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3-02 09:59
[잡담] 천조국이 보급에서 넘사벽인 이유
 글쓴이 : 행운두리
조회 : 5,072  

20220301183423_1LNONmFZcV.jpeg


수출용 장비는 다른연료 사용? 
주한미군 장비들도 항공유 사용 하나요? ㄷㄷ
여기 밀게에 고수님들 더 많을거 같아서 다른 게시판에서 퍼왔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한이다 22-03-02 10:06
   
연비야 그렇다치고...가격은 비싼가..
     
팬더롤링어… 22-03-02 14:56
   
등유에다 첨가물 더들어간거라고 합니다,,
뭐라카이 22-03-02 10:51
   
천조국의 보급이 어마무시한건 맞는데

연료 통합 전후사정 다 짜른 오류가 많은 글임
타 국가들 디젤 장비 굴릴때 미군은 휘발류를 주력연료로 사용하다
휘발류의 단점들 때문에

뒤늦게 디젤로 돌아서면서 jp8로 연료 통합을 한건데
Jp8뿐만 아니라 제트항공유들은 거의 대부분 등유기반연료임

디젤엔진은 등유도 잘쳐먹는터라 (등유뿐만 아니라 기름이라면 다 잘 쳐먹음 식용유,올리브유,돼지기름등등 여튼 기름 단어 붙은건 죄다 디젤 연료로 사용할수 있음)

타국가는 그전부터 디젤엔진 사용중이었는데
미국홀로 개쌍마이웨이로 불 잘나고 연비 반토막나오는 휘발류장비 굴리면서
 그 보급을 가능하게 유지한게 진짜 천조국의 쩌는 보급능력임

덧.에이브람스의 연비는 jp8때문이 아니라 가스터빈엔진 때문
     
행운두리 22-03-02 11:19
   
네 그래서 저도 말이 좀 안돼는게 많다고 생각되서 퍼온거지요.
또 하나 배우네요 댓글 감사~
     
Joker 22-03-03 17:26
   
오호~
MK통신소 22-03-02 10:56
   
??? 전차랑 차량은 가솔린으로 알고 있는디요??
땡말벌11 22-03-02 11:08
   
한국 육군은 보급유류가 늦어지면 근처 주요소 가서 급유해도 될 듯
반대로 적의 유류를 사용해도 되구요. 효율로 치면 육군은 따로 운영하는게 나을 듯.
과부 22-03-02 11:22
   
제트연료만 사용 가능한것 처럼 누군지 글을 써 놓았는데 디젤도 사용 가능하고 비상시에는 가솔린도 사용 가능합니다.
진짜 좋은 가스터빈 엔진인데 단점은 엄청난 연료를 소비하기에 천조국이나 운용 가능하다고 보는거죠.
한번 기동하고 잠깐 움직여도 기본적으로 제트엔진 한 드럼 소비된다는...
폴란드에 이거 수출하려고 했는데 폴란드가 머뭇거리는게 연비가 개떡같아서...
티코 끄는 분한테 롤스로이스 줘도 타기 힘든 이유가 엄청난 유류비로 몇개월 타면 포기한다는 농담과 상황이 비슷합니다.
빛둥 22-03-02 11:24
   
실전보다는 유사시 대비 및 훈련 위주의 군대는, 유지비와 (일원화 했을 때의) 엔진 개발비를 감안해서, 우리 군처럼 하는 게 맞고,

'세계의 경찰(?)'역할을 하느라 실전을 많이 하고, 보급 일원화의 편리성을 중시하는 미군의 경우는, 유지비가 많이 들더라도 부담할 수 있고, 유종을 일원화했을 때 필요한 엔진 개발비도 부담할만 하니까, 저런 식으로 하는 것이겠죠.
도나201 22-03-02 12:08
   
그런데 말입니다.

문제는 항공유관련 수송을 민간업체에 넘겨서.. 사실상 가격적으로는 또이또이라는 사실. ㅡ.ㅡ.
거기에 관련 구리스 라던가. 윤활유종류와 세척유 등등 관련 분야도 많아서.
어차피 분할수송을 해야 하는 실정임.

정비부대에 따른 야전정비외에는 전문정비는 사기업에 수리를 넘기기 보다는
부품을 그냥 배치하는 운송비에 또  민간수송업체에 의탁.

이래저래  이제는 미국의 방산업자들이 돈을 번게 아니라.  전쟁수송관련 민간기업이 돈을 쓸어 담았다라는 이야기가 있음. 

특히 수송관련한 경호업체까지 같이 고용해서  효율적이라기 보다는
전문성을 띄어서 가격만 상승하는 효과를 얻어내고,

실제 운송장비는 구형 트럭과 중고트럭을 구매해서 정비해서 쓰는 상황임.  물론 민간기업자체에서 수리정비를 하고 ... 즉,  폭격이나 유실의 경우 비용을 생각해서 ..

