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2-13 10:56
[잡담] 일본 군사력 순위가 세계 5위인 이유
 글쓴이 : 토플M
조회 : 5,041  

일본 특유의 날조와 뒷돈 효과도 있겠지만

듣기에는 GFP의 편집장이 일본인이라는 소리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생이를 해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일본은 무엇이든 한국보다 위에 있으려고 난리죠

아마도 세계 군사력 순위를 정하는 곳의 편집장이 일본인 + 일본의 날조자료와 뒷돈 + 어떻게든 한국만큼은 일본 밑에 두려는 일본 특유의 심리가 합쳐져서 일본이 세계 군사력 순위에서 한국보다 위에 있는게 아닌가 싶네요

밀게의 형님들은 제 생각에 대해 어떻게 보시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핏파이어 22-02-13 10:59
   
이지스함 덕이라는 소리가 있더군요.
세종대왕급 배치2 3척과 KDDX6척이 건조되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죠.
땡말벌11 22-02-13 11:24
   
일본군은 사무라이 정신으로 무장해서 그 정신력에 상당한 점수를 준 것이겠죠. ㅋㅋㅋㅋㅋ
일본놈들 해군력이 상당히 높은 점수일테지만 사건사고 터지는 거 보면 운영능력은 떨어지는 듯.
대팔이 22-02-13 11:26
   
객관적으로 보자면 오랫동안 육군은 한국>일본 이지만...
해공군은 한국<일본 이지요...
한국보다 상위에 있는 나라들 중 육군세력만 보자면 한국을 능가하는 국가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런걸 보면 전력평가지수가 육군<해공군이라 저런 결과가 나온모양...
     
땡말벌11 22-02-13 11:33
   
공군은 거의 비등할 텐데요.
2021년 기준공군력으로 한국은 5위 일본이 6위
빅터리 22-02-13 11:40
   
해군에서 일본을 앞지를때까지 일본이 우위라고 합시다
도나201 22-02-13 12:12
   
우선은 주력세력을 판단해야 합니다.

80년말  8.8함대라고 해서 광역범위가 다른 주력함대가 있었고,  거기에 이지스함3척까지 보유했던 일본입니다.

거기에 대잠초계기 .. 100여대.  E2C 20여대.    이를 호위할 F15J 100여대....
자체고등훈련기를 개발성공하고,
F2 초음속대함미사일장착.    ... 

쉽게 이야기해서.....  대잠전력에 특화되어 있는 전력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함대전력의 핵심이였던 8.8함대의 노후화로 인해서 사실상 해자대전력도 . 그다지 의미가 없습니다

잠수함대전력도 ... 호주잠수함사업에서 판명났듯이 특화된 전술에 치우친 함정이라는게 판명나고,

80년말이나.... 해자대이지.

지금 현재로 본다면 일본의 주력전력은 이지스함이 주력입니다.
공자대 역시 F15J KAI  까지. 사실상 전력외 전력으로 취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F2는 항속거리를 늘이다 말았고,  대함초음속미사일만 장착한..  거기에 초기 AESA 레이더를 개량도 안해서
실질적인 전력에 포함되기에 간당간당한 상황입니다.

괜히 지금 일본이 전력을 확충하겠다고 한게 아닙니다. 

그래도 대함초계기 전력은 아직도 짱짱한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도 워낙 광역적인 영해라서.. 사실상 이전력으로 자국영해지키기도 바쁩니다.

특히나 오키나와는  류큐제국이라고 해서  1900년초기에 복속한 국가라서...
실질적인 일본의 전력 주둔하는것을 엄청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오키나와지역은 사실상 논외로 주둔군의 규모가 적습니다.  다만 미군이주둔하고 있죠.

유의미한 전력은 홋카이도내에  절반이상이 배치되어 있다고 보면됩니다.

이제껏 동해상을 자기집안방마냥 취급했지만, 이제는 전혀 상황이 달라지니.
함정수가 다르다고,  하지만,  실질적인 대한민국 영해내에서는 전력은 빠지지 않습니다.

