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1-30 20:52
[잡담] K-2 흑표의 노르웨이 선정 99% 확신함.
 글쓴이 : 스핏파이어
조회 : 5,764  

우선 가격과 유지보수에서 반값도 아니고 1/3.
이게 제일 크지 싶음.
노르웨이 정부가 책정한 예산으로 레오파드는 30대 정도, 흑표는 100대 정도 구매가 가능함.
현지 평가로는 공격력 방어력은 비슷하고 기동성은 훨씬 가벼운 흑표가 우월.
비슷한 성능에 가격은 1/3...ㄷㄷㄷ

독일의 레오파드는 80년대 개발 플렛폼이라서 업그레이할 여유가 더 이상 없음.
그러나 흑표는 앞으로도 몇 번은 업그레이드가 가능함.

레오파드는 독일 직도입이라 노르웨이 산업계와 고용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음.
반면 흑표는 노르웨이에서 조립생산하고 심지어 일부부품은 노르웨이 산업계에 하청주겠다고 약속함.
레오파드가 현지 조립생산하면 가격이 2배로 상승하지 싶음.
그래서 불리함을 감수하고 어쩔 수 없이 직도입하려는 것 같음.

노르웨이 지형과 겨울날씨가 한국과 많이 유사하다고함.
한국에 최적의 전차라면 노르웨이에서도 최적이라는 소리.

유일하게 흑표가 패할 가능성은 유럽 공동방위를 위한 배려임.
노르웨이 주변국들이 모두 레오파드를 사용하고 있고 독일은 유럽에서 대장의 위치.
물론 노르웨이인들에게 씨알도 먹히지 않는 소리~ㅎㅎㅎ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나201 22-01-30 21:17
   
실제 판매가는 여분 파워팩에 포탄등 포함해서 가격이 상당수준 올라갈것으로 보여짐.

흑표가 업그래이드 가능하다라는 이야기는 어느부분인가 하는 문제임.

실제로 화기관제장비같은 경우는 계속해서 업글예정이고,
현재도 레오2보다 나은 화기관제장비라서 . 이부분에서 새로 장착된 업글제품인데.
이게 특별히 흑표보다 낫다라는 것도 없고,

흑표의 업글상황은 이화기관제장비는 더욱업글예정이라서.

오히려 흑표의 업글과정에서 .. 상당부분예민한 부분이 있는 바로 .  무인차량에 의한 무인기 탑재형의 네트워크연결임.

헌터킬러기능도 사실상 관측장비의 물리적인 한계상.  현재로서는 무인기관측에 대한 네트워크화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레오2는 더이상의 업글계획이 없음.
거기에 생산라인까지. 유지할것인가 하는 문제에서도 생산라인 폐쇄시기까지 나온상황이기에.

실제로 화력이나 장갑방어력보다는  위에 무인기에 의한 관측 네트워크시스템과  연동하는 부분이 앞으로 전차의 업글예정에 관련되어 있지 않을까 예상되고 있음.

즉,  차세대전차개발에 열중하고 잇는 지금  노르웨이로서는 가장 먼저 레오2A4의 노후화를 견딜수 없는 지경이라서 먼저 사업하는 것임.

그리고 동구권역의 T72계열의 전차교체주기가 대량으로 되어 있어서 .
노르웨이의 사업선정은 거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두고 있기에.
일종의 고구마줄기 사업이라는 것임.

노르웨이의 K2전차구매수량이 그렇게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현재는 주력전차의 시급한 교체와 더불어서 ..  후에..  차세대전차구매사업에 제일먼저 나설 경우가 있음.

그러나 현재로서는 차세대전차의 화력의 무지막지한 140밀리포신의 장착은 너무 회의적이라서.
무인기를 활용한 헌터킬러기능의 확대,
가 주요골자가 될 가능성이 높음.

결국 무인기 싸움에서 누가 더유리한가 .  업글의 주요골자로 될 가능성이 높음.
오히려 기동성이 더 유리한 측면이고,

노르웨이의  러시아 국경지대를 보면  알겠지만,  50고지 미만의 구릉과 크고작은 호수 수백개로 이뤄진 지형임.
실제로 100일전쟁당시  러시아의 전차가 대부분  호수로 빠지고  낮은구릉에서 대전차미사일에 당해서.
치고빠지는 식의 구릉전에  호수까지 겹쳐서 독일처럼 일격전으로 갈수 없는 상황임.

전선구축해서 ... 방어전에  치고빠지기 .. 기민한 기동성과 가용운영이 핵심인 상황이고,
무인기에 의한 관측거리가 넓어짐으로 인해서  구릉너머에 거치후에 조준사격  전술이 가장 위협적인 지형임.

그렇게 따지면 노출면적이 크고  궤도이탈위험이 큰 레오2 는 현지에서는 상당한 부담이 될만한 것임.

