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7-19 13:19
[뉴스] KAIST, 인간형 파일럿 로봇 개발···자동차, 장갑차도 조작 가능
 글쓴이 : 노닉
조회 : 1,889  


"세계 최초로 개발"…

"세계 최초로 개발"…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파일럿 '파이봇' 개발
비상 시 인간 조종사보다 훨씬 더 빠른 대응​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자연어로 기술된 매뉴얼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행기를 직접 조종이 가능한 인간형 로봇을 개발, 이를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심현철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와 주재걸·윤국진·김민준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일반적인 언어로 작성된 조종 매뉴얼을 읽고 이해하는 ‘자연어 처리기반 인간형 조종사 로봇 개발’ 미래도전과제의 지원을 기반​으로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기술을 적용해 인간형 로봇이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 착석해서 기존 항공기를 전혀 개조하지 않고 착석한 다음, 조종석의 다양한 장치들을 직접 조작해 비행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기존 항공기의 자동비행장치(오토파일럿)이나 무인 비행만 가능한 무인항공기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연구진이 개발 중인 조종사 로봇은 ​인간 조종사에게는 불가능한 전 세계 항공차트(Jeppson Chart)를 전부 기억해 실수 없는 조종이 가능​하며, 특히 ​최근 큰 이슈가 된 챗GPT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 조작 매뉴얼 및 비상 대처절차를 담은 자료(QRH)를 기억,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안전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어 인간 조종사보다 훨씬 빠르게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 로봇이 고정된 위치에서 반복적인 작업만 가능한 것에 비해 ​조종사 로봇은 장착된 카메라로 조종석 내부 및 항공기 외부 상황을 파악하고 조종간의 각종 스위치들을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밀 강인 제어 기술을 적용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 정확한 로봇 팔 및 손 제어가 가능​하다.

​조종사 로봇은 현재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에서 항공기의 시동부터 택싱, 이착륙, 순항, 주기 등 모든 조작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조종사 로봇을 ​실제 경비행기에 적용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하여 검증할 계획​이다. 본 과제의 책임자인 심현철 교수는 "​인간형 조종사 로봇은 기존의 항공기들을 전혀 개조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자동 비행이 가능해 실용성 및 활용성이 매우 높으며, 항공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장갑차 등 다양한 장치의 조작도 가능해 병력자원 고갈이 심각한 현 상황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과제는 국방과학연구소​의 미래도전과제(총 57억원)를 지원받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심현철 교수(연구책임자), 주재걸 김재철 AI대학원 교수, 윤국진 기계공학부 교수, 김민준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의 협업으로 지난해부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개발 완성 시점은 2026년이며 민간 및 군용 활용을 목적으로 사업화 방안도 모색중​이다.



세계 항공 지도 모두 숙지···탑건 로봇 나왔다
KAIST, 인간형 파일럿 로봇 개발···"자동차, 장갑차도 조작 가능"

KAIST(총장 이광형)는 비행 매뉴얼을 이해하고, 비행기를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인간형 파일럿 로봇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세계 항공 지도와 매뉴얼 등을 모두 숙지해 정확한 비행과 빠른 상황 대처가 가능하다.
KAIST 심현철 교수와 주재걸, 윤국진, 김민준 교수 공동연구팀은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을 적용,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 착석해 조종석의 다양한 장치들을 직접 조작해 비행하는 인강형 로봇 '파이봇'을 선보였다. 기존 항공기 자동비행장치(오토파일럿)나 무인 비행만 가능한 무인항공기와는 다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동키11111 23-07-19 14:06
   
C3PO의 몸에 R2D2의 두뇌가 탑재된건가?
아예 R2D2처럼 연동형 로봇으로 하면 안되나?
     
archwave 23-07-19 16:18
   
연동형으로 하려면 기존 전투기의 임무/비행 제어 컴퓨터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도 바꿔야 하거든요,
이에 대해선 바로 아래 제 댓글 참고.
게임체인저 23-07-19 15:31
   
굳이 휴머노이드 로봇이 직접 조종할필요가?? 그냥 내장 AI프로그램으로 처리하면될것을 오히려 비효율적이고 반응속도도 느리고한 물리적개체로서의 로봇이 왜필요할까요?
     
archwave 23-07-19 16:17
   
내장 AI 프로그램으로 하려면 일이 많습니다. 전투기의 경우를 예로 들죠.