거기다가  보험업체까지 가세해서 미국의 세금을 쪽쪽 빨아먹는... 전시경제체계 아주 지랄난무하는 실정임.

그래서 현재  보급관련해서도 미국이 민간업체에 일부 넘겨주기는 하지만,
특수수송관련해서  보급관련해서는 어느정도 다시 체계를 구축하는 실정임.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봤듯이 보급의 중요성이 얼마나 중요하고 그에 따른 보급로 확보가 얼마나.
힘든지 잘알려진 상황임.

위에 거론한 것은 비용절감이라고 하지만 JP8관련 운송유의 가격이 또한 비싸서..
경유보다도 비쌈. 

다만 화재에 .. 둔감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육군차량을 개량한것임.
특히 이스라엘 4차중동전때  M48 전차의 휘발류엔진에 의해서 지포라이터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이후,
연료의 발화성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한것임.

마치 보급을 위해서  연료를 통일했다고 생각하는데.
비싼 연료를 바꾼게.. 문제가 아니라  장비의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
일부러 연료를 바꾼 것임. 

거기에 연료자체가 깨끗해서 연소후에 지꺼기가 남지 않아서  엔진이 쉽게 고장나지 않고,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장점이 있음.

특히 후에 엔진 연소율을 높이기위한 첨가제가 있는데 그때는 폭발력이 강해서 엔진토크자체가 10~20%까지 향상되는 경우까지 있어서.

JP8 연료로 교체한 것임.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습기 관련 및 기밀성에서도 상당한 효과가 있어서.
휘발류차량의 물기가 들어가면 나타나는 차량작살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도 있음.

실제로 2차대전때... 휘발류차량과 경유차량을 둘다 쓰면서 .. 이에 유류착오로 인한 고장이 많아서. 골치였기도 함.

현재 우리나라도 휘발유차량은 전면 폐기 하고 ... 경유로 통일하고 있음.
육군 및 운송차량에 대해서 전부 경유로 바꾸고 있는 상황임.

다만 후방에 경량차량 및 지휘차량  일반차량만.. 휘발류고. 이에 따른 유류비는 영수증처리로 바뀌고 있는데..... 

단지 현재 휘발류가 필요한 이유는  바로 발전기를 사용하는 물건에 한해서 휘발류를 쓰고 있음.

한마디로 보는 관점 자체가 틀리다라는 것임.
     
행운두리 22-03-02 16:59
   
넵, 잘 읽었습니다.
상식이 더 늘었습니다 ㅎㅎ
높은꿈 22-03-02 15:25
   
이번 전쟁으로 세계 최대의 에너지 수출국이 된  미국이 부럽습니다.
우리나라는 항상 에너지 수입만 하는 처지라서 안습입니다.
밀덕달봉 22-03-03 02:15
   
jp8 불타지 말라고 첨가제넣은 등유계열입니다.
등유는 차량용으로 잘 안쓰고 난방용으로 가정에 예전에 많이 썼죠.
우리나란 대부분 도시가스 이용해서 등유 남아돌아 일본에 많이 가져다가 팝니다.
한일 화이트리스트로 말이 많이 나왔을때 그래서 일본에서 우리나라 등유 수입 문제로 말이 많이 나왔죠.
한국이 안팔면 가정난방 올스톱된다고 사재기해놔야 한다고 했죠.
전차나 미제 군용차량들이야 원래부터 연비생각안하고 만들어서 그런거고, 가스터빈 장점이 기름을 가리지 않는다는거죠.
우리가 가진 t80u도 결국 급하면 주유소가서 경우든 가솔린이든 등유든 때려넣고 가동이 가능하다는것.
연비나 출력에 문제 생기고 가끔 원래쓰던 애 아닌걸 넣었을때 때나 찌꺼기로 장비가 망가지긴 하지만 원래 jp8용으로 개량한놈이라 상관없을뿐이죠.
러시아 헬기엔진이나 가스터빈 전투기엔진 항공기엔진 디젤 등유 가솔린 항공유 다 안가리고 쓰는 종류 개발하고 사용했습니다.
아직도 몇몇 헬기에 들어가는 엔진은 그렇죠.
미국이나 러시아나 막상 본토에서 떨어진 곳에서 전쟁해보니 이런 보급문제가 결국 그런식으로 개발하게 한거죠.
우리도 어차피 남아도는 등유 이런식으로 활용하고 싶지만 문제는 디젤엔진쪽으로 개발하고 가스터빈이나 터보제트등 엔진등은 죄다 수입이라 이런 보급체계는 꿈도 못꿀 뿐이죠.
뭐 본토에서 전쟁한다면 디젤쓰면 되고 구지 필요성을 못느낀것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