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12-16 14:02
[뉴스] (NAVALNEWS 구글번역) 한국의 핵잠수함
 글쓴이 : 노닉
조회 : 3,465  

장보고3 배치2 기반 원자력 잠수함 일러스트(확대하려면 클릭하세요.)
KSS-III 급은 1세대 핵잠수함의 실행 가능한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은 경험이 풍부한 국가, 아마도 프랑스와 협력하여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원문


한국 최초의 핵잠수함이 가까이 보인다


핵잠수함은 비핵잠수함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한국은 수년 동안 그들을 인수하기 위해 찾고 있었고 이제 업계가 그것을 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국가가 원자력 잠수함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호주 해군은 올해 AUKUS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브라질 해군은 11월 25일 SN-BR 보트 건조에 서명했습니다. 한편 국방 분석가들은 원자력 잠수함 게임의 또 다른 후보인 한국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11월 10일 현지 언론(한국어)은 자체 원자로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다목적 시스템은 민간 용어로 설명됩니다. 그러나 관찰자들은 신속하게 한국 해군(ROKN)의 핵잠수함 프로그램에 연관시켰습니다. (해군 용어로 핵잠수함은 군비가 아닌 발전소를 의미합니다.)


한국이 핵잠수함 건조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은 비밀이 아닙니다. 거의 20년 동안 공개 토론이었으며 AUKUS는 이를 다시 활성화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은 이제 잠수함 건조 산업과 원자력 산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KSS-N 잠수함에 대한 동기


AUKUS가 가장 가시적인 촉매가 될 수 있지만 한국이 KSS-N(비공식 용어, 핵 추진력을 갖춘 한국 잠수함을 지칭함) 건조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아닙니다. 이 나라는 빠르게 발전하는 북한의 잠수함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여전히 전쟁중인 북부 이웃에는 핵 잠수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핵으로 무장한 재래식 잠수함을 만들고 있습니다. 한국의 잠수함은 개별적으로 훨씬 더 정교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핵 위협만큼 이러한 위협에 대처할 능력이 없습니다.


핵잠수함은 일반 디젤-전기 보트에 비해 해군에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더 오래 여행할 수 있습니다. 잠수함의 지구력과 전투 지속성은 추진력보다는 승무원에 의해 제한됩니다.


한국잠수함의 주력인 디젤전기잠수함은 한 번에 몇 주 동안 운용할 수 있다. 그들이 기지로 돌아올 때 그들은 특히 취약합니다. 핵잠수함은 몇 달 동안 운용할 수 있으며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현재 디젤-전기 잠수함은 세계에서 가장 유능하고 가장 정교한 잠수함 중 하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독일에서 설계한 연료 전지 AIP(공기 독립 전력)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KSS-III 급은 탄도 미사일용 수직 발사 시스템(VLS)을 갖춘 최초의 AIP 장착 보트로 주목할 만하다. 이 경우 미사일은 재래식으로 무장한 정밀 타격 무기입니다.


그리고 현지 제조사들은 개선된 AIP 시스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더 안전하고 더 가볍고 더 컴팩트할 것을 약속하는 메탄올 개질기를 갖게 될 것입니다. 한편, 이 나라는 최신 리튬 기반 배터리를 잠수함에 탑재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시스템이 이미 테스트 중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디젤 전기 잠수함과 원자력 잠수함의 격차를 줄이고 자체 전술적 이점이 있지만 실제로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핵잠수함은 특히 더 긴 거리에서 여전히 더 빠를 것입니다. 그들은 강력한 수중 음파 탐지기와 같은 다른 용도를 위해 훨씬 더 큰 내구성과 더 많은 전력을 가질 것입니다.


한국 핵잠수함(SSN)의 잠재적인 국제 파트너


한국은 진정한 토착 프로젝트의 외로운 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경험이 있는 국가와 협력하는 것이 더 빠르고 덜 위험할 것입니다. 호주와 마찬가지로 한국도 기존 핵잠수함을 보유한 해외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그들의 경우 고려해야 할 두 가지 명백한 국가는 미국과 프랑스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자연스러운 파트너는 미국의 강력한 동맹국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미국은 AUKUS까지 핵 추진 기술을 공유하는 것을 주저했습니다. AUKUS를 사용하더라도 적어도 공개적으로는 이 전선에서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습니다.