거기에 상륙전력은 전무해서  실상 8.8함대에서 2개함대만 작살나면  바로 항복할 놈들입니다.

우리나라핵심 전략은 상륙전이기에...  상륙공간만 나오는 순간은..... 
사실상 전쟁끝이기에.

상륙전도 이제는 기습상륙전이 가능한 전력까지 와서 .. 일본이 우리나라 상륙전에 대비해서  막을만한 전력이 없습니다.   

뭐 항자대 하지만......  특수병력 으로 제거가 가능한 수준이고....

특히나 엄청난 특수병력....  해병대 숫자로 인해서  일본이 지 랄 지 랄 해도..... 맘만 먹으면
작살날수 있는게 일본입니다.

인구의 밀집도,  산업전반 및 항구가.. 대부분  관서지역이 주류이기에..  관동지구는  사실상 무혈입성입니다.

거기에 우리가 비대칭전력을 가지고 있어서 
가장 핵심은 잠수전대간의 결착이 이제는 핵심이 되어버린 상황입니다.

실상 일본은 전폭기가 없습니다.   

이지스전력도 ... 미국의 MD체계의 일환이기에  실상 미국의 관리감독하에 속해 있을뿐입니다.
그외는  대함전력..  실상 가장 위협적인 것은 하푼 미사일정도이고,

전략 전술상으로 차이가 너무나 갭이 큰 두나라입니다.
즉,  전략상으로 전력을 키워온 우리하고는  전술적인 전력을 키워온 일본과의 갭의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이 차이가 사실상 전쟁수행능력에서 차이가 나고 승패는 결정난 상황입니다.
     
땡말벌11 22-02-13 13:31
   
한국이 사실상 징병제를 놓지 못하는 이유가 막대한 예비역 해병과 특수군의 보존
국가 비상사태때의 군병력 확대에 대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모병제화 되어도 6개월~1년 단축
징병제도는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죠.
단순히 북한만을 보면 20개 기동여단만으로도 북한은 전멸입니다.(핵무기 제외시)
북한이 핵무기에 올인한 이유가 있죠.
어찌되었건 한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주장하는 이유도 일본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죠.
일본과 한국은 잠재적 핵보유국이지만 문제는 투발체의 유무입니다.
일본은 탄도탄을 쏠 수가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상 그 개체가 몇개 없습니다.
핵무기를 개발해서 무기화하는 시간보다 탄도탄을 양산하여 배치하는 시간이 더 걸리는 상황이
되었고, 타국처럼 비밀리에 운용할 만한 시설도 사실상 전무해서 한국이 마음만 먹는다면
수시간만에 일본 전역의 미사일 기지화 될 수 있는 민영시설은 파괴가 가능하죠.
한국의 장거리 순항미사일 개발 및 SLBM이 나올때 핵무기가 없는데 굳이 필요한가?가 논의가
되었는데. 투발체의 보유가 사실상 중요한 시기가 되었으며, 일본의 잠재적 미사일 기지를
무력화하는데 상당한 전력이 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특히 공군과 해군기지를 선제적 타격하여 보급을 절단할 수가 있고, 각 지역의 중대형 항구를
파괴함에 있어 2차대전때와는 다르게 민간선박 공격 및 나포 없이도 일본의 물류를 상당기간
막을 수가 있습니다. 이는 종전 및 휴전 이후 일본의 경제에 상당한 악영향을 주는 상황이죠.
일본은 한국의 기습적 상륙을 막기 위해 큐슈에 방어 사단을 두고 지대함, 지대공 미사일을 배치했는데 한국의 순항미사일을 견제하기 위해서 2010년부터 저고도 방공망에 집중투자를 했습니다.
한국은 반대로 스텔스 및 초음속으로 개발하게 되는데 이후 일본에서는 스텔스기를 잡겠다고
또 투자를 하지만 결과는 미흡하죠. 일본의 방공망은 사실상 한국에 비하면 미약한 편이고
중장거리 방공무기는 육자대나 항자대에는 거의 없고 해자대에 집중되어 2,3호위대군만 전멸해도
사실상 일본 방공망은 괴멸이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어찌되었든 일본이 핵투발체를 보유하기 위해서 500Km 지대함 미사일을 개발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중국때문이기도 하지만 한국에 의한 공격을 받을 시 핵투발체 역할을 하려는 것이죠.
한국에서는 반대로 일본의 저고도 탄도탄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가지 준비하겠지만
대표적으로 저고도 탄도탄 요격망에 최적화된 시스템이 L-SAM, 천궁-2라고 생각합니다.
아이구두야 22-02-13 12:31
   