특히  4월 눈이 녹을 시기의 진흙탕의 운영성을 보면..  그 상태가 더심각하게 돌아오고,
이미 K2 자체의 육군 ROC 자체가  논바닥 상정  진흙 60CM 를 통과한 상황이라서.

노르웨이의 전술효용성은 더 부각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음.

현재  기동성능은 사실상 거의 비슷하나  궤도이탈에 관한 건은 K2가 한단계 위라서.
거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시동문제.    3일 야전에 놔두고 시동이 켜지는게 관건이고,

보조발전기에 의한 자체 포신운영도... 섞여 있어서  아주 다양한 전술적인 평가가 이뤄질것으로 보여지고 있음.

직도입관련해서도 현재  기술이전에 관한 문제는  9월에 재조정이 들어가므로
독일이 어떠한 떡밥을 던질지는 아직 판단 하는 것은 시기상조임.

현재 움직임은  독일측에서는  장갑재의 기술이전을 조건을 걸것으로 보여지고 있고,
관련 파워팩이나  전차설계에 관한 내용은 없다고 보여짐.

그러나 생산코스트라인의 폐쇄결정으로 인해서 .  레오2의 생산라인이전을 생각해볼수도 있기도 함.
그건 올 가을이나 되봐야 정확한 판단이 내려질 것으로 보여지고 있고,

우리로서는 비장의 무기가 있어서..    아마도 차세대전차의 공동개발을 제시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음.
위에서 이야기한 무인기관련 네트워크시스템까지 적용한다면.

사거리의 2KM  에 ... 5KM 내외의 실제 파괴거리와.  더불어서 강력한 효과를 낼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이에 관해서 UAV를 통한 전장관리체계구축도 .. 가능성이 있어보이기도 함.

특히 현대로템의 세르파를 통한 전장관리 시스템은 보병과의 기동성까지 겸하는 관리체계까지 겸할수 있어서.

레오2 A7 의 방호력우위성을 상쇄하고도 남고,
거기에 실질적인  승무원방호력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서.

위에 세르파를 같이 운영한다면.  상당부분 영향을 끼칠것으로 보여지고 있음.

이건 아직까지 무인기에 대한 전술적인 로드맵일뿐이고,
후에 이와 관련한 공동사업을 제한할 수도 있음.

즉.  독일뭘 제시하던간에...  K2 흑표보다는 상당부분 앞선 무기체계를 연계방안으로 활용할수가 잇다라는 것임.
기존의 전차전술을 넘어선 미래전의 전술까지도 겸할수 있는 업글계획의 로드맵화 되어 있는 상황에서.
무엇이 나을지는  올 9월에  결판이 날것임.
     
밀덕달봉 22-02-02 06:42
   
1. 흑표는 130mm 달 요량으로 여유있게 만들었음.
레오파드는 이분야에선 복안이 없음.
130mm 달면 인력으론 불가능 자동장전장치가 거짐 필수임.
레오파드는 자동장전 장치에 대한 개발 실적이 없음.
2. 레오파드의 문제는 워낙 구식설계에다가 오랫동안 만든 전차라 그런지 생산품에 대한 재고가 들쑥날쑥임.
몇몇 부품은 구할려고 해도 이미 단종인 상태 그래서 구할려면 해당 업체에 문의하고 새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공장 돌리는 비용까지 물어 줘야 하는 상황이고, 유지비가 폭등함.
3. 노르웨이가 원하는 부분은 포발사 미사일임.
이걸로 재블린 처럼 탑어택 미슬처럼 사용가능하고 공격헬기도 견재 가능할거라고 노르웨이는 생각하고 있음.
그래서 모든 분야에서 흑표가 유리한건 맞지만 독일이 우리가 남이가를 시전중임.
          
밀덕달봉 22-02-02 06:45
   
그리고, 이번에 합금강 등을 국산화 진행해서 이것들 가격대가 많이 내려갈거라고 ㅇㅖ상되나.
원자재 가격이 상승으로 가능할지가 의문임.
레오의 경우도 만만치 않을거라 상당한 가격상승 요소가 서로 있음.
360 감시 가능한 감시체계는 이미 한화나 로템이 개발중이고, 추후 다는건 어렵지 않으나 이 또한 개발비 생각하면 다는 순간 수십억 깨질거라 예상됨.
토미 22-01-30 21:20
   
노르웨이 사람들을 신뢰함.
인니같은 쓰레기들이 아니기에
합리적인 선택을 할듯.
K9건을 보더라도.
이번엔 레오가 들러리인거 같음.

