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8-06 21:40
[기타] 근래에 예멘반군이 사우디에 날린 북한제 스커드를 보니
 글쓴이 : 한강철교
조회 : 4,627  

솔직히 스커드미사일 여태까지는 명중확률이 떨어져서 과연 제 역할을 다 할수있을지

의구심이 들었는데 사우디에 떨어진거 보니 생각보다 명중률이 우수한것 같았어요

사우디 방공능력도 우습게 볼정도는 아닌데 한국이 만약에 북한이 스커드를 날린다면

과연 몇%나 요격할수있을지 의구심이 드네요...방공체계가 더욱더 타이트

했으면 좋겠는데 물론 100%막는다는건 망상에 불구 하다지만 최소한의 피해로

막을수있을정도면 좋겠는데 말이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자체발광 15-08-06 21:57
   
엥 오히려 전혀 엉뚱한데 떨어졌는데요??
목표가 군 공항이였는데 근처도 못갔어요.. 뭐 이런면이 무섭긴 하네요
Mr킬러 15-08-06 21:59
   
명중률 보다 파괴력이죠 예맨반군 스커드 파괴력 보셧나여..
그정도 파뢰력이면 한두발이면 15층 아파트는 금방 붕괴되버립니다.. 전면전시
수십발이 아니라 수백발 나올수있는데..서울시내에 고층 건물들은 거이 대부분 아작난다고 봐야 합니다..
     
참치 15-08-06 22:08
   
파괴력요? 영상이 있으면 저도 보고싶네요. 자폭테려 영상 짜집기가 있어서 원본찾기가 더 힘드네요.  확실히 파괴력은 있을 거임..
도나201 15-08-06 22:04
   
서울주요시설에 아파트난립은...주요시설방어적목적도 한가지용도라는.. 것이...함정.....ㅡ ㅡ...
     
NightEast 15-08-07 04:35
   
용산미군기지 근처에 기지가 다 내려다보일 정도로 높은 타워펠리스 같은 아파트건물을 세워놨는데  곰곰히 보니까 대략 기지 북쪽방향 ㅋㅋㅋ 딱 보고 드는 생각이 '저거 칸막이구먼 미사일 칸막이' ㅎㅎ;;;

글고 예비역 장교분께서 하시는 말씀이 파주 일산 지역 아파트단지 다 무너뜨려서 전차 장갑차 바리케이트 역할로 만들어버리는 메뉴얼도 있다더군요
이쉬타르 15-08-06 22:16
   
예멘 반군들이 사우디에다 발사한 스커드급 탄도탄은 사우디공군기지 하고 무슨 군사기지를 공격 했다고 하는데 원래 고폭탄을 장착해서는 점표적을 못 맞춤니다 ,,스커드 계열은 저성능에 구식이라 착탄 오차가 크거든요....
스커드탄 20발을 쐈는데 사우디의 패트리오트 미사일이 40%로 막아냇다고 하더군요..탄도탄은 원래 못막는 구형 패트리오트탄이 4할 확율로 요격시키면 아주 좋은 성적인게죠
보도에 사우디측은 미국으로부터 pac-3 ,600발을 구매 한다고 하는거로 보아선 장차 사우디군은 누구도 못 돌파하는 철저한 대공요격망이  구축되리라 봄니다
이쉬타르 15-08-06 22:22
   
내년 도입이 되는 PAC-3 하구,,,지금 개발중인 천궁-1의 탄도탄 요격 버전 같으면 스커트나 북한이 가진 더 장사정인 노동계열 공격도 막아내고 할거라 일단 안심 해도 되고 2020년도 이후부터는 더 고성능 요격체제인 천궁-2 배치가 될것이라(2단계요격망이 구성이 됨) 우리측 방어망을 피해서 북한이 우리측에 대한 탄도탄 사용 공격은 성공 하질 못할 검니다
대화력전 체제가 구축이 되면 북이 수도권에다가  장거리포 사용 포격도 실패 합니다..북이 발사할 포격을 전부 막아내지는 못해도 작은 피해로 국한이 되지요
     
