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7-19 07:50
[잡담] 쌍동선 항모?
 글쓴이 : 환9191
조회 : 3,652  

조금만 생각해보면 답 나오지 않나요
멍텅구리 활주로만 이용 할라면 가능하지만
필수 인원  5000명 거주 공간
비행기 정비 수리공간
각종 비행기 부품  탄약 유류 식자재 창고
최악의 경우 6개월 이상 보급 없이 임무 수행
할지도 모르는데
쌍동선은 조조 연환계와 똑같음
배가 흔들리는걸 조종사 훈련으로 극복해야지
미국이 못해서 안하겠습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현시창 20-07-19 08:45
   
쌍동선은 동일 배수량의 단동선보다 추진동력이 더 커야 속력을 맞출 수 있습니다. 또한 선체의 선회반경이 매우 커지는데, 이는 풍향에 따라 수시로 방향을 바꿔야 하는 항공모함 같은 함종에겐 치명적인 문제이며. 어뢰등을 회피하는데 있어 여전히 항공모함의 급선회는 좋은 방어전술 중 하나입니다. 미해군이 괜히 항공모함으로 급선회 훈련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엇보다 쌍동선의 경우 두 선체의 접합을 갑판부가 감당하는데, 선체가 커질 수록 그 부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쌍동선이 4000톤 규모인데,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해 만듭니다. 그야말로 경량화에 목숨을 걸었지요. 만일 이걸 방탄강으로 설계한다면 이 하중을 버틸 기술이 지구상에 존재할까요? 아마 없을 걸요.
SuperEgo 20-07-19 09:10
   
고 기동성을 요구하는 군함에 절때 어울리지 않는 선체구조죠.
모든걸 포기하고 만든다면 쌍동선형의 항공모함이 가능은 합니다만
그건 아마 배라고 부르기도 뭣한 수준의 군함이 될겁니다.
차라리 이동식 해상 공항이라고 하면 모를까..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했던 Allseas사의 'peter schelte' 호를 보면
대충 어떤식의 배가 될지 감이 올듯하네요.

https://www.google.com/search?q=pieter+schelte&sxsrf=ALeKk00JqoIDYdmL2Odu0CV3bNeeXeswlA:1595117376071&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Ei82kg9jqAhUmGKYKHbqHA2oQ_AUoAXoECBkQAw&biw=1559&bih=927#imgrc=jPZFYppxQNQSMM
도나201 20-07-19 11:56
   
우선은 저 쌍동선이 항모를 위한 설계인지.....정확하지는 않고
예전 대우조선인가 어디사 쌍동선 개발 제작하다가 실패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후 작년인가......다시 쌍동선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을 다시 추진한다라는 이야기가 돌았는데.
아마 그일환이 아닌가 보여지네요.

쌍동선보단 삼중선이 오히려 안정성이나 어뢰공격에 대한 대비도 있기도 합니다.

이부분에서는 뭐 개인적인 정확한 지식이 없어서 말하기 곤란하기도 하거니와.
우선은 항모 자체 설계에 쌍동선을 설계한다라는 이야기는
와전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항모자체가 고기동성이기 보다는 고출력의 속도를 추구하는 형세라서.....
쌍동선의 추진력이 나아진다면.....모르겠지만,
쌍동선의 출력으로 인한 속도상승은 노리기 어렵다라는 측면이 있습니다.

거기에 정비창 및 기타 공간확보측면에서 굉장히 불리한 구조이기도 하고.


차라리 이러한 쌍동선을 여러대 만들어서 울릉도공항대처용으로 만든다면 모를까.
실전에서의 쌍동선건조는 아직까지는 기술적인 난이도와 더불어서
실용적인 측면 몇가지가 힘들다라는 현실적인 난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nigma 20-07-19 14:41
   
그냥 출품 디자인에 쌍동선을 채용해서 그렇지 그걸 진지하게 생각하는 분들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굳이 글을 파지 않으셔도... ^^;
새끼사자 20-07-19 16:32
   
근데 러시아도 그렇고 일본도 그렇고 심지어 미국내에서도 쌍동선 형태의 캐리어 디자인이 지속적으로 나오고는 있네요...
뭔가 장점이 있으니까 나오는 듯...
쌍동선보다는 삼동선이 더 장점이 많은 것으로 나오긴 하던데...삼동선은 이미 군함으로 디자인이 되서 나오고는 있긴 하네요...
역시나 기술적인 한계와 건조비용이 가장 큰 걸림돌인 것으로 이야기가 더 많이 나오네요. 아직 장점을 적극 가져올 수 있을 만큼 싸게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단점인 듯..
방탕중년단 20-07-20 10:43
   
장점이 치명적인 약점이 될수도... 한쪽이 터지면 그다음부터는 수습불가..
나가자 20-07-20 10:56
   
전자기력을 이용한 추진체계가 실용화 된다면 쌍동선 혹은 삼중선이 추진력을 얻기에 더 좋을지도 모르겠네요....
먼 미래가되면 진짜 쌍동선 고속 전투함이나 항공모함이 나올지도...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