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9-01 17:47
[전략] [단독]韓 핵연료 재활용 기술, 美서 승인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7,066  

https://news.v.daum.net/v/20210901174401923







포화상태 폐연료봉 처리 길 열려.. "韓, 파이로-SFR 원천기술 세계 첫 확보" 



ㄷㄷㄷ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9-01 17:47
   
zzanzzo 21-09-01 17:50
   
이런 반가운일이
Augustine 21-09-01 18:03
   
이게 머선 129???
하나박 21-09-01 18:11
   
레알??!!!!!
Brunner 21-09-01 18:26
   
한미공동연구 결과
한국에 대한 미국의 신뢰가 더욱 높아질 것
원자력 추진 핵잠수함 추진 결정하는데 도움 좀 주겠죠
셀시노스 21-09-01 18:31
   
원자력함(항모/잠함) 승인으로 가는듯..
스랑똘 21-09-01 18:45
   
반가우면서도 아쉽네요.....핵재처리 플루토늄축출해서 보관도 가능하게 했으면 좋을텐데...
     
user386 21-09-01 19:04
   
이건 우리가 풀어야 할 마지막 단계라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세계 최고수준의 핵기술을 가진 나라에 재처리 시설을 갖추고 플루토늄을 추출 할 수 있게
하는건 사실상 핵무기를 승인한것과 다름없기 때문이죠.

게다가 우리는 투발수단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습니다.
singularian 21-09-01 18:45
   
세상에 그렇게 힘들게 뜸들이던 것들이 모두 다 해결되는군요.
인절미를 만들다 보면, 손에 콩고물과 팥고물은 자연히 묻게 되어 있습니다.
한미 공동으로 해외원전 진출하면, 그 재처리 당연히 한국이 해야하는 조건입니다.
드디어 이젠 아무도 못 건드릴 나라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재처리 공장은 이미 1~2 공장까지 완공된 것으로 들었습니다.
아마 3공장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정도면 사실 "플루토늄 추출해서 보관"은 필요없다고 봅니다.

지금 부터는 미국과 짜고치는 것이 됩니다.
     
user386 21-09-01 19:26
   
우리나라가 재처리 시설을 완공 했다고요? 사실이라면 듣던중 반가운 소리인데...
뭔가 근거를 가지고 하시는 말씀이신지... 아시는게 있다면 살짝 공개라도...
          
singularian 21-09-01 19:49
   
한국의 목표는 물 밑에서의 조용한 핵연료 주기 완성입니다.
현재 국내의 원피아들간에 재처리 찬성론자와 반대론자의 의견이 팽팽한데, 찬성론 쪽의 의견이 채택된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국내보유 2개의 처리장은 건식 파이로 방식인데, 이것으로서는 물질 분리가 안 되는 방식이지요. 미국은 그것을 동의한 것이고요.

인터넷에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 연구개발사업 검토위원회 보고서(160쪽)”를 찾아보면 현 국내 상황의 파악이 가능합니다. 인터넷에 제2공장 완공 보고서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한국이 미국과 함께 제3국에 원전 수출을 하자고 합의했습니다. 제3국 진출하게 되면 자연히 재처리 국가를 지정해야 합니다. 미국은 지금 재처리장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한국은 플루토늄 금속을 추출해서 그 위험물을 수만년간 보유할 필요는 없습니다. 보관에 돈이 많이듭니다. ^^
필요하면 그때 하면 되지요.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억지력이 생깁니다.

Real Negotiator !!!
vexer 21-09-01 18:46
   
굳굳. 플로토늄 농축은 못하지만, 폐기 핵연료 재활용만 해도 굳!
무한의불타 21-09-01 19:12
   
ㄱㄱㅑ~ 가즈아~~~
도나201 21-09-01 19:26
   
결국 저농도 핵연료를 미국에서 판매하느냐 안하느냐 만 남았네요.

현재 상황에서 플로토늄 추출을 포기한 상황이기에...  미국에서 저농도핵연료의 수출은 승인해줄듯.

어떻게 보면 주변국의 반발을 극도로 신경쓴 상황에서 천천히 하나씩.  비밀협상하면서
시기만 조율하고 있었던듯...

아마 이런 상황을 북한은 알고 있었던 모양.  그동안 행적이나,  재처리공장의 재가동을 한것을 보면.....
물론 중국에서 흘렷을 것이 100%로 보여짐.
테킨트 21-09-01 21:30
   
어쨌든 수천톤 쌓여 있는 사용후 핵연료에서 플루토늄과 우라늄을 추출해서 쌓아 놨다가 연료로 쓸 수 있게 됐네요.
승리만세 21-09-01 21:30
   
솔직히 전범국 일본도 핵재처리에 대해선 관대하면서 우리에겐 너무 빡센 제재를 하고있었죠
나그네x 21-09-01 21:36
   
이게 사실이면 상당한 소식이군요.
완전한 핵원료재처리는 아닌것같고 연구단계라는 것 같아 좀 아쉽지만 한번에 그런게 용인될리가 없겠지요.
이번것은 주변나라들의 이슈화를 조금씩 낮추고 한단계 한단계씩 넘어가는 과정이라 봅니다.
멍때린법사 21-09-01 21:49
   
우리나라가 우리나라 세금으로 닥치고 투자연구해서.. 미국조차도 기술적 난제로 포기한 것을 기존 연구보단
가능성이 높다란 이유로 상업성을 포함하는 추가 연구해서 성공하면 미국에게 거져 기술을 넘겨준다라는
과거 정권시절 건식 개발 연구 협정의 연장선으로 보이는데..

