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2-18 15:57
[사진] [펌] 우크라이나의 지역별 정체성
 글쓴이 : 노닉
조회 : 2,118  




보통 저만큼 큰 강이 있으면 자연경계를 따라서 민족/문화가 분할되는게 정상인데 동남부/중서부로 갈리게 된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국가주의 자체가 근대에 생긴거라서 그럼


네덜란드나 오스트리아가 독일이랑 어느정도 다른 길을 걸어온 것과는 다르게 우크라이나(키예프)는 러시아(모스크바)로부터 독립적인 역사를 가진 기간이 매우 짧고 우크라이나라는 나라의 정체성이 분할된것도 탈근대주의, 반제정주의로 들고 일어난 러시아 혁명기때가 최초고 소련 해체시기가 2번째임


서슬라브 국가들한테 오랫동안 영향을 받은 서부 우크라이나는 당연히 동슬라브인 중, 동남부 우크라이나랑은 문화나 정체성, 언어부터가 다르고(흔히 말하는 러시아 사람들이 잘 못 알아듣는다는 '진짜 우크라이나어'를 쓰는 지역이 여기임)


중부지방 역시 서부랑 가깝기도 하고 수도 키예프의 행정영향을 많이 받아서 국수주의적일 수 밖에 없음


반면 동부랑 남부는 러시아 제국시절부터 '러시아인'이라는 정체성에 익숙해져있는 사람들이라 방언을 사용함에도 친러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이고 특히 동부 공업지역은 소련시절 이주한 러시아인 노동자들도 많아서 특히 친러성향이 강한 것임


다만 현재는 오랜 내전과 그에 비해 미미한 러시아의 지원(확실하게 도와주지도 않고 방치하면서 질질 끄니깐), 그리고 우크라이나 정부의 반러 프로파간다로 인해 동남부도 반러성향이 짙어지고 있음


당장 마을에서 '반군/러시아군 새끼들때문에 우리아들이 죽었어요 X새끼들' 하는데 혼자 러시아 지지발언 해봤자 돌맞을게 뻔하니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22420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2-02-18 17:20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중립이나 나토의 비호아래 들어가는 것이 정치적으로는 유리하겠지만
전쟁 위협과 경제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친러로 가는 것도 방법이죠.
애초에 나토와 러시아의 관심 분쟁지역은 폴란드와 발트3국이었다는 점에서 우크라이나가 천서방 정권 이후의
외교횡보가 사실상 반러에 가까웠고, 러시아가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부분부터 우크라이나에 대한
보복적 횡보를 기획하게된 계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오렌지 혁명 이후에 굳이 가스관 등에서 혜택을 준 러시아와 굳이 외교적으로 척을 두고 자극을 했는지.....
중립외교에 대해서 관심도 없었던 듯. 결국 이익이 안되니 서방국가들도 고개 돌리고 있고........
안타깝네요. 나토에서 지금처럼 미적거리면 친러로 가는게 맞을 듯. 러시아가 원하는 최종 목적일 수도 있구요.
다른생각 22-02-18 17:44
   
지도의 저 색깔은 무어냐라는 의문이 생기실 분을 위해 첨언하자면 행정구역별 이주 러시아인 인구비율과 지지 성향 비율임.
러시아인 인구 비율이 높은지역일수록 친러 성향이 강한데 얼마전에 러샤에 병합된 크림반도가 60프로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지금 내전중인 동부 루한스크,도네츠크 지역은 40프로 정도됨..
그런데 선거를 하면 90프로 이상의 주민이 친러 정당을 지지함..
여기서 알수있는게 경제가 종속될수록 특정 민족군 비율이 증가하고 이 비율이 40프로가 넘어가면 정치적인 쏠림현상이 한쪽으로 지나치게 기운다는거.. 그리고 여차하면 이게 딴주머니 차겠다고 직접적인 행동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크다는거..
남부 나머지 지역도 친러 성향이 짙다지만. 러시아인 비율이 20프로전후라 크게 힘을 못쓰는정도..
정치적 성향도 친러와 친서구 반반이라 아직은 우크라이나인이라는 정체성이 강함. 
하지만 러샤인이 주요 구성원으로 모여사는 마을이나 일부 도시에선 모름..
러시아의 전략 목표와 공작질을 어떻게 하느냐에따라 게릴라 천국 후방이 될지도. 
저 색깔이 보여주듯.. 나머지 지역의 러시아인 비율은 10프로 미만임..
따지고보면 우크라이나에 러샤인이 정말 많이 살고있는.
이걸 중국인으로 치환해보면 반면교사 삼을수있지 않을까.
저들이상으로 욕심많은 종자들이니..
에페 22-02-21 14:57
   
혼란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