한국이 미국 원자로를 사용하는 데는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의 원자로는 현재 고농축 우라늄을 사용합니다. 이전은 어떤 조약도 위반하지 않지만 무기급 우라늄을 전달하는 것은 나쁘게 보일 것입니다.


또한 미 해군의 핵잠수함은 한국의 필요와 야망을 넘어설 만큼 매우 크고 비쌉니다.


미국 외에도 한국은 효과적인 국제 조달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일, 영국, 프랑스, 심지어 러시아도 자국산 KSS-III 잠수함에 현대 기술을 제공했습니다.


한국이 KSS-III 급을 KSS-N의 기반으로 사용한다면 프랑스가 더 확실한 주요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의 원자로는 대부분의 민간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저농축 우라늄을 사용합니다. 더 자주 연료를 보급해야 하기 때문에 운영상 이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치적으로는 강점이다.


프랑스는 수십 년 동안 핵잠수함을 건조해 왔으며 유사한 프로젝트로 브라질을 돕고 있습니다. 이 경우 브라질은 원자로를 설계하고 건설하고 있고 프랑스는 잠수함 설계와 통합을 돕고 있다. KSS-N의 경우 프랑스 원자로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의 최신 Suffren급 잠수함은 KSS-III보다 선체 직경이 약간 더 큽니다. 지름은 시스템의 물리적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치수입니다. 그러나 프랑스 원자로가 KSS-III 선체 내부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이전의 Rubis급은 훨씬 더 작아서 핵 추진이 물리적으로 큰 잠수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KSS-III는 비핵잠수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원자로는 슬롯에 들어가 현재 AIP에 사용되는 선체 구획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줄이는 것과 함께 전체 크기를 약간만 늘릴 수 있습니다. 당연히 추진 기계의 정확한 배치와 방음 정도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랑스 원자로가 있는 KSS-III 기반 보트를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또는 한국 원자로를 이용한 프랑스의 지원.


프랑스가 핵잠수함으로 한국을 도울 수 있다는 생각이 양국에서 제기되었습니다. AUKUS와 아시아 해군의 잠수함 함대의 광범위한 발전은 아이디어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뿐입니다.


한국은 선진 잠수함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측면에서 점점 자급자족하고 있습니다. 원자력 잠수함은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


그쪽 전문가들도 다음 핵잠을 가질 나라는 한국으로 보고있고 프랑스랑 협력할 것 같다고 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달빛대디 21-12-16 14:32
   
오우.. 왠지 가슴이 웅장해지는거 같습니다..ㅎ
면도기 21-12-16 14:33
   
아..프랑스는...
     
스핏파이어 21-12-16 15:01
   
사실 프랑스말고 협력할 국가가 없음.
미국 영국은 무기급 고농축만 사용함.
러시아와의 협력은 미국이 동의할리가 없고.
          
멍때린법사 21-12-16 16:03
   
거기에.. 미국이 프랑스의 핵잠기술 지원에대해 딴지 걸었다간..
정말 국제분쟁 수준으로 균열이 날지도.. 그러니 프랑스에서 기술 받기가 훨씬 수월함.
               
면도기 21-12-16 17:49
   
하도 치가 떨려서 이빨 빠진다던데...
협업하실 분들의 명운을 빕니다.
                    
구름위하늘 21-12-17 14:50
   
프랑스와의 협업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내용은 실제보다 과장된 것이 많다고 합니다.

프랑스가 대만에 무기 납품하고, 중공에게는 스펙을 전달하는 등의 양아치 짓을 했다는 이야기 등 도 있지만, 사실 확인이 안되거나 ~카더라에 가까운 소문 수준 입니다.

기본적으로 서양식 계약주의에 따라서 계약에 명시된 것은 주고, 그 외에는 거절하는 합리적인 진행을 했다고 합니다.
구름위하늘 21-12-17 14:56
   
프랑스가 유럽의 중국으로 불릴 정도로 양아치(?) 국가는 맞을 수 있어도,
계약에 따라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서양식 합리주의를 따르고 있습니다.

프랑스  무기 판매에 대한 소문과 사실 확인 내용은 다음 블러그 참고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p47d&logNo=130015157015&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