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9-02 21:38
[뉴스] 이집트 ka-1 제작
 글쓴이 : 이야이야호
조회 : 7,005  

국내 언론사보다  역시  바로바로 질러버리는 현지 언론이
더빠르군요.

폴란드때에도 폴란드 현지 발표이후 그렇게나 늦게 발표하더만 

https://www.youtube.com/watch?v=CBIloFwjrAk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야이야호 22-09-02 21:38
   
김잘생 22-09-03 00:12
   
김잘생 22-09-03 00:18
   
댓글 번역기 돌려보니 재밌네요. 밀빠들 노는게 다 똑같아
==================
아메드 나자르
한-이집트 제조업 협력의 시작 한국 전투기와 협력이 마무리되기를 바랍니다 한국으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MILITARY SQUARES
당신이 옳다

아메드 나자르
 @MILITARY SQUARES 한국에는 3개의 구별되는 비행기가 있습니다. 그 중 첫 번째는 카이(Kai)로 훈련 및 지원으로 간주되며 두 번째 브라질 투카노(Tucano), 지원 훈련 T-50보다 우수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지난 기동 또는 공중에서 본 것입니다. 쇼, 그리고 이것은 반 스텔스 전투기입니다. 이것은 여전히 ​​완전히 충성스러운 프로젝트입니다. 그리고 확실히 한국의 어떤 무기라도 인도, 중국 또는 브라질의 어떤 필요보다 단계적으로 더 나을 것입니다. 이집트에서 그들을 다루는 것이 훨씬 쉬울 것입니다.

MILITARY SQUARES
그리고 KF-21 프로젝트에서

FD DVD
@MILITARY SQUARES 한국산 살거면 왜 이탈리아산 사냐

=========================================
Egy
신의 말에 나는 우리 공군이 자립을 위한 가장 빠른 길을 열어줄 비행기를 선택하고 우리의 첫 번째 적이 시간이 되었기 때문에 순수한 이집트 훈련 비행기를 제조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본다.
비행기에서 왔지만 하나님의 뜻과 뜻에 대한 우리의 믿음은 크며, 우리 자녀들이 이 도전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우리의 믿음도 큽니다.

MILITARY SQUARES
한국과 독일은 모두 자신들의 이익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워싱턴의 가장 반항적인 동맹국입니다.

Egy
 @MILITARY SQUARES 당신의 말이 사실일 수도 있지만 Rajeh, 솔직히 말해서 우리 주제에서는 반대입니다.
우리는 구체적으로. 한국-이스라엘과 독일-이스라엘 이해관계의 규모는 우리가 가진 이해관계의 규모보다 훨씬 큽니다.
불행히도 이집트는 매우 어려운 방정식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그것은 세계에 팔린 무기와 이집트에 팔린 무기는 다른 한편으로, 이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우리가 정말로 완전한 자립으로 시작하지 않는 한 이것은 시간이 결코 우리 편이 아니라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MILITARY SQUARES
이해하는 세계의 모든 국가는 모두의 이익을 위해 매우 유연한 이데올로기를 채택합니다. 그래야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독일은 2013년부터 우리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2017년에 들어갔습니다.

nour shawky
 @Egy Egy 꿈과 신화에서 벗어난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이야기
이름없는자 22-09-03 01:47
   
이집트는 현재 군부독재 중이고 이집트 경제의 30-40%를 군부나 군부실세들이 쥐고 있어서 잘만 한다면  강력한 군사대국이나 아프리카 의 유수 방위산업국가가 될 수도 있음.  문제는 워낙 군부 부패나 무능이 심해서 경제가 엉망이고 식량 자급 도 안되어서 군사대국 보다 먼저 식량자급과 경제개발이 먼저 선행해야함. 선군정치 하는 북한 사정이나 비슷한 경우.

이집트는 우선 식량문제 해결부터 해야하는데 이게 어려움. 주식인 밀의 절반을 해외에서 수입해서 국민들에게 매우 싸게 공급 중인데 복지로는 좋지만 이를 위해 석유수출로 어렵게 얻은 외화를 대량소비하고 정부 재정적자를 크게 늘이고 있음. 무바라크 군부정권이 이걸 줄이겠다고 빵값을 인상했다가 폭동이나서 (아랍의 봄) 정권이 무르시 정권으로 바뀐 적이 있음.
     
ㅣㅏㅏ 22-09-03 09:43
   
독재국가나 공산국가는 발전할 수 없음. 거기에 이슬람 원리주의면 더더욱. 왜냐면 태생적으로 경제능력이 없기 때문임. 부패든, 무능이든, 정경유착이든, 경쟁력 자체가 소멸되게 됨. 돈이 없으면 군사대국이 될 수 없는건 당연함. 도시국가 수준이면 모를까 불가능. 그래서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 나빠질 수 밖에 없음.
커피나땅콩 22-09-03 05:52
   
얘들은 뭐해도 하나님의 뜻과 뜻대로 라네..  산업은 하나님의 뜻하고 상관 없는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