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1-24 16:21
[뉴스] 인도, 한화디펜스의 K9 바지라 자주포 200문 추가 주문
 글쓴이 : 노닉
조회 : 4,590  


인도 국방부가 중국과의 국경 분쟁에 대처하기 위해 한화디펜스의 현지 파트너사 라르센 앤 토르보(L&T)에 K9 바지라 자주포 200문을 추가로 주문했다.

인도 현지 매체 인디아투데이는 23일(현지시간) 인도 국방부가 1000억루피(1조6050억원) 규모의 155mm 추적 자주포 200문을 추가 주문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올해 안으로 L&T에 발주될 이 주문은 인도 민간 부문 방산업체에 발주된 최대 주문이며, 정부의 군 현대화, 산업 방어 기지 구축 계획에 잠재적인 부양책이 될 것이라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1) 조만간 L&T와 인도 국방부 간 K9 바자라 추가도입 계약이 체결될 듯
2) 올해 3월 개최되는 인도 방산전시회의 가장 큰 이벤트가 될 것
3) 2023년 초도분 납품, 2028년 납품 종료 예상
4) 200문(10개 연대 분) 추가도입 이유는 전방 라다크 지역 때문
5) K9이 라다크의 험준한 산과 비슷한 한국의 지형에 맞게 설계됨
6) 또 여기에 추가로 라다크 지역의 저온을 위한 개량이 진행되었음
7) 따라서 K9을 추가로 도입해 라다크 지역에 상시 배치한다는 구상
8) 원래 인도 육군은 엘빗 아트모스를 도입하고 싶어했지만 불발
9) 여기에 인도 업체들이 개발중인 자주포들은 아직 개발이 진행중임
10) 따라서 인도 모디 총리의 고향에서 생산되는 K9을 선택하게 된 것



인도 뉴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식후산책 22-01-24 17:05
   
https://www.youtube.com/watch?v=dVZix9g_2Sg

아트모트가 기동성 말고는 K9보다 이점이 있나요?
     
이불몽땅 22-01-24 17:57
   
기동성도 케나인이 더 좋지 안나요? 
케나인보단 장거리하고 이동속도 유지비 도입비등이 더 좋을거 같긴 한데
     
porco 22-01-24 18:08
   
운용유지비가 저렴하죠...
아무래도 트럭기반이라...기동성도 좋고 가벼우니  선박수송이나 항공수송도 유리하고...

고강도 분쟁지역이 아니라면 차륜형도 좋은선택인데.
인도는 고강도지역아닌가?
당나귀 22-01-24 20:56
   
아트모스야 지덜 생산이니 빼먹을게  많아서 선호하겠쥬
글고 차륜형으로 산악지대 작전은 어렵죠. 젤 중요한건 병사들 노출된거.....
     
하나둘넷 22-01-25 07:30
   
애트모스는 인도제가 아니고 이스라엘제다. ㅋ 제조사 엘빗이라고 적혀있잖아.

글고 차륜형이 산악작전 안된다는 망상도 접고...ㅋ
6X6  8X8 기동차량들 충분히 기동들한다.

전투임무중량이 궤도식보다 가볍고 대형수송기에 적재해서 빠르게 야전수송 가능하기에 인도에서 K9에서 한 것처럼 인도 현지 라이센스 양산 하려고 했는데 현지 양산에서의 자국산화 비율 기술이전 정도 및 비용을 두고 이스라엘 엘빗사와 협상이 틀어졌다.

그래서 이왕 만드는 거 그냥 인도 총리 고향 거점에 고향기업이 한화와 합작해서 현지 생산한 K9 제작시설을 놀리느니 더 생산해서 써먹자란 이야기다. 위의 made in india라는 게 그 의미고..

한화는 지난번처럼 라이센스비와 주요부품비 정도 받아챙기는거고
          
토미 22-01-25 09:24
   
궤도차량과 차륜차량의 산악기동이 거의 같다는 생각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건지?

궤도형의 무게당 접지면적이 차량용과 비교불가할 정도인데
게다가 눈이오거나 진흙탕에서도 엄청난 차이가 나며
특히 등판각도도 차량형이 따라오지 못함. 앞에 장애물 높이는 비교도 안되고.
게다 반동후 안정화 속도에도 궤도형이 훨씬 유리함.