총력적을 가정하기에 그나라의 경제력과 인적자원도 포함되어서 그렇다고 하던데...
근데 현대전에서 과거처럼 시간이 널널할지 의문임
과거라면 배타고 땅밟고 하나하나 점령하며 와야 하기에 힘을 모을 시간이 충분히 있었겠지만
요즘은 비행기의 화력도 이전과 비교할수 없을만큼 향상되었고 각종 미사일까지 있으니
초반에 밀리면 다시 힘을 모으기가 쉬울것 같진 않음
그냥 총주고 민병대 게릴라식까진 가능하겠지만 정예군을 모으고 사라져버린 장비들을
복원하는건 힘들것 같고 군사력이 비슷한 경우 초반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으면 그대로 끝일것 같음
기간틱 22-02-13 14:37
   
단순 순위에 연연하지 말고 우린 내실을 다져야합니다.
진정한 고수는 절대로 나대지 않으니.
과부 22-02-13 16:17
   
미사일전력도 포함한다지만 어느 나라도 자기네 미사일 전력을 공개하는 곳은 없습니다.
사실상 거의 포함이 안된다는 얘기고 일본은 아시다시피 미사일 전력이 방어용 미사일만 있는지라 우리나라 현무시리즈 미사일 전력이 포함되면 차이가 많이 벌어집니다.
그리고 특수전 전력도 전혀 반영을 안하고 있어요.
그래서 세계에서 저 군사력 순위를 별로 신뢰하지 않는 거지요.
북한이 2020년에는 25위이고 작년에는 25위 안에도 못드는 순위권밖인데 이것만 가지고도 말이 안되는거죠.
체언dady 22-02-14 07:25
   
인구+항만+공항+고속도로+철도+gdp 등등 평가 항목이 직접적인 군사력 말고도  많은듯 하던데요
구름위하늘 22-02-14 13:05
   
GFP 의 전력지수 계산 방식에 헛점이 많아서 실제 무기 성능차이나 실제 군인수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전쟁을 지속할 수 있는 배경이 되는 자원, 인구, 무기 숫자만을 따지기 때문입니다.

모든 통계에 한계가 있듯이
GFP 는 인구 많고, 땅이 크면 일단 수치가 올라갑니다.
그리고, 무기의 세대를  따지지 않고 숫자만 많으면 수치가 올라가고요.
심지어 해군 평가 시에는 차라리 총톤수로 통계를 내었으면 그나마 괜찮은데,
군함 숫자를 그냥 따지다 보니, 북한이 해군 1위를 한 경우도 나옵니다.

GFP는 재미로만 봐야 하는 숫자이고, 일본이 순위가 높은 것은 무기 수준도 있지만
인구와 국토 면적의 영향이 큽니다. 
군인 지수를 실제 복무 중인 군인이나 군사훈련 경험이 있는 예비군으로 하지 않고,
징집가능한 인구수를  반영하니 군인 전력에서 우리나라보다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knockknock77 22-02-14 20:07
   
군사력에는 순수한 군사력이 아닌 항구의 숫자
국가 gdp  인구수등 기반시설이 포함됩니다
일본은 한국보다 인구수와 국토면적이 넓기에 더 점수가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