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9-21 17:02
[사진] 우리의 현무4는 이 콘크리트를 뚫을수 있을까요?
 글쓴이 : 마린아제
조회 : 3,045  
   https://ascelibrary.org/doi/abs/10.1061/%28ASCE%29MT.1943-5533.0003665 [11]

Dynamic behavior of functional graded cementitious composite under the  coupling of high speed penetration and explosion - ScienceDirect

Properties and Simulation of UHPC and FGCC Subjected to the Coupling of  Penetration and Explosion |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 Vol  33, No 6
최근 중공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벙커용 콘크리트 공법을 개발해낸것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Targets made by ultra-high-performance concrete (UHPC) and functionally graded cementitious composite (FGCC) were manufactured and their dynamic behaviors were researched under the coupling of penetration from _ xml_ns="http://www.w3.org/1998/Math/MathML" display="inline" overflow="scroll">14.5-mm bullets and TNT explosions. The FGCC targets including the antipenetration layer, crack resistance layer, and spalling resistance layer were made of coarse aggregate reinforced UHPC, hybrid fiber–reinforced UHPC, and steel fiber–reinforced UHPC, respectively. The dynamic fracture of UHPC and FGCC targets were investigated and the penetration and explosion process were researched using the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SPH) method. The crater sizes, fracture patterns, and attack damage of UHPC and FGCC targets were measured respectively. Results show that the resistance of FGCC against penetration and explosion was increased by the reinforcement of alumina aggregates. The minimum penetration depth of the FGCC target decreased greatly compared with the UHPC target. The dynamic processes of UHPC and FGCC subjected to penetration and explosion were simulated by the SPH algorithm. The simulated crater sizes were close to the experimental data. Penetration models were proposed to calculate the crater depths of UHPC and FGCC based on the Forrestal model. The deviations between the penetration models and experiments were small.

간단하게 설명하면 적층  고성능 콘크리트 줄여서 FGCC라고 부를수 있습니다.
외신발 칼럼을 보면 운동에너지 외에는 돌파하기가 어려울것이라고 하는데 이 연구를 중공이 시작한지는 꽤 된것 같습니다.

2012년 미공군은 FGCC보다 아래인 UHPC 벙커를 파괴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발사체로 철근콘크리트는 파괴해도 UHPC는 외벽에 균열을 약간 주거나 아니면 튕겨 나갔다고 합니다. 
Photo credit: Stefano Montesi - Corbis - Getty Images
현재 미공군은 5000파운드 벙커버스터 미사일로는 더이상 신형벙커를 파괴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고 30000 파운드 폭탄으로 실험을 지속해 총 4번의 업그레이드를 했다고 합니다.
사진 제공: USAF - 게티 이미지

여기에 사용된 폭탄은 MOP입니다. 이 연구후 MOP가 2018년에 4차 업글이 되었다고 합니다.
사이즈는 기존보다 좀 작아졌습니다.

문제는 가장 좋은 기존특수재료로 만든 폭탄이라 하더라도 더 이상 고강도 콘크리트를 파괴할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여기까지가 UHPC에 대한 실험이었고 최근 중국에서 개발한 FGCC 공법에는 아직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것입니다.
올6월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FGCC는 UHPC보다 미사일의 침투파괴 및 폭발에 훨씬 더 잘 저항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자세한 연구결과과 궁금하신분은 링크로 가셔서 다운로드 해서 보실것을 추천합니다.

영국의 국방 싱크탱크에서는 그 대안으로 현재 할수 있는것이 벙커 입구를 어느정도 파괴해 입구를 막는것과 벙커 어딘가에 있는 외부용 안테나를 파괴해 외부 중앙지휘실 또는 외부와 연락을 차단하여 정도가 될수 있다고 합니다.

FGCC까지는 아니어도 UHPC에 대한 기술과 진척에 대해서 북한과 이란이 아무것도 모르고 있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현재까지는 창과 방패의 싸움에서 방패의 승리로 귀결될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새로운 창이 나오겠지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서클포스 22-09-21 17:19
   
벙커 버스터 기술이 발달 하겠져.. 중요한 것은 벙커 버스터가 지하에 타격을 주기위해 발달하고 있고

현무4 는 미사일 기술이라서.. 사실상 벙커버스터 기술과 별 상관없는 내용이 아닌가요.. 근본적으로

모든 지하 시설들은  미사일의 폭탄 파괴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타격이 갈테니.. 결국은  고중량 탄도 개발 과 관련이 있을 것 같고

현무4 의 미사일 기술과는 정확하게 일치하는 기술이 아님..
     
마린아제 22-09-21 17:28
   
제가 이 글을 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현무4 발사성공이후 많은 언론에서 지하 100미터까지 뚫고 들어간다는 기사를 참 많이 봤습니다.
단순하게 운동에너지만으로도 말이죠.

그래서 이런 질문성 글을 작성하게 된것입니다.
zaku 22-09-21 21:37
   
뭐 미국같은 무식한 애들은 안되면 전술핵이라도 쓸 듯
당나귀 22-09-22 01:14
   
벙커버스터가 뚫고들어가서 폭발하는 능력이 우선이지만 소위 그냥 묻어버리는 효과도 무시못합니다.
출입구나 환풍쪽을 타격하면 매몰은 안될지언정 매립은 되겠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