내장 AI 프로그램을 전투기의 임무/비행 제어 컴퓨터에 넣으려면 우선 컴퓨터부터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이게 되려면 기존 컴퓨터의 소스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고 그 소스에 AI 프로그램을 결합해서 컴파일하고 디버깅하고 시험하고.. 이거 그냥 새 전투기 만드는거나 다를바 없을 정도의 일거리죠.

내장 AI 프로그램 적용도 감안했을 정도로 신형 전투기가 아닌 이상, 못 한다고 보는 편이 좋음.
     
archwave 23-07-19 16:49
   
처음부터 무인기로 설계되지 않은 이상, 전투기들은 인간이 견딜 수 있는 가속도까지만 견디게 기골들이 만들어지고, 엔진 추력 조절이나 조종면 가동도 그 정도의 시간당 변화량만 견딜 수 있게 만듭니다.

즉 기존 전투기들은 AI 프로그램으로 직접 엑튜에이터를 조작하든, 로봇 팔을 통해 조작하든 반응속도나 그런 것에서 차이날 것이 없다는 얘기이고, 로봇 팔로 조작해도 풀 스피드로 조작하면 기체가 버티질 못 할겁니다.
황제폐화 23-07-19 15:48
   
내장 ai프로그램으로 쓴다면 각 운송수단에 맞게 프로그램을 짜야하고 기존 인간이 쓰던 기계도 다시 제작해야 합니다.
저런식으로 인간형 로봇을 만든다면 인간이 쓰던 운송수단을 그대로 쓸 수 있고 각 기계에 맞게 셋팅하게도 쉽겠죠.
특히 인간이 움직이기 전에 테스트 파일럿으로 안전하게 신규기체를 사용홰 볼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군사용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로봇으로 교체되어 전세계적인 변화가 일어나겠죠.
마치 군사용으로 개발된 인터넷이 전세계에 쓰이고 있는 지금처럼
게임체인저 23-07-19 16:08
   
하지만 저는 예를들어 책상에 앉아 키보드를 누르는 인간모양 로봇을 만들어 타자치게하는 로봇을 굳이 사람보다 빠르다는 이유로 만든다는게 이해가안감요.  물론 말씀하신대로 인간대용 테스트용도로는 쓸모가 있겠네요. 그조차도 그리 뛰어나다면 테스트가 아니라 그냥 유인기에 그자리에 로봇넣은 걸로 무인기처럼 쓰는게 낫다는건데 사실 너무 비효율적으로 보입니다. 스스로자세제어도 하고 터치스크린인식도 해야하고 상황변화에 대처하는게 외장형하드에 AI심어 센서나 정보 싱크해서 인풋아웃풋 모두 자동화 한거보다 효율적일순 없어보여서요. 오히려 인간보다도 조그마한 오차나 상황 변화에도 적용못할거 같고. 잔고장도 겁나많이 날거고, 저게 가능하려면 거의 인간과 유사한 자세제어및정밀한 관절동작 민감한 센서, 자동화된 오차인식교정 등이 가능한 완전형인간대체로봇수준이 아니라면....Raw데이타를 인식해서 바로 대응처리하는게 정확하고 빠르지안겠나싶은데요. Raw데이타가 생성한 디스플레이 아웃풋을 다시 인간형로봇카메라로 관찰해서 다시 관절팔손가락을 이용해서 터치스크린이나 조종간 조정하는 인풋이 아무래도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CCTV가 찍은 장면을 출력하는 모니터영상을 핸드폰카메라로 찍어가며 인식해서 상황판단하고 다시 핸드폰카메라로 찍은  CCTV모니터찍은 영상을 토대로 지시봉으로 키보드 두드려서 명령 입력하는 것 갇다는 생각만 듭니다. ㅋㅋ
     
archwave 23-07-19 16:26
   
어렵게 생각하실거 없습니다.

