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9-02 18:48
[뉴스] 사상 초유의 전투기 부족대란이 다가 온다!
 글쓴이 : 비천호리
조회 : 8,238  

이런 기사가 나왓네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81&sid1=100&aid=0002457833&mid=shm&mode=LSD&nh=20140902164649

[서울신문 나우뉴스]9월은 공군에게 특별한 달이다. 단군 이래 최대의 무기도입사업이라는 차기 전투기(FX) 3차 사업 계약과 FX-3의 규모를 넘어서 총사업규모 15조원을 넘어설 한국형 전투기 사업의 입찰공고가 있는 달이기 때문이다.

이번 달 계획된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공군은 오는 2018년부터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의 F-35A 전투기 40대를 순차적으로 전력화하고, 오는 2025년까지 한국형 전투기 개발을 완료해 생산에 들어갈 것이다.

차기 전투기 사업과 한국형 전투기 사업을 통해 공군이 획득 예정인 전투기 숫자는 160대이며, 두 사업에 들어가는 예산만 해도 25조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수준이다. 그런데, 이 예산을 쏟아 부어도 오는 2019년이면 공군은 사상 초유의 전투기 부족 대란을 겪을 전망이다. 왜 그럴까?

◆1990년대 국방비 대폭 삭감...’폭탄 돌리기’의 시작

당초 공군의 꿈과 이상은 창대했다. 급속한 경제력 성장에 힘입어 1980년대 중반부터 공군력 현대화 구상에 착수한 국방부는 KFP 사업을 통해 한국형 전투기로 선정된 KF-16 전투기 120대를 1990년대 말까지 전력화하고,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F-15급 고성능 쌍발 전투기 120대를 도입해 노후화된 F-4 전투기를 대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1994년 KF-16 1호기가 납품될 때까지만 해도 사업은 순탄했다. 하지만 1997년 IMF 사태가 터지면서 문제는 복잡하게 꼬이기 시작했다. 국방비는 대폭 삭감됐고, 사업은 축소·연기됐다. 당초 120대 규모로 시작되었던 차기 전투기 사업은 80대로 줄어들었다가 다시 60대, 40대로 내려앉았고 전체적인 사업 일정도 10년 가까이 지연되어 결국 2005년에 이르러서야 첫 번째 기체가 공군에 인도될 수 있었다.

당초 이 사업이 예정대로 1990년대 후반부터 진행되었더라면, 공군은 2010년 이전에 120대의 하이급 전투기 전력화를 마무리 짓고 노후한 F-5 계열 전투기 200여대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전투기 도입 사업에 착수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공군이 2010년 이전에 전력화를 끝내려던 하이급 전투기 도입 사업은 4차례로 나뉘어 약 2024년경에 가서야 전력화가 완료될 판국이다. 1990년대 후반의 잘못된 의사결정 때문에 공군의 전투기 도입 사업에 약 15년의 지연이 발생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당시 IMF의 권고로 인해 국민의정부가 긴축재정을 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국방예산이 삭감됐고, 이로 인해 전투기 도입 사업이 지연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본 기사는 전문은 링크 따라가서 보세요.

댓글들 보면 김대중 정권이 북한 핵무기 만들어준다고 퍼줫느니 명박 정권이 4대강 삽질한다고 퍼질럿

느니 하며 종나 싸우고 있군요.

개인적으로 곧 다가올 전투기 150여대가 부족한 사태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 같군요.

출산부족으로 인해 계속 감축된 병력이 현제 65만정도에서 2020년정도에는 50만으로 감축 한다고 하네요.

그 부족분은 군현대화로 가능하다고 하지만 인원이며 장비며 둘다 감축이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자바의신 14-09-02 19:18
   
대한민국 공군의 계획

하이급 (대형) -> F-35A 60대 , F-15K 60대 (AESA 레이더 및 업그레이드)

미들급 (중형) -> KFX 120대 , KF-16 134대 (AESA 레이더 및 업그레이드) , F-16PB 36대 (KF-16급으로 업그레이드)

로우급 (소형) -> FA-50 60~120대

조기경보통제기 (공중통제기) 피스아이 E-737 AEW&C 4대 + 2~3대

차기 공중급유기 KC-46 또는 A330 MRTT 4대 (대형수송기로 사용가능)

음.. 그렇습니다.
열도정벌 14-09-02 19:32
   
돈만 있으면 모든것이 쉽게 해결될 문제들이죠.... 제발 온갖 비리들과 다시는 이명방과 같은 뻘짓을 못하게 사전에 Jo져놓고 걷을돈은 걷어내고 각종 법률을 강화시켜 높은 벌금으로 사회질서를 바로잡음과 동시 예산좀 모았으면 좋겠네요. 또 국민들로부터 자발적으로 국방예산을 위한 모금도 했으면 좋겠고요.
사통팔달 14-09-02 20:04
   
kf-16 134대말고 f-16 pb업그레이드 해서 35대도 같이 씁니다.거의 업그레이드는 마쳤고 이번에 훈련때 사용했다고 합니다.fa-50은 60대말곤 더 안만듭니다.pb도 디지털 컬러 칵핏으로 변하고 레이더 교체 암람 jdam link16 위성항법장치등 계량해서 쓸만해졌죠.f-16 pb가 들어온지 오래돼긴 했는데 사용시간이 아주 많지는 않아서 수명연장 했으니 적어도 15-20년 써먹겠죠.기존 kf-16보다 칵핏은 더 디지털화 됐죠.kf-16도 업그레이드 하니 또 변하겠지만요.
     