그나마 비리 청정국가라 더욱 신뢰가 감.
다만 테스트중에 결정적인 문제만 안터진다면.
하기야. 우리군에서 이미 수년간 혹사시킨
실증을 거쳤기에...별 걱정은 없음
     
하이시윤 22-01-30 23:09
   
어이쿠 토미야 언제 흑표가 일본갔냐
ㅣㅏㅏ 22-01-30 21:21
   
폴란드에서 k2가 성능이나 가격. 후속지원등 때문에 진게 아니죠. K9도 많이 팔렸지만 진적도 많은데 사실 성능과 가격이면 k9이 진다는게 말이 안되는데…
반대로 저정도 되니까 평가 무대에 오르기라도 한겁니다.
노원남자 22-01-30 22:03
   
노르웨이가 도입한다고 10대구입하는대신 기술다내놔 시전만 안하면 그냥저냥 팔릴것같은데..음..
승리만세 22-01-30 22:26
   
지금껏 한국산 무기가 여태 입찰에서 탈락한게 성능이나 가격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님
이름귀찮아 22-01-30 22:28
   
무기도입이라는게 무기 성능만으로 결정되는게 아니라는건 모두들 잘 아시잖음
**** 22-01-30 22:36
   
1+1+1은 못참지
돌개바람 22-01-30 22:38
   
레오 노르웨이 도입가는 흑표의 3배씩이나 되지 않습니다.
중동의 무기도입가는 다른지역보다 비정상적인 경우가 많은데
이건 대부분 리베이트 때문입니다. 들리는 소식으로 레오의 노르웨이 입찰가는
최대 1300만 유로정도라고 알려지고 있는데 정확한 입찰가는 기밀인지라  저게
정확한 소식인지는 모르겠지만 저게 맞다면  우리돈으로 180억이 안됩니다.
저게 맞다고 가정할 경우 1300만 유로를 조금 더 상회한다면 190억정도 배팅했다는 소리입니다.
저 가격이 신뢰가는 이유는 그동안 실제 외부에 알려진 레오의 가격이 180억 언저리 였습니다.
     
도나201 22-01-31 00:01
   
레오2A7 에 관련한 옵션에 관련해서 많은 부분이 감가 계산됩니다.

풀옵션인경우는  180억대 이상으로 점쳐지고 있고,
거기에. RCWS , 트로피능동방어시스템 관련해서는 추가 옵션이고,

근데 여기서.... 가격낮출려고,
화기관제장비 를  구형으로 할수도 있고,
모듈장갑을 전면만 장착 할수도 있고해서 .

그나라가 어떤 가격으로 구매하는가에 따라서 말이 상당부분 달라짐.

순수 증가장갑의 모델을 제외한 가격으로  K2 가격과 차이성은  최소 25억이상 차이가 난다라는게 정설로 보여짐.

그리고 풀옵션의 가격으로 하면  70억이상 차이가 날것이라는 말도 전해지고 있음.

87억 이 현재 K2 가격으로 알려져 있고,  여기에 옵션사양이 추가되면 가격은 더상승할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트로피능동방어 에 RCWS 까지 하니.
여기에 위의 사양처럼  모듈화장갑장착버전.  으로 하면.
100억대  102억대로 추정되고 있음.
태지2 22-01-30 23:53
   
노르웨이 고등어 현물상환으로 K9 때처럼? 보다 비율을 높여서 저렴하게 먹게...
잘 되었으면(고등어 어부들을 싫어 할 것임)...

참고로 울 나라 고등어가 가장 맛있는 시기는..
11월 25 ~ 12월 15일 사이에 잡힌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때 잡은 고등어를 몇 박스 사서(짝으로 사서) 일년 내내 먹었으면...

울 나라도 노르웨이처럼 안 잡다가... 지방함량 측정하고, 하면.... 회유성 어종이라서, 중국이나 일본 나라에서 다 잡을 것 같은데..... 돈에서 지금도 잘 못 먹고, 하는데... ㅠㅠ
     
도나201 22-01-31 00:03
   
노르웨이 고등어현물상환 안됐고  실제로 현금박치기 했다고 합니다.
어디서 그런 이야기가 나왔는지.. 서로가 의아하다고,

다만 K9 판매하면서 절충교역으로  고등어 구매로 이어진것인지는 알수가 없지만,
현재 로서 확인된 사항은

현금박치기가 맞습니다.
          
태지2 22-01-31 00:09
   
그 때 고등어 가격 변동이 거의 없었죠...
무역은 가격 차이와 국내 가격은 정치에서 그 가격이 결정 하는 것, 일인데...
그 움직임에서, 행동에서 나타나야 하는 일인데...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님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오스프리 22-01-31 12:09
   
다집어 치우고 전차병 교육의 질과 양성 그리고 운용인원이 2배가 넘는 효율성인데 나같으면 무조건 K2 갑니다..
나는나비다 22-02-01 22:18
   
노르웨이에서 기존에 운영한대로 보수적인 결정을 내버리면.. 답답할 것 같음.
뭐 우리나라에 유리한 기사들이 도배되는 건 당연하겠지만..

하여튼 K2도 잘되길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