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2-13 12:53
[사진] 프랑스 육군에 인도된 신형 전투차량 재규어
 글쓴이 : 노닉
조회 : 3,983  


1월 21일 프랑스 기병연대에 신형 재규어 전투차량 20대를 인도했다고 합니다


사정거리 1400m  40mm CTAS포, 7.62mm RWS


사정거리 4000m 발사후 망각방식 2연장 MMP 미사일 발사기
2030년까지 300대의 재규어 전투차량을 실전배치 한다고 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2-02-13 13:44
   
보병지원에 특화된 듯 하네요. 그래도 K-21장갑차가 더 좋아보이지만요. ㅋ
벌레 22-02-13 14:03
   
장난하지 말고 진지한 거 좀 만들자
바퀴에 목숨걸었나 계속
짬고냥이 22-02-13 14:10
   
디자인 독특하네.ㅋ
니내아니 22-02-13 14:49
   
가격은 후려치는것 아님?

재넨 진짜 이해안가네...전차빼고는 궤도는 포기하나..
살수있다면 22-02-13 14:52
   
프랑스는 산이 별로 없나 봐요?
그렇다면 바퀴도 좋을듯
일단 제박비가 저렴 하고 기동하기도 좋고 가볍고 만들기 쉽고 등 등
     
니내아니 22-02-13 15:04
   
노르웨이 자주포 수주전에서 보듯..

바퀴로는 한계가 명확한 물건임..

유럽지역이 평야가 많다지만.
궤도와 장륜형은 실지 기동성에서 차이가 많음..

도로만 타면서 전투할것도 아니며...야지기동시 평야에서도 궤도식이 야지기동에서 월등함..

경량화등으로 긴급배치시 유리한점이 있겠지만..

프랑스 독일 영국등 방산품이 저렴하지도 않음..궤도로 만들면 아마 가격은 더 후려치겠지만
     
다른생각 22-02-13 22:55
   
스위스,스페인이랑 가까운 남부,동부 일부지역을 제외하면 국토 대부분이 평야,구릉 지대고 도로망이 잘 깔려있음..
그리고 시베리아 평원같이 특정 시즌만 되면 진흙밭으로 변하는 기후 환경도 아님..
소련(러시아)같이 가상 적국과도 인접하고 있지 않으니 평원지대에서 중장갑 기갑전이 대규모로 벌어질일은 거의 없다라고 전제함..
그들은 러시아 정규군이 프랑스 본토까지 들어올 전황이 되면 핵전이 벌어질 상황이라 생각함..
 
더해서 프랑스군이 현실적으로 부대끼고 있는 당면 과제는 저강도 분쟁 대응과 해외 파병임.
화력과 중장갑도 좋지만 신속하게 군사력을 투사할수있는 기동성을 절대 순위로 매우 중시함.
야들도 트라우마가 있는데.. 2차전때 속절없이 당한게 고착 방어만 고집하다 한군데 뚫리니 전체가 무너진걸 경험했던터라.. 기동력은 종교라는 말까지 나올정도로 신봉자가 많음..
지금은 감축으로 가용병력까지 줄어든 상태니 소수인원으로 좀더 능률적으로 움직이려면 기동성이 1순위가 될수밖에 없는건 전통같은 고집이 아니라.. 필요충분 조건이 됨.

또 식민 역사가 긴만큼 전면전에 준하는 전쟁을 모로코와 베트남에서 현대까지 겪으며 가장 고생했던게 장거리 보급과 작전이었음..
전훈으로 항상 언급되는게 기민한 보급과 기동 작전의 중요성임.
프랑스군의 이러한 기동성 중시 사상은 나중에 미군도 스트라이커 전투단 연구하며 많은 참고 사례가 됨.

나름 유럽에서 지역 맹주를 자처하며 미,영과 다른 독자노선을 꾸준하게 걸었던것 만큼..
수많은 파병국들이 미국같은 개입 주도국에 일정 부분 보급,인프라를 의탁했던것과는 다르게.. 
프랑스는 독자적으로 수행함.. 특히 아프리카쪽에서는 반복되는 정정 불안으로 아직도 식민모국이었던 프랑스에 평화유지군 명분으로 파병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 지금도 파병을 많이 다님..

따라서 현지에서 별도의 수송수단 없이도 현지 원점에서 작전지까지 돌아다닐 차륜형 기갑체계를 선호할수밖에없고.. 비용이 저렴하니 수도 없는 분쟁 개입에도 예산이 폭증하지 않음.
항공수송도 가능해서 신속대응군의 작전 준비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수있음..
대부분이 저강도 작전이라.. 중장갑 방어체계가 필요치 않아 장기간 프랑스군의 차륜형 체계 사랑은  러시아가 미쳐서 유럽전체가 참전하는 세계 대전급 전쟁이 코앞에 닥쳐오지 않는한 계속될듯 보임..
바람퉁이 22-02-13 15:06
   
요놈이 약간 특이한게 가격 절감을 위해서 기존 세시를 공용으로 이용하는 놈임 (일반 군용 차량형과 같이 이용)
     
니내아니 22-02-13 16:13
   
기존 세시가 아니고...처음 개발때부터..그리핀 수송용 장갑차와 보병전투차등등 공용 세시로 개발된거 아님?
          
바람퉁이 22-02-14 06:17
   
넵 님 말처럼 기본적 공용세시개발  갠 기억으로 수송용이 먼저 나온것으로 기억해서 기존이라 표현했네요.
아 그리고 가격 절감 목적으로 민수트럭 기반 발전 개발로 알고 있었는데...(기억으로 의존한 거라 틀릴수도 있음.)
말랑카우 22-02-13 17:00
   
멋진데
점퍼 22-02-13 17:39
   
뭔가 가분수 적인 디자인, 방어는 포기하고 공격력으로 퉁치는 느낌입니다.
나그네x 22-02-13 20:50
   
균형적으로 포탑이 큰게좀 걸리긴하지만 전체적인 디자인선형에서는 꾀 좋아보이는군요.
디자인감각이 괜찮은느낌임.
     
다른생각 22-02-13 23:00
   
화력은 기존 체계보다 더 쓸만하게 만들고 싶은데.. 차체는 공중수송때문에 규격 늘리는데 한계가 있으니..
밀덕달봉 22-02-14 02:42
   
프랑스 애들이야 아프리카 식민지 관리에 수송기에 태울 요량으로 경량화한 이런 차량을 개발한거지만 우리도 필요할 거라고 봄.
어차피 40톤 이상짜리 as-21같은 애들로 도배할거 아님.
rpg 어느정도 피해볼거 계산에 넣고 이런 소량 전술차량화에 나눠 태워서 한바구니에 안넣는 것도 방법일듯.
그리고 한국형 험비보단 화력이나 방어력 면에서 우세라고 보임.
추후 공중 강습사단에 대량으로 배치해놓고 수송기로 실어다가 떨궈서 특전사랑 같이 티어 1,2로 바눠어서 작전하면 그것도 상대방에겐 상당히 부담이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