구름위하늘 15-08-07 11:25
   
내년도 PAC-3 도입이 혹시 신규 PAC-3 도입 건인가요?
PAC-3 에 대해서는 기존 도입 분에 대한 업그레이드와
미사일 추가 도입 외에
신규 포대 도입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해서요...
태강즉절 15-08-06 22:56
   
전쟁이란게...축구마냥 ..골대 앞에서 벽세워  날라오는  프리킥만 막는것도 아니고..
때릴려면 때리라죠..여기 저기 산과 들에 삑사리나 내면...그때 우리가 더 때리면 되니..ㅋ
돌개바람 15-08-07 07:25
   
사우디가 40%를 요격했다고 주장하는건 전형적인 언론플레이입니다. 니들이 쏴봤자 우린
막아낸다 즉 자국민에겐 안심을 적에게는 무력감을 주기 위해서 하는 주장이죠 걸프전때
미국이 패트리어트가 사실상 당시 스커드 요격이 거의 전무하다 싶이 했지만 언론플레이는
스거드를 거의 다 요격한다는 식으로 했었죠 그나마 PAC-3가 직접타격방식이라서 요격
성공율이 좀더 높은거지 그 이하 버젼은 근접폭발방식이라 낙하속도가 빠른 탄도미사일이
지나간 뒤에야 근접신관이 작동했다는 것이 나중에 밝혀졌습니다.
     
구름위하늘 15-08-07 11:18
   
언론플레이인 것은 맞지만,  조금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면 결과데이터를 해석하는 차이 이기도 합니다. 영문 위키를 보면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고장과 에러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 (초기 소프트웨어 문제: 내부 시계 소프트웨어 버그 문제로 100시간 이상 사용하면 1/3 초가 차이 나면서  600미터 이상의 거리 오차로 탄도탄을 탐색하지 못했다고 함. 이스라엘군은 시스템을 자주 리부팅하는 방식으로 임시조치했다고...)가 나옵니다.

더불어 요격성공률에 큰 의견 차이는 다음 2가지 용어에 대한 혼란으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성공율 : 스커드의 파괴와 사람없는 지역으로 비껴나간 백분율
정확도 : 전체 패트리어트 미사일 발사 숫자 대비 충돌 비율

탄도탄에 대해서 2~4대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발사(사우디에서는 평균 3발)하는데,
요격 성공 시에 성공율은 100% 이지만, 정확도는 25%~33%이 되기 때문에
정확도 기준으로는 초기 PAC-1, PAC-2 의 정확도가 10% 이하... zero에 가깝다는 것이 맞는 이야기 입니다.

성공율 기준으로는 초기 버그(이건 스커드가 탐색되지 않았는데도 요격을 시도하는 초기 버그) + 이후 버그까지 합하면 50% 근방? 그런 버그를 제외하고 정상 교전만 따지만 90% 이상이라는 이야기도 맞는 이야기 같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MIM-104_Patriot
"According to Zimmerman, it is important to note the difference in terms when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during the war:
Success Rate – the percentage of Scuds destroyed or deflected to unpopulated areas
Accuracy – the percentage of hits out of all the Patriots fir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firing doctrine on average four Patriots were launched at each incoming Scud – in Saudi Arabia an average of three Patriots were fired. If every Scud were deflected or destroyed the success rate would be 100% but the Accuracy would only be 25% and 33% respectively."
페닐 15-08-07 11:07
   
의정부 일산등의 신도시 아파트는 북한 공격을 막는 방어 시설 개념임
인터넷이 깔리지 않았던 시절이라 그렇지 그동네 사람들 당시에도 난리 났었는데....
20여년전 군사정권시절 국방부 장관이 청문회에서 했던 말임...
     
한강철교 15-08-07 18:38
   
뭐 도시계획에 국방부의 입김이 들어간다는건 어느나라나 다 똑같은걸요

공성전을 하던 고대시대때도 그렇고 지금의 도시 계획에도 국방부에서

태클걸면 제대로 공사 진행이 안되는경우가 많죠 도시계획도 좋지만 국가방어를

위한 필수 요소쯤 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