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12-10 09:54
[잡담] KF21의 기동성
 글쓴이 : 아그립파
조회 : 7,471  


KF-21은 같은 F414-GE-400 엔진을 사용하는 F/A-18E/F보다 작고 가벼우며, 동급 추력의 F-35보다 익면하중이 작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덕분에 추력 대 중량비가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준하는 수준이고, 3중 디지털 FBW, LEX(Leading Edge eXtension), 가변캠버 날개 등이 적용됨에 따라 높은 가속력과 선회능력, 고받음각 기동능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F-35에 적용된 비선형 동적 모델역변환(Nonlinear Dynamic Inversion) 제어기법도 적용될 예정인데, 이는 양산형 항공기로써는 F-35에 이어 두 번째로 적용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조종사의 안전을 위한 자동지형추적(ATF), 자동경로항법(ARN), 자동회복(PARS), 자동지상충돌 회피(AGCAS) 등의 기능이 적용될 예정이다.

이스라엘의 Elbit사가 자동지형추적 및 지상충돌 회피 시스템에 대한 공급 계약을 따냈다. 한화 시스템에 공급될 예정이며 납품 규모는 총 4,300만 달러라고 한다. 

~~~

KF21이 과연 잘 날수는 있을지 걱정하시는 분들도 더러 계신듯 해 퍼왔습니다.

KAI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FA50 제작 경험과 노하우에, 가장 핵심인 엔진 역시 이미 검증받은 F414를 채용했으므로 기본중의 기본인 비행 성능 자체마저 걱정할 필요는 없지 싶네요.

추력대 중량비가 도그파이트에 있어서 세계 최정상급 수준인 '유로파이터에 준한다'는 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진 모르겠지만,
적어도 기동성에 있어선 반푼이 수준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BVR로 싸우는 현대 공중전에서 도그파이트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의문도 드실 수 있는데,

스텔스전투기끼리는 결국 근접전을 통해 서로 열추적미사일로 싸울 수밖에 없다고 하더군요.
서로 레이더에 안잡히니까요;;

KF21역시 최종적으로는 BLOCK3를 통해 스텔스화를 목표로 하는만큼 기동성 역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그립파 21-12-10 09:59
   
세계에서 유이하게 F35와 함께 채용한 NDI기법은 다른분의 글 링크로 대신 소개드립니다.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505233
Republic 21-12-10 11:05
   
발제 내용이 시저스 /스틱 기동에 관한 이야기 같은데
35  특징중에  스텔스  센서류의 압도적 성능 다음으로
인상깊은게  저속에서  조종사 마음대로 기동할 수 있다는 점
지상임무 특화된 전투기라 ..
하여튼
이런 성능을 21도 보여준다면???
4세대 전투기에서 만큼은 짱먹겠죠 (너무 당연한가 )

공중우위 느낌의  21이라
스텔스 형상에 4세대급 엔진에도 불구하고
고속 기동성 부분은 신경쓰고 개발했다고 생각하면
고속 기동성이 형편없게 나오지 않을 수 있겠지만
저속에서도 선회 고받음각 반응성 좋다 ???
뭐 국뽕만세 외쳐야 하나요??
ㅎㅎ

그러나 ...
..
..
몇년안에 이 궁금증이 풀리겠죠 .
     
아그립파 21-12-10 11:20
   
국뽕이라면 국뽕일수도 있는데..

역으로 생각해보자면,
우리가 비행기를 이번에 처음 만드는 것도 아니고 더군다나 가장 핵심부품인 엔진은 이미 수만번은 시험하고 실전 검증된 엔진을 사서 만드는 거라 이게 제대로 날지조차 걱정하는 건 너무 오바라는 생각이에요.
          
Republic 21-12-10 11:25
   
카이나 한국의 항공산업 역량이
생각보다 수준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기때문에
재대로 날지 못할것이다 ?
이런 주장은 패쓰하세여
     
boodong 21-12-11 00:36
   
현재의 전투기 형태의 방식에서 기동성은 전폭 대비 받음각에서 길이에 비례합니다.
이건 불변.
이걸 타개하기 위해서 F-22와 같은 가변 노즐로 커버하기 전에는 바뀌기 힘들죠.
현시창 21-12-10 11:24
   
추력 대 중량이나 익면하중은 그때 그때 조건이 다릅니다.
KF-21의 내부연료량은 1.2만 파운드인데, 슈퍼호넷은 1.44만 파운드, F-35A는 1.85만 파운드입니다. 서로가 몇 천 파운드씩 차이가 나므로, 추력대 중량이나 익면하중이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외부연료탱크를 제티슨 하냐, 마냐, 외부 포드와 외장 미사일의 개수등의 DI값이 차이가 나므로, 이렇다 저렇다 보긴 힘듭니다.

