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5-07 23:42
[기타] 독일 기술력이 좋네요
 글쓴이 : 포르투나
조회 : 7,075  


차륜형 155미리 자주포인데 탑승인원 2명 무인원격사격 이동간사격 우리가 k9a3에 구현하겠다는걸 이미 구현해놨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포르투나 22-05-07 23:42
   
크레지온 22-05-08 00:06
   
이미 한번 화제가 됐었지요, 실전능력이 궁금할 따름입니다ㅎㅎ
아그립파 22-05-08 00:18
   
이거 전체중량 어케 되나요?
     
포르투나 22-05-08 01:21
   
RCH 155


BOXER 장갑차 하체  +  PzH2000 포탑 개량형


K9 자주포와 동일한 155mm / 52구경장 포신

분당 9발 발사 ( MAX  ,  K9  6~8발 )

탄약 적재량   30발  (   K9 48발 , PzH2000  60발 )

완전 자동 무인포탑 


포수,운전수   2명이 운용

원격제어 가능,  무빙샷 가능


차량 무게 39t
          
아그립파 22-05-08 11:25
   
꽤 나가는군요;;
감사합니다.
삼한 22-05-08 00:37
   
타고났죠.
brigadoon 22-05-08 01:27
   
중간에 가다가 전차처럼 적 진지나 차량 탐지하고 쏘는 게 빠른데 이게 헌터킬러 기능인가 보네요. ㅎㄷㄷ
살수있다면 22-05-08 02:07
   
가갹도 궁금하네요
케이 나인도 업그레이드 되면 가격이 많이 올라 가지 않을까요?
케이나이 업그레이드 가 경쟁력이 있을런지..
독일 정말 대단하네요
     
포르투나 22-05-08 02:34
   
아래 kmw가 PzH2000 공급 제안한거 보면


훈련 키트와 예비 부품을 포함한 100대의 비용은 17억 유로입니다

복서 장갑차 버전(=RCH-155)는 12억 유로에 제공됩니다


100대에 훈련 장비 + 예비 부품 다해서 12억 유로


완전 1대1 비교는 안되겠지만 저 금액으로만 계산해보면

PzH2000 대비 70퍼센트 정도 가격인듯


여담으로 지원 제안 내용은

우선 독일군이 굴리는 PzH2000을 우크라이나에 주면

가능한 빨리 뽑아서 독일군에 채워넣어주겠다는 내용 ㅇㅇ

사실상 라인메탈의 마르더 지원안이랑 거의 같은 제안임

이런 글이 있네요.
          
살수있다면 22-05-08 03:35
   
케이 나인의 미래의 적이군요
케이 나인 업그레이드 가격 올라감...
PzH2000 의 70프로 즉 독일 자주포의 가격이 내려감...
케이 나인 업그레이드는 정말 잘 나와야 할듯 하네요
영국에서 판매도 더 힘들어 질듯 하고요..
          
도나201 22-05-08 05:52
   
그래도 K9A2보다 비싼가격입니다.

그리고 기동사격동영상이 돌아다니는데...
자주포에 굳이 기동사격을 해야 할 이유가 없다라는 것.
뭐....  무인기 쏘아댈때나 유리하겠죠.

자주포의 차륜형이 유리한가 하는 문제는
현재 프랑스, 독일 등....  의외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부품수명이 생각보다 짧아서  그에 대한 정비와 관리능력이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자주포가 궤도형이 유리한 점이 ...
험지주파능력 과  바로 정비성입니다.
차륜형이 좋지 않냐....... 그렇지 않다라는 것입니다.

이번 러시아의 차륜형 타이어상황만 보듯이  부품수명주기가 생각보다 짧아서
그에 대한 정비비용이 상승한다고 합니다.

오히려 궤도형보다도  더 비용상승이 든다고 합니다.

특히 자주포의 경우는 오랜시간의 거치형무기이기에
거점 확보와  그에 따른 대포병레이더의 성능에  오히려 더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입니다.

터키에서.. K9 파생형이  대전차미사일에 당한것이 화재이기도 했으나,
이건  자주포를 미쳤다고 최전방까지 끌고가서 당한것이고,

후방지원이라는 측면에서는  정확도가 생명이기에.
기동형 차륜형의 .. 문제는 아직도 많은부분이 검증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K9이 구매할수 있는 최고선택지라는 것은 아직도 변함이 없습니다.


다만 저물건이 대단해보이는 것은  독일의 저감화약기술의 최고봉이라서..
우리역시 이부분에서 ... 개발능력을 보여줘야 할겁니다.

이미 자주포의 성능에서 정확도, 관련해서는 웬만한 자주포는  MLRS 뿐만 아니라.

이번 러시아의 마리우폴함락시에  자주포롤 차근히 짓밟는 방식에서 엄청난 위력사를 보이기에  자주포의 전술적인 면을 본다면 .

차륜형의 자주포는 현재로서는 의문점이 많은 무기입니다.
밀덕달봉 22-05-08 09:17
   
이동사격이 자주포의 경우 필요가 있을지가 의문인 기능이죠.
중국 애들꺼 산 파키스탄이 인도와의 분쟁에서 k9에게 당한 이유가 어차피 서로 위치 알고 쏴도 포탑이 흔들려 목표물을 못맞췄는데, 움직이면서 쏘면 결과는?
이 분야에서 독일이 가장 시급한건 저런 보여주기식 기능이 아니라 인터페이스와 기능들을 간소화해서 징병된 어벙한 병사들도 빠른시간 훈련되어서 실전을 치룰수 있게 단순화 하는작업인데, 그것이 이루어 졋을지가 궁금할뿐 다른기능에서는 별로 높은 점수를 주고 싶지 않네요.
30발이라고 해도 2명이서 나르기엔 조종수 빠르지 혼자 30발 옮겨야 한단 건데, 쉽지 않을 뿐더러 30발 은근 빨리 쏘고 보충이 필요할건데, 저걸 사수 혼자서 다한다면?
죽어날겁니다.
대팔이 22-05-08 10:02
   
지상무기에 한해 독일의 기술력은 넘사벽이죠..
     
