서 미달인 것은 맞지만,
델타익+카나드 선택 자체가 스텔스기의 비행성능 안정성 미달의 증거이냐는 아닙니다.

그냥 종공이 아직 실력이 안되는 것 입니다.
델타익+카나드를 선택하던 주익+수평미익를 선택하든지요.
               
user386 23-07-01 11:24
   
님 말대로 유로파이더, 라팔등 4.5세대 고성능 전투기에도 흔히 볼 수 있는게 카나드
입니다만... 완전 5세대 F-22 급이라 천명한 중국이 카나드를 채택한건 그 만큼 기체가
불안하다는걸 스스로 증명하는 겁니다.

오죽하면 RCS값 줄이는데 백해무익한 카나드를 달았을까요?
일반적으로 델타익 기체들이 고속 주행시 전면부가 자꾸 들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소문만복래 23-07-20 10:30
   
비행성능의 안정성 미달이라기 보다는,
엔진의 문제가 가장 큽니다.
델타익 항공기는 항속거리에서 유리하고 속도를 내기에도 유리합니다.
다만 기동성에서 문제가 생겨, 그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나드를 달아야 하는 것이죠.
즉, 중국이 카나드를 단 델타익으로 스텔스기를 개발한건, 엔진 문제가 가장 큰 이유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카나드를 최대한 주익과 수평으로 놓는 등, 어떻게든 이런저런 반사면적 줄일 수단을 적용하여, 최대 0.5제곱미터 정도로는 줄여놨다고 보면 될듯 합니다.
물론 기동시 카나드 움직임에 따라 반사면적이 크게 요동칠것이 뻔한데, 그건 뭐 그때의 일이고, 일단 당장의 동북아 전력우위를 위해 저 형태로 개발했고, 어쨌건 양산하고 있는거죠.
     
토마토피아 23-06-30 19:34
   
카나드가 rcs를 높이는 건아님.
미익이나 카나드나 그물에 그나물임.
          
slrkanfk022 23-06-30 22:05
   
제대로좀 알자.
카나드가 있다는건 그자체로 rcs를 높이는 요인이고
더한건 저게 움직일때마다 rcs가 요동을 친다는거임,
레이더 반사가 일정하게 반사되야하는데
카나드로 반사각이 변하기때문임.
F22  f35가 카나드 없는 이유가 뮌데?
게다 카나드  구동부위 틈새만 있어도 rcs값이 올라감.
그래서 그것 줄일려고 반사각을 위해서
톱니방식으로 무장창베이 기어베이에도 쓰는거임.
난반사를  줄일려고 하는건데 움직이는 카나드는
치명적임.
               
엘카이나 23-06-30 23:33
   
반은 맞고 반은 아님. 카나드의 rcs 관련 문제는 전면 rcs 상황에서 일반적인 주익미익 형태의 구조는 주익구조에 후미익이 일정부분 가려지기때문에 rcs 에 영향을 카나드에 비해 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카나드가 전면 rcs 에서는 카나드면을 가려주는 줄수 없기때문에 불리한게 맞음. 다만 최신연구결과로는 순항상황에서 전면 rcs 값은 설계를 잘 한다는 가정하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그보다 문제인건 구동부위가 가지는 갭으로 인한 rcs 값 증가. 다만 j-20 이나 라팔같은 경우는 카나드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제껴두고 카나드의 구동부위 관련한 rcs 값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면에서 구동부위가 안보이가 경사를 줘서 전면에서는 구동부가 노출되는 상황을 최대한 방지하고 있음. j-20 의 또다른 문제는 카나드 만으로도 기체안정성과 기동성 저하를 막을 수 없는 저열한 엔진출력과 너무 커다란 동체로 인해 벤트럴 핀을 추가로 장착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 이로 인해 j-20 은 카나드로 인한 전면 rcs 문제와 더불어 하부 rcs 에서도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는 벤트럴핀의 존재로 전반적인 rcs 에 큰 악영향이 있어 f-22 나 f-35 급의 스텔스성은 가질 수 없을 거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함.
좌빨척결 23-06-30 13:31
   
라팔에 비교하면 카나드가 주익 같이 큼. 잘 보이려고 그러나?
푹찍 23-06-30 16:18
   
랩터 따라가던 캐노피 보라매 따라서 바꿨네 ㅋ
대팔이 23-06-30 19:42
   
WS-15가 제원상으론 PW-F119를 능가하는데..
관건은 엔진수명...
     
slrkanfk022 23-06-30 22:06
   
짱ㄲ가 말하는 스펙을 믿는 밀메는 없음.
나그네x 23-06-30 22:05
   
카나드가 무조건 스텔스에 악영향만 있는건 아니라고 들은것같음. 그 예로 미해군의 보잉 차기 6세대 컨셉기체에 수직미익은 없고 대신 카나드가 있는 6세대컨셉도 있는걸로 보면..
boodong 23-06-30 23:23
   
미익이 앞에 있으나 뒤에 있으나 기능은 똑같이 방향을 바꾸는 역활이고,
전면에 있는게 비행안정성에 좀더 도움이 된다고 알고 있네요.
스텔스적인 면으로 볼때에는 어디에도 이게 좋다라고 말할 수 있는 자료는 아직 못본것 같은데요???
중요한건~ 미익이 앞에 있으나 뒤에 있으나 ROC가 요동치는건 매한가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