성공아 아니고 일부 가능성을 보였고 추가연구는..  상업적으로 원전협업이란 타이틀로 사용연구를 허가했다란 것.
결과는 아직 아무도 모름. 이 방식의 연구는 과거 미국이 엄청난 연구비를 투자하고도 최종 포기한 전례가 있음.
미국 조차도 포기한 방식을 세금 들여서 개발한다는 것이고 미국은 안될줄 알면서.. 연구를 허가해주었고.. 
현재보다 높은 수준의 핵연구가 가능하며 핵개발 연구인력을 유지하는게 가능하고.. - 경수로 기술은 끝까지 옴.

미국이나 한국정부나 해당 연구가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있으나 .. 대외적으론 한국은 경수로이외
한국에서 핵재처리 목적의 연구개발 명분이? 미국은 밑천없이 최고 수준 연구소에서 성공시 원천기술을
실패해도 과정기간의 연구자료를 얻어가는 서로 다른 이득의 목적을 가진게 아닐까.
(어짜피 플루토늄을 얻어내지는 못하나.. 재처리관련 기술확보 차원이 아닐까.)


아무튼 외면적인 상업적 이용 목적만은 죽었다 깨도 아님. 한미가 서로 다른 꿍꿍이 목적을 가진 것으로..
singularian 21-09-01 22:28
   
한국이 의심을 받던 아니던 재처리 설득의 출발점은 공간확보 이죠. 만톤이 넘는 사용후 연료를 보관할 장소의 포화를 피하기 위한 협상입니다. 재처리를 하면 부피가 1/20으로 줄게 됩니다. 재처리 후 발생하는 95%는 일반 또는 저준위 폐기물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미의 파이렉스 동의로 한국이 얻는 것은 ;
1. 사용후 연료의 공간 1/20 처리로 처분장의 확보. 이것만 해도 대단합니다.
2.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사용 후 연료를 처분할 수 있음으로 기존 발전소의 지속운전 가능.
3. 1/20으로 농축된 연료를 확보 할 수 있음이며 이를 재사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둠.

사실 5%로 농축한다고 해서 바로 Tritium의 Trigger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농축물의 발생량을 IAEA가 확인 안 하지도 않을 것이고요. 그 점이 미국이 동의해준 이유이기도 하겠지요. 나머지는 물리학자의 몫이기도 합니다.  Tritium은 삼중수소이고 Trigger는 방아쇠 입니다. ^^
회색라이더 21-09-01 23:46
   
관련해서 좀 그런게 예전에도 폐기물 재처리 관련한 얘기가 있었거든요.
뉴스타파에서 나온 "핵재처리 프로젝트 - 파이로프로세싱의 비밀"
https://www.youtube.com/watch?v=cELLfcLTTB8

그리고 지금 기사도 잘 보면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한국에서 개발하겠다는 기술을 보니 군사용으로 쓸 기술은 아니네.. 계속 해봐.. 그런데 상업화는 쉽지 않을거 같으니 잘해봐라. 이런 뉘앙스 아닌가요?
관련해서 뉴스는
https://news.v.daum.net/v/20210901220644479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76
새우당 21-09-02 01:01
   
미안 하지만 그런적 없다..

재처리 과정
0. 사용 후 연료봉
1. 전처리 -- 허용 (여기까지 협정)
2. 전해환원 - 불가
3. 전해정련 - 불가
4. 전해제련 - 불가
5. 연료봉 제작  - 불가
좋은여행 21-09-02 02:28
   
윗분 말처럼 "상업화는 쉽지 않을거 같으니 잘해봐라..."라는 관점에 동의합니다. 어떤 이는 핵 재처리 즉 고속증식로는 거의 소설이나 사기다라고 할 정도로 비판적입니다. 심지어 원자력연구소에서 관련 연구 예산 삭감하려는 시도도 있었고(실제로 삭감했는지 안했는지 모르지만, 이 거가지고 언론플레이도 있었던 거는 사실). 아무튼 우리나라의 원전 연구자 내부에서도 대립이 있죠. 파이가 달린 문제라. 뭐 그나마 소형 원자로로 그냥 명맥을 유지하는 방향에 동의한 것입니다.