자바의신 14-09-02 21:07
   
사통팔달 // F-16PB가 KF-16급으로 업그레이드 된건 알고 있었지만, 대표적인 예만 적는다고 추가를 안했네요.
FA-50은 일단 60대 예정 이지만, 향후 전력 증강이 어떻게 될지 몰라서 저렇게 써뒀는데, 저도 FA-50은 60대만 생산하고 다른걸 투자하는게 좋을꺼 같네요.
피노누아 14-09-03 01:18
   
imf때문에 구멍난건 어쩔 수 없죠...
북한때문에 포병/기갑전력이랑 전국민징집에 쓰이는 예산때문도 있고...
호랭이님 14-09-03 08:48
   
f16pb는 kf16으로 업글자체가 안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레이더 돔이 kf보다 작고 확장 자체를 고려하고 만든 기체가 아니라 블럭2 정도의 능력으로 업글하는게 최대치라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대만의 pb를 보시면 답 나옵니다)
현재 사이드 와인더를 운영하는 pb를 암람도 탑재가 가능하게 끔 업글하고 현재 업그레이드 작업에서 부산물로 나온 예전의 kf16의 장비들을 pb에 올리는 구상안도 있는 걸로 아는데요?
pb는 kf16급으로 업글이 안될텐데요
     
아이쿠 14-09-03 11:11
   
이미 f-16pb를 업글한 f-16pbu가 실전배치 되었다고 하는군요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2&bbs_id=BBSMSTR_000000000006&ntt_writ_date=20140902

f-16pbu 업글 항목에서 큰부분이

1.임무컴퓨터 교체
2.레이더 el-2032 교체
3.암람 jdam 사용가능
4.link-16 장착

부수적으로
피아식별,위성항법,조종석 계기판등등이 교체됨

사실 업글전 kf-16성능은 넘어선다고 보여집니다

레이다의 경우
기존 kf-16레이더 재활용이 아닌
apg-68(v)9과 2032가 경쟁을 했고
그중에 2032로 경정된듯합니다
2032는 fa-50에 장착된 넘인데
f-16레이돔에 맞춰 사이즈가2 배정도 확장되었다면

fa-50용 2032가 apg-68(v)2와 동일한 탐지거리로 알려져있으니
f-16pb용 사이즈업 2032는 apg-68(v)7과 apg-68(v)9중간정도의 성능으로 추측됨
참고로 kf-16초기형이  apg-68(v)2를 사용하고
후기형 20대가  apg-68(v)7을 사용중
사통팔달 14-09-03 11:36
   
원래 이정도로는 안할려고 했는데 전투기 값이 하늘 높은줄 모르고 오르다보니 35대 새로운거 뽑느니 개량한거죠,우리나라에서 업그레이드 했다고 합니다,소스코드 건드려서 암람인티도 하고 kf-16은 몇대만 미국에서 하고
나머지는 외국업체가 우리나라에서 하겠죠.이번 훈련 에서 jdam투하 했다고 합니다.kf-16은 link16 없기도 했고요.
kf-16보다 낮은 추력 약간작은크기빼면 뭐 가벼우니 기동성 차이도 별로없을테고 쓸만해졌죠.
깡통의전설 14-09-03 22:22
   
규모가 축소된게 아니라 가격이 터무니 없이 비싼게 문제. F-15K 대당가격이 1천억이 넘었으니 미군 도입가가 500억선....
그리고 90년대 국방비 대폭 삭감..이란 뻘글이 있으나 산업화 이후 삭감된적은 1번 있다는...
     
아이쿠 14-09-03 22:33
   
미국도입가가 500억이라는 소리는
전투기 가겨에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소리입니다

전투기 가격은 가격표시가 욥션에따라 차이가 큼
님이 말한 f-15k 1천억이 넘는다는 프로그램코스트고
미군 도입가 500은 플라이웨이 코스트임

플라이웨이 코스트는 순수 기체가격임
이 순수기체 가격에+개발비+교육+유지보수+무장등등
실제로 전투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모든비용이 총망라된 비용이 프로그램코스트임
즉 이런 각종 무기가격의 가격책정 방법을 모르면서
무기가격을 비교하는건 장님이 코끼리만임
          
깡통의전설 14-09-03 22:53
   
ㅍㅎㅎ 프래그램 코스트가 기체 가격 곱절이나 되나요? 해외 언론에서 대당 1억 2천불 언급했는데 F-15K 1+1임? 정말 그정도 차이나면 지나치게 코스트가 상승됐구나 하는게 정상 아님? 가격책정방법 아시는 분께서 감이 이리 떨어져서야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격 아니겠음?
그럼 아... 우리군이 미군 도입가 기준이라던지 물가 상승률 대충 감잡고 때려서 계산해서 700~800억쯤 계산 했을꺼라 안보이시는지? 우리군이 장님이시라 도입대수에 예산을 코끼리 보면서 뽑았겠는지? 그래서 도입대수 준거 아님? 무슨 무장이 수백억하고 메인테넌스 파츠가 수백억 함? 참, 라인신설 비용도 포함 됐었죠?
그리고 나는 도입대수가 왜 줄었는지에 대해 설명했는데 님이 말씀하신 내용이 제가 설명하는것과 무슨 상관 있는지? 다아는거 설명이 뭘더 필요함? 그냥 장님이 코끼리 다리 만지는 그얘기가 하고 싶으셨는지? ㅋㅋ
우리군이 전투기 구매 초짜라 첨에 프로그램 코스트 생각지도 않다가 프로그램 코스트 때문에 도입가격이 늘어나서 도입대수가 줄었다는 병맛같은 짓을 했다고 말씀하시는건지?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