R2D2+C3PO 생각하시면 되죠.

키보드 두르리는 로봇은 없을겁니다. 뭐 키보드의 내구성 테스트가 아닌 이상..
키보드 대신 로봇이 USB 케이블 끼우겠죠. R2D2 가 하듯이요.
USB 포트가 없고 제어할 소프트웨어가 없는 구형(?) 기계는 그냥 C3PO 가 물리적으로 조작할테고요.

현장에는 R2D2 와 연결될 수 있는 기계보다 C3PO 가 와서 다뤄줘야 할 기계들이 훨씬 많습니다.
외계인7 23-07-19 16:46
   
현재로써는 가성비가 꽝이긴 하지만.. 먼 미래를 본다면 차근 차근 가는거죠.
     
archwave 23-07-19 16:54
   
가성비가 꽝일리 없습니다.

유인기 조종사들의 경우 연간 200 시간 정도는 훈련해야 기량을 유지한다는 말이 있는데요.
F-16 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연간 200 시간 날라다니는데 드는 비용이 연간 30 억원입니다.

F-16 을 저 보롯이 타서 무인기처럼 활용한다면, 설령 로봇 가격이 30 억원이라 해도 1 년이면 비용 다 뽑습니다. ( 로봇은 인간과 달리 훈련 안 해도 기량이 유지되니까요 )

기존 유인기에 AI 프로그램을 이식하는데 드는 비용이 로봇 가격보다 쌀리도 없고요.
특히 소스 없는 유인기라면 애초에 안 되는 얘기.
ravana 23-07-19 20:06
   
이건 대체.. 뭔지를 모르겠다
유인전투기 조종 자체가 이미 플라이 바이 와이어 방식인데..
조종사를 안 태우는 미래 전투기에 중요한 건 통신이지
그냥 전자적 신호로 뭐든 실행시킬 수 있는데.. 뭔 인간형 조종사가 필요하냐
저거 탑재 할 자리에 연료나 더 채우는 게 낫지
탱크나 장갑차나 그런 거 모는 로봇이라면 차량 밖에서 군인을 도울 수도 있으니 존재가치가 있겠지만..
날아다니는 비행기에 로봇조종사를 왜 태워
전기차에 시동버튼 달아놓는 것과 흡사한 구시대적 개념
나그네x 23-07-19 21:36
   
개인적으로는 저런형태의 무인화도 생각해 볼만하다고 봄.
지금의 무인기 즉 ai기체로 제작할려면 처음 기초설계나 어마무시한 프로그래밍 또 거기에대한 후속지원등등. 솔직히 현재의 ai무인기 계념은 개발난이도 또는 전용기체 운영유지비용 호환성등등 상당할것같은데 저런식으로 인간비슷한 형태의 하나의 기본포멧으로 개발하면 전투보병은 지금 현세기로는 힘들것이고 저런식의 콘트롤용 머신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생각해볼만하다고 생각함. 물론 기존처럼 완전 무인기개발도 필요하겠지.. 문제는 역시 저런 기초적인 안드로이드가 가성비의 실용적인 물건으로 나오느냐가 문제.
무활 23-07-19 21:41
   
민항기용 기술로 가능성이 있으나  전투기용으로는 글쎄요
기술로 가능한 수준이 된다한들 수백명의 목숨이 걸린일인데
여론이 받아 들일까요?
사람들이 믿고 탑승하려 할까요?
비행체 자체의 결함 확률에 복잡한 3차원 동작을 실행할 수많은 모터들과 전자 장비들의 결함 확률까지 더해지는데
파일럿 2명으로 수십년 검증된 안전한 운항 통계를 두고  기술적으론 물론이고 정서적으로도 거부감 있는 비행을
사람들이 원할까요?
     
무활 23-07-19 21:43
   
저는 오히려 비행체 보다는 전차용으로 아주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피폭 공포가 없는 전차 조종 로봇이라면 이것보다 좋은건 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