다만 단점이라면 장거리시 비용이 증가하고 속도가 어느정도에 한정되어 있으며
무겁다는 단점이 있지만 지형에 따라 장점이 훨씬 부각됨 특히 인도에 배치된다는 지형을 보면

무엇보다 k9은 자체 방어장갑이 차륜형에 비해 월등하고 최초발사시간도 엄청 짧고
슛엔스쿠트가 탁월함.

그리고 한화가 라이센스비이외 주요부품 정비가 아니라 수출하고 정비는 현지화 하는거임.
그리고 향후 업그레이드시 돈좀 긁어모으고..

태생적으로 워낙 무거운 장비라 십여대가 아닌 200대 이전 100대를 현지생산 안하고
전량 수입하는 멍청한 나라는 없을듯. 아마 인도의 자국산비율은 50%정도 될까 싶음.
주요엔진 전자장비는 수입하고 심지어 들어가는 철강도 수입할거임.
거기서 제작하고 조립하고 일부부품만 현지화해서 만듬.
               
하나둘넷 22-01-25 12:27
   
쥐뿔도 모르면서..ㅋㅋ

단순접지압 타령하기전에 그거 계산 안하고 스웨덴 프랑스 이스라엘등이 궤도식이 아닌 장륜식 자주포도 쓴다고 생각하냐?

스웨덴 아쳐도 K9수준의 치고 빠지기 될 정도로 자동화되었고 프랑스 카이사르 8X8도 보다 자동화가 진행되어서 치고 빠지기 속도 상당히 줄었다. 도대체 네 머리속의 장륜식 자주포는 언제적꺼냐? ㅋ

스웨덴등은 흙길 진흙탕긴 산악지형 없을 것 같냐? 이스라엘은 골란고원 없을 것 같아?

그리고 인도가 아무시험평가도 없이 도입시도했을 것 같아?

막판에 계약 틀어진건 금액과 기술이전규모 때문이라니깐..  해외 방산 소식 확인이나 하고 주저리 적어라.

그리고 난독 고쳐라.

정비자체를 한화가 한다고 언제 적었냐?

라이센스 부품 공급 그리고 그 주요부품 향후 30여년 후속군수지원에 계속 공급되는 걸로 돈 버는 거라고 적었는데?

그리고 인도현지국산화율 얼만지 알고 몇퍼센트 운운하는건지..

K9차체기반 경전차 생각한 인도나 마찬가지로 K9차체기반 여러파생형 고려중인 폴란드에 기술이전 라이센스 어떻게 되어있는지 너 모르잖아. 소설 쓰지 말고..ㅋ

인도 터키 폴란드는 자국 산업기반 있고 완제보다 "기술이전"이 보다 대명제였으니 일부 완제 후 현지생산한거고 그만큼 가격도 비싸지는거다.

그거 필요없는 국가는 싸게 완제로 그냥 들여갔고 그것도 더 싸게 가져갈 방법 궁리해서 창정비 들어온 K9개수해서 현지로 실어나른거고..

수십대 수백대 해봐야 어차피 일괄 수송아니고 분할 수송이고 자동차 운반선으로 지금까지도 잘- 운반해왔고 라이센스로 현지 생산하는 방식보다 완제 운반받는게 운반비용 다 생각해도 더 싸다.

요즘 어중간한 밀덕들 쥐꼬리만한 정보로 워낙 아는척 많이하는데 정작 깊이가 없..

그리고도 아는척 오지는 가생 밀게이들..
                    
토미 22-01-25 15:39
   
아니 이 사람은 자기논리에 자기모순에 갇혔네.ㅋㅋ

차륜형이 그리 좋으면 ㅈ빤다고 비싼 궤도형을 만들고 자빠졌냐고?

뭐라 슛엔스코트가 차륜형이 궤도형과 비슷하다고? 어디서 쌩구라를 치고 있네.

스페이드 박는데만 시간낭비이고 무엇보다 스페이드 안박고 연속사격시 재조준시간이

훨씬 길어지는데.

난독증은 너가 더 심하구만. "한화는 지난번처럼 라이센스비와 주요부품비 정도 받아챙기는거고" 이렇게 적어놓고 쌩까는게 주특기냐?

어디가서 차륜형이 궤도형 k9하고 기동성과 슛앤스코트 기능이 비슷하다고 말하면
정말 ㅈ도 모르는구나 하지.ㅋ

똘딱같이 딴나라는 미쳤다고 차륜형하냐 라며 반론하면서 그럼 딴나라는 ㅈ빤다고
비싼 궤도형 하냐 이건 생각도 못하지?ㅋㅋㅋ 으이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