까칠한성격 22-05-08 13:04
   
뛰어난건 사실이지만 넘사벽까지는 ??
     
구름위하늘 22-05-09 11:35
   
독일 기술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2차 세계대전의 내막을 살펴보면
독일 무기 기술의 상당수는 사실 미국이 만들어준 기반이 많습니다.

넘사벽은 물론이고,
타국에 비해서 앞선 경우도 그닥 많지 않다는 것이 오히려 사실입니다.
병사와 장교의 질적인 우수성을 저는 더 높게 봅니다.
드뎌가입 22-05-08 11:02
   
근데 가분수느낌이라서
막연히 안정성이나 장비유지가 잘 될까 의심스러움
실제는 쓸만하더라도
이름귀찮아 22-05-08 12:31
   
저런 구조의 차체로 반동제어를 어떻게 하냐가 문제일듯
user386 22-05-08 13:52
   
아직은 개발중 이라고 하나 동영상보고 스팩보니 그대로만 양산되고 가격만 맞으면 자주포 시장
절대강자가 되는건 시간문제 일 듯 합니다.
우리 K9 업그레이드 버전들도 긴장해야 할 듯...
나그네x 22-05-08 22:17
   
다들 아시다시피 독일의 가갑장비 기술력은 정평이 나있지요. 기계공학적으로도 뛰어나고 지속적으로 첨단의 고성능 장비들을 개발생산하고있고 기갑전력들과 전차는 물론이고 자주포도 세계최고의 성능이라면 아직까지도 PzH2000이 최고라는데 이견의 여지가 없을겁니다. 다만.. 독일의기갑장비의 장점은 여기까지로 단점으로 그 장정을 깍아먹는 문제가 있지요.
다들 독일장비가 고성능에 고품질이라고는해도 접근하기가 애매하다고 느끼는것들이 바로 거의 단점문제가 간단하지않다는점.
일단 도입가격이 진짜 비싸다 고가다입니다.독일의 가갑장비는 한국제에비해 성능은 좋다해도 같은 평균적으로 독일제 1대에 한국제는 거의 2~3대 구입가능하다는것.
그렇다고 성능이 그만큼 차이나냐.. 그렇지는 않다는게 문제. 한국군도 기본적으로 원하는 성능마지노선이 있다보니..아무리 앞선 성능에 아이디어가 좋은 장비가 저렇게 시제품으로 몇몇이 나온다해도 양상에서 가격이 독일스럽게 그닥이라면 소량의 양상품이 될가능이 높을수도.
그리고 독일가갑장비의 고질적이고 치명적인 문제가 부품수급의 어려움과 장비와 정비관련해서 비용이 헬스럽다.
이건 뭐 우려스러우니 다음으로 넘어가면 이것도 좀 애매한데 장비의 운영조작이 꾀 까다롭다고 알려지 있더군요.
특히 PzH2000자주포같은경우 지능이 꾀 높은 노련한 운영병들이 조작해야 본연의 성능이 나온다..이게 진실인지 아니면 과장된건지는 모르나 아무튼 운영조작이 쉽지않다는것같음.

저 개인적으로 자주포에서는 줄곧 아직까지 최고는 PzH2000와 양산안된 크루세이더라고 생각해 왔지만 내가 육군장비 도입에 주도적위치에 있다면 당연히 k9으로 도배할것임.
     
밀덕달봉 22-05-09 02:07
   
환상 같은거죠.
공업 대국 독일이란 타이틀.
레오파트2도 결국 터키가 중동에서 써보고 중동애들이 쓰는 m1다운그레이드형보다 별로란 애기가 많고 사실 rpg7에도 워태워태한 상태니.......
그래서 k2 중량이 가벼우니 측면장갑이 부족할거란 애기가 돌기도 했었구요.
레오파트2도 결국 몇년동안 서방 전차 랭킹 1,2위를 다퉜지만 실전에서 생각보다 시가전에서 약했고, 초탄 명중률도 엉망이었다는 실체가 들어났죠.
그래서 부랴부랴 a6,a7등 계속해서 개량형을 내놧지만 반응은 뭐 다들 아시다시피 뜨뜨미지근.
PZH2000도 독일에서만 대량 도입하고 여기저기 많이 뿌려진적이 없어서 상상속 스펙상 최고라 자부했지만 여기저기서 공여 애기나오고 교육들어가면서 나토군 애들이 만져본 결과 평가가 썩 좋지 않고, 가장 큰 문제가 무기를 다루기가 어렵고 교육상 불필요한 절차가 많다.
그래서 신규도입하려면 전력화까지 너무 시간이 오래걸리고, 익숙하게 숙달된 병력을 교육으로 만들기가 힘들다죠.
뭐 독일차라고 뺏지 달고 다니면서 품잡긴 좋지만 차가 조작이 어려워 사고가 날 수 있고 운전 시에 힘들고 피곤하다면 운전자 입장에선 차를 운전하는게 아니라 그야말로 모시고 사는것과 같죠.
딱 독일 무기들 문제점이 저렇고, 실전 테스트가 없이 만든 무기들이라 일단 실전 테스트에선 그닥 좋지않은 평가를 받았다는점 이점에 의해서 그닥 독일 지상무기에 대한 좋은 점수는 줄 수 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