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7-16 00:59
[전략] 가장 효율적인 대 탄도미사일 대책
 글쓴이 : 떠벅
조회 : 1,074  






장점: 발당 단가가 싸고 다용도로 사용가능

단점: 전기소모량이 어마어마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rchwave 16-07-16 01:25
   
업체 홍보는 PR ( P-피할건 피하고, R-알릴건 알린다 ) 에 충실한겁니다.

레일건 방식이나 기존 방식이나 사실상 차이점이 없습니다. 위 홍보처럼 하는 것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아예 가능하지 않다 봐야 하고요. 물론 기존 요격 미사일은 1 발이면 될 것을 아예 한 10 발 쏴거 화망 구축하면 되긴 하겠네요. 그렇게 하면 오히려 레일건 방식이 비싸질 듯.

표적 미사일에 다가가는 동력이 뭐냐만 차이가 있는거죠. 대포처럼 발사 순간 가속한 힘만으로 접근하는 것이 레일건 방식이고, 로켓으로 지속적으로 가속해서 접근하는 것이 기존 요격 미사일입니다.

탄두 부분은 적 미사일을 추적하는 기능이 반드시 달려야 합니다.

미사일은 지상 목표물을 맞추기 위해 끊임없이 궤도 수정을 해야만 하죠. 지상에 떨어지기 직전까지도 요격 닿하지 않게 랜덤 비행하든 회피 비행하든 어떤 식으로든 경로가 바뀝니다. 대기 상태에 따라서도 바뀔 수 있고요.

즉 레일건이든 요격 미사일이든 발사 순간 예측한 표적 미사일의 궤도와 충돌하게 발사하지만, 결코 맞아떨어질 수 없죠. 요격 미사일의 탄두 부분이 끊임없이 소형 로켓을 가동해서 표적을 쫓아가는겁니다.

위 홍보 영상의 것에는 표적 쫓아가는 기능따위는 있지도 않죠. 그냥 대충 근처에 가서 터지면 표적을 박살낸다는 식.

----------------------------------

위와 같은 방식이 매우 충분히 의미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점 방어의 경우죠.

점 방어의 경우는 적의 미사일이 떨어질 곳이 뻔합니다. 벗어나면 애초에 요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니 무시해도 되고요. ( 구축함 방어하는데, 바닷물로 퐁당하는 미사일을 요격할 필요없겠죠 )

즉 적의 미사일이 날 공격하려면 예측되는 궤도 움직임에서 그리 벗어나지 않는다는 얘기죠. 이런 경우라면 위 홍보에 나온 방식이 상당히 의미있습니다.

하지만 면 방어의 경우는 얘기가 다릅니다. 지금 적의 미사일이 날아온 궤도를 바탕으로 예측한 코스가 맞을지 안 맞을지는 며느리도 모르는 겁니다. 예측상으로는 A 지점에 떨어지는 것인데, A 로부터 2 km 떨어진 B 가 그 미사일의 목표일지도 모른다는 얘기죠.

이런 경우는 위 홍보와 같은 방식을 쓸 수가 없음. ( 위 홍보에 나온 것은 탄두가 적을 추적하는 기능은 있지도 않음 )

----------------------------

결론은 저 홍보에 나온 시스템은 매우 좁은 지역을 방어할 때나 의미가 있고,
규모가 있는 군사 기지, 병참 시설, 활주로, 도시 등을 방어하는데는 의미가 없습니다.
archwave 16-07-16 01:36
   
미사일 요격이 가능한 것은 매우 단순한 사실 하나 때문에 가능한겁니다. 탄두의 무게죠.

탄도 미사일은 최소한 500 kg 정도 고폭탄을 넣은 탄두라야 의미가 있죠. 그 이하면 다연장로켓포 같은 것을 쓰죠. 무게 때문에 탄두의 기동성이 떨어지고, 탄두에 궤도 수정용 로켓등을 단다 해도 무게가 많이 증가하죠. ( 폭탄 위력을 그만큼 감소시켜야 한다는 얘기 )

이에 비해 요격 미사일은 기껏해야 몇 십 kg 이면 됩니다. 그렇게 가벼운 것이니까 탄두에 궤도 수정용 로켓을 포함시켜도 공격 미사일의 탄두에 비해 훨씬 더 가볍고 기동성도 매우 뛰어나게 됩니다.

동일한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할 때, 요격 미사일은 공격용 미사일보다 언제나 훨씬 기동성이 뛰어나게 된다는 이유 때문에 요격 미사일이라는게 가능해지는 것임.
일경 16-07-16 18:27
   
효율로 따지면 일반 탄도탄은 레이져 요격 체계가 최고입니다.

가격도 싸고 빛이라는 매체를 사용하기에 정확도는 말 할 필요도 없죠.

단지, 현제 레이져 기술이 대기의 산란에 의한 출력 저하로 사거리 제한이 있어 대륙간 탄도 미사일에 대해선 방어가 안돼죠.

하지만, 기술력으로 올리지 못해도, 단순히 출력을 올림으로서 사거리는 늘릴 수 있습니다.

이런 레일건 시스템을 대 탄도탄 방어 체계로 연구 하느니 그냥 레이져쪽을 연구하는게 효율적이라 생각이 드네요.

레일건은 현재의 화약을 이용한 포의 대체용으로 좋은거지... 이걸 요격체계로 쓰기엔 레이져에 비해 너무 비효율적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