핵재처리기술이 실현된다면야 파급력은 엄청난 거는 당연한 거고. 빌 게이츠도 미국 기업에 투자하였고 그 기업 기술에 우리나라에서 냉각용 액체금속 분야에서 그나마 성과를 낸 유일한 나라라, 협조가 필요해서, 서로 윈윈하자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저도 회의적인데(하나의 문제가 해결되면 항상 다른 문제가 따르죠) 소형핵원자로로 가는 것은 세계적인 경향이니, 20% 핵연료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서라도 협력이 이루어지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인 관심은 안정성있는 토륨 원자로인데, 네덜란드 연구로가 가동에 성공했다고 하고, 우리나라가 여기에 협력한 것 같은데, 뭐 정보가 계열화가 안되어 있고 투명성도 없이 중구난방이어서 이 분야는 참 동향을 이해하기 어렵더군요.
그런대로 21-09-02 03:28
   
이거 항공모함에도 적용 되나여?
에이테킴스 21-09-02 06:16
   
이건 좀 내막을 살펴 볼 필요가 있어요.
저도 좀 찾아 봤는데...

폐연료봉 처리에는 습식과 건식이 있습니다.
습식이 바로 보통 알고 있는 폐연료봉 처리
기술입니다.

폐연료봉을 질산 수용액에 갈아 넣고 인산트리부틸
을 첨가 한 뒤 전기 분해 하면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100:1 분량으로 추출할 수 있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런데 이번에 미국이 승인해 준 것은 건식 방식
입니다. 이것은 폐연료봉을 파이로에서 건식 처리
하면 소듐 냉각 고속로 같은 차세대 원전의 원료로
쓰이는 신기술인데...

이 기술은 처리 과정에서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분리
추출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미국이 승인을 해 준 겁니다. 물론 1만7578톤
쌓여 있는 우리나라 원전 폐연료봉을 처리 하는 새로
운 길이 열린 것은 사실이지만...

재처리 과정에서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분리 할 수
있는 권한은 아직도 없는 겁니다.

일본은 습식 방식의 재처리 허가를 미국이 내 줘서
핵무기 수천개를 만들 수 있는 량의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직 갈 길이 멀어요. ㅠㅠ
리즌9 21-09-02 10:42
   
저농축의 기관의 특징이 교체주기가 길다는 점 도 있던데.....  아무튼 차근차근 여태해온 것 처럼 발전해가길 바랍니다.
ㅣㅏㅏ 21-09-02 10:57
   
SFR의 경우 우리나라는 계속 진행해와서 현재 상용가능한 실증로를 현재 개발하는 중이고 이 기술을 이용해서 기존 원전 고준위 폐기물인 사용후 핵연료봉을 소각시킬 수 있는 소각로를 개발했고 그 소각로 기술을 공인받은게 이 기사 내용임. 예전 원자력협정 개정되면서 SFR을 시작할 수 있게 된건데. 일단 저수조에 가득차서 포화상태인 폐연료봉들을 최소 1/20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니 이를 이용한 발전은 둘째치고라도 얼른 진행해야죠.
중고인생 21-09-02 14:22
   
어짜피 미쿡으로써는 중공때문이라도 한국에 핵 제처리시설과 플로트늄처리기술 마지막으론 핵까지 인정해주게

된다고 본다.

코로나 시대가 끝나면 분명 미쿡과 서방은 중공을 가만히 냅두지 않을것이다

그렇게 되면 동맹국인 한국은 미쿡과 함께 중공 을 쳐야하는데 그에 대한 보상을 해줘야 하고

그리고 중공의 핵미샤일을 맞을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지금은 연구위주로 풀어주면서 니들 기술이 가능한

다 풀어주게 될것이다

이방법이 바로 이스라엘이 그렇게 해와서 핵무기를 가질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대중공 전쟁에서 핵무기를 맞지 않을려면 우리도 핵무기를 가져야하고 부칸도 우리가 핵무기를 가지는데 딴지걸 명분은 사실 없다
우리가 가지면 지들은 그냥 미쿡으로부터 핵무기 인정국가가 되버리기 때문이다

5년이네에 모든규제를 철폐할걸로 보인다
A톰 21-09-02 14:38
   
돈들어 오는 소리가 들리는듯 하다.핵폐기물 처리문제도 해결하고 얼마나 좋아. 거기다가 한국 최초기술이라니.ㅎㅎㅎ
전쟁망치 21-09-02 21:05
   
폐연료봉 재처리 과정에서 열화 우라늄을 얻을수 도 있을려나?
미국 러시아 같은 경우는 워낙에 많은 핵미사일을 만들다 보니 부산물로 열화우라늄이 남아 돌다 보니 그걸
장갑과 관통자로 이용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알고 있는데.

우리같은 경우는 그럴수 없었기에 텅스텐을 이용한 관통자에 올인 할 수 밖에 없어고
(그덕에 텅스텐 관통자 기술을 우리가 탑급 반열에 오를수 있었다고 들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