물론 뚱뚱한 수퍼호넷에 비하면 어느 값을 봐도 추력대 중량비나 익면하중 값이 우세하다고 볼 순 있겠으나.
그게 F-35A로도 그런지는 미묘해집니다. 기본적으로 상대는 대추력 엔진에 저속 순간 기동성에서 특출나단 물건이고, 외부항력원도 존재하지 않으니까요. 더구나 도그파이트도 별 의미가 없는게, F-35A는 EO-DAS 전방위 탐색 능력으로 위치에 관계 없이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선회율이 별 의미가 없는 기종입니다...단거리 미사일 기동성에 비해 유인기의 기동성이란 게 별 의기 없을 정도로 낮으니까.
     
아그립파 21-12-10 13:54
   
맞는 말씀입니다.
비행 가능 여부에도 회의적인 분들이 더러 계셔서 카탈로그 제원이나마 긁어온 것입니다.

말씀마따나 추중비는 실제 전투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긴 해도 기본 설계 이념이 이렇다는 정도로 보면 되겠지요.
랍스타 21-12-10 13:05
   
스텔스형상이라 약간의 기동성에 손해도 볼듯
뭐 첫 전투기인데 너무 많이 기대는 안하지만요..
     
아그립파 21-12-10 13:51
   
스텔스형상과 기동성간에는 큰 인과관계가 없습니다.
F22 랩터의 경우, 가장 완벽한 스텔스기임에도 뛰어난 기동성을 가지고 있지요.
럽코리아 21-12-10 14:02
   
기본적인 사상이 스텔스 성능이 최상은 아니지만 기동성을 위한 고려를 많이 했다고 들었습니다.  F-35와 같은 저속 기동성 만큼은 아니겠지만  일반 4세대 기체들보다 훨씬 AOA(Angle Of Attack) 를 목표로 설계했다고 합니다.
zaku 21-12-10 14:24
   
KF21 추중비 = 유럽파이터 수준 이란 소린 자꾸 나오는데

같은 추중비라도 스텔스를 위한 형상설계에서 오는 기동성 저하에 대한 언급은 없는게 이상하네요

꼭 KF21은 유럽파이터와같은 기동성이라고 구라치는 느낌적인 느낌 ㅋ
좋은여행 21-12-10 16:00
   
kf-21이 성공적으로 나오고, 나중에 차후 블록으로 업데이트될 때, 유로젯 엔진 업그레이드 시에 공동 개발에 참여하는 것을 고려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1차 23,500 2차 27,000 파운드 까지 예정은 되었다고 하고,  소재 문제를 이야기 하시는데 물론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있겠지만 우리도 극초음속 비행체 개발하면서 나름 쌓은게 있으니, 우리나라의 능력으로도 충분히 따라갈 수 능력은 되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BAE가 템페스트 영상보면 나오는 것이 열발전 기술인데, 우리 나라도 그 분야에 상당한 수준이거든요, 그리고 어차피 영국애들이 자체 수요만을 위해 개발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결국 어떻게든 수익이든 개발비 조달하려고 터키에 엔진 기술 주려고 기웃거린 거 봐서, 유로젯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할 게 거의 뻔해 보이니 가능성을 점쳐봅니다
손이조 21-12-10 16:57
   
비행기의 조건 : 하늘을 날수있는가 ?
전투기의 조건 : 무기를 장착하고 발사하여 표적을 맞출수있는가 ?
     
boodong 21-12-11 00:40
   
제일 중요한게 생존성이 높은가?
입니다.
뽐뿌맨 21-12-11 11:02
   
하면서 점점 업그레이드되었으나  기본 사업 시작이 F-16의 대체기였으니 이해할만 하죠.
현재로서는 F-16의  전술적 대체가 힘들 것 같기도 하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다음 버젼은 스텔스 포기하고  이것보다 저렴한 버젼이 나왔으면 합니다.

우리는 모든 면이 전투지역이라 긴급대응가능한 낮은 유지비의 수준급 전투기가 많이 필요하죠.
     
커서 21-12-13 15:32
   
기본사업시작이 f16대체였나요??  저는 f4급으로 알고있는데.....제가 잘못알고있는건지...
커서 21-12-17 10:42
   
기본사업시작이 f16대체였나요??  저는 f4급으로 알고있는데.....제가 잘못알고있는건지...
     
아그립파 21-12-17 13:30
   
맞게 알고 계십니다.
119기 정도 남아있는 F4,5의 전량 퇴역 및 교체를 목표로 기안된 사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