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6-23 19:42
[공군] 공대공 미사일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3,915  

능동레이더 유도 미사일. ARH.active radar homing은 미사일 자체에 내장된 레이더가 스스로 표적을 찾아 유도하는 미사일이다.
 
이. 미사일은 사정거리가 짧은 적외선 미사일이나. 연속파를 계속 조사해주어야하는 반 능동레이도 미사일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수 있기 때문에 최신 전투기의 주력 무장ㅇ로 사용되고 있다.
 
능동 레이더 미사일과 같이 미사일이 외부 지원없이 스스로 표적으로 유도되는 방식을 파이어 앤 포켓
 
방식이라 한다. 이 방식은 미사일 발사 후 전투기가 전장을 이탈할수 있기 때문에. 전투기 생존성을 크게 향상시켜주는 유도 방식이라고 할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능동레이더는 완전한 능동방식이 아니다.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레이더 안테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공대공 미사일에 내장된 레이던ㄴ 미사일 지름의 제약으로 인해 안테나 크기에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능동레이더 미사일의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표적을 미사일이 스스로 포착할수 있을때 까지는 다른 수단을 이용해 미사일을 유도하는것이 일반적이다.
 
능동 미사일의 유도는 3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1단계는 미사일 발사 전에 전투기이 레이더로부터. 표적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관성항법장치 로 유도되는 단계이다.
 
1단계에서 미사일은 표적의 미래 위치를 향해 비행하게 된다.
 
표적은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여 진로를 변경하거나. 회피기동을 실시할수도 있다.
표적의 위치정보 변경에 따라 미사일도 중간경로를 수정해야하는데. 이 경로 수정단계를 2단계라 한다.
 
2단계에서 미사일은 미사일 발사 전투기의 레이더로부터 데이터 링크를 통해 경로를 갱신한다.
 
3단계는 최종유도 단계로. 미사일의 레이더 탐색기가. 스스로 작동하여 표적을 추적 격추하는 단계이다.
 
능동레이도 미사일이 반드시. 이 3단계의 과정을 거쳐 발사되는것은 아니며. 전투기에 근접한 표적에
 
대해서는 발사 전 조준 LOBL-Lock on before launch 모드로 발사하여 관성항법윧. 데이터 갱신을 생략할수 있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더비derby와 같은 중거리 미사일은 중간 경로수정단계없이 관성항법과 능동레이더 유도만으로 운용되기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능동레이더 유도 미사일은 관성항법과 데이터 링크에 의한 중간 경로 갱신등
 
여러 유도방식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대문에. 복합능동레이더 미사일이라고도 불리운다.
 
능동레이도 미사일의 단점은.
 
미.사.일. 자체. 레.이.더를 사용하여 적기를 탐색하기 때문에. 적이. 레이더 경보수신기 RWR를 통해.
 
미사일 접근을 알고 대항책을 강구 할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다른 공대공 미사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인것도 단점에 해당된다.
 
하지만. 원거리에서 복수 표적에 대한. 동시 공격과 파이어 앤 포켓이 가능하기 대문에.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대표적인 유도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세계적인 능동레이도 미사일로는
 
AIM-54
AIM-120
R-77
MICA
R-다터
AAM-4
( 아직 등장 예정 미티어)
이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종훈이당 13-06-23 20:16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죄송한데 등장 예정 미티어는 뭔가요?  혹시 자료가 옛날꺼 아니신지..
스마트MS 13-06-23 20:25
   
미티어 미사일은 아직 실전배치 단계가 아닌지라. 제외시켰읍니다.

김종대 저. 유로파이터. 타이푼의 내용중엔. MBDA사의 미티어 미사일은 타이푼 컨소시엄에 참여한 4개국과
유파 운용국가 모두에서 '운용할 예정' 이라 저술되어있으며.

최종시험 2008년 완료이후. 유파에 실제장착 발사시험은. 2013년 1월4일 영국 서 웨일즈에서 시험장에서. 실시하였다고 한답니다.

그러니. 아직 현역 실전배치는 아닌 단계로 보고 있었습니다.
     
종훈이당 13-06-23 20:29
   
아 이해 했습니다. 실전 배치 기준으로 하셨군요...
앙리스타 13-06-23 21:55
   
갑자기 스텔스 대 미사일로 화제가 됐는데 그렇게 미티어가 중요하면 우리나라도 미티어 사서 다른 전투기에 달면 해결되는 문제죠. 이미 영국, 이탈리아는 자국의 F-35에 장착하려고 하고 라팔도 장착하려고 하는데 미티어가 왜 유로파이터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는지 모르겠네요. ㅎㅎ;
     
종훈이당 13-06-23 21:57
   
네 맞습니다. 사서 장착하면 되죠 인티 비용주면되고.. 그런데 우리가 원하는건 저 기술이지.. 미티어 사오는걸 바라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사통팔달 13-06-24 11:33
   
미티어 미사일 기술배워서 만든다보기보다 그기술로 초음속 대함미사일 같은거 만들가능성이 있죠,램제트기술이면 대함미사일 속도는 엄청빨라지죠,크기가커서 작은 대공미사일 만들기는 무리라도 가능성이 더많겠죠.러시아가 램제트로 대함미사일은 만들어도 공대공미사일은 아직 못만든거보니 어려움이 있어보이네요.
     
스마트MS 13-06-24 12:25
   
물론. 덕티드 로켓을 응용한 다른 파생형 유도병기의 등장도 예상해 볼수있을듯 하네요
향후 근미래의 공중전에 활약할. 공공 미사일의 실용성엔. 미티어와 같은 사정거리와 마하4급의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운동성이 필수적일지도 모르겟네요

게다가. 이미 오래전 부터. 초음속 미사일을 운용해온 러시아가. R-77T-PD 를 능가하는 R-77M-PD의 개발진행중인 결과물과 어떻게 등장할지도. 기대되는군요

Ks-172 이라는 조기경보기&공중 급유기용 초장거리 미사일은. 실전배치되엇는지는모르겟네요
사정거리. 400km라고. 03년. 두바이 에어쇼에 공개되긴 하엿다곤 하는데 말이죠 ㅎㅎ
철매 를. 고고도에서. 발사한다면. 재미잇을듯 보이기도 한달까야 ㅎㅎㅎㅎ
공대공 공대지 공대함등. 유도병기분야의 강자 미국의 JDRADM이나
중국의 병맛스럽긴 하지만. PL-13등.  덕티드 로켓이 적용되는 미사일을 개발중이라 하니
사통팔달 13-06-24 13:46
   
암람스키 램젯버전은 아직 나오진않았고요 암람스키 자체는 암람보다 성능이 좋죠,일단 미사일 자체가 더크고 로켓힘이 더쎄죠,사거리도 더길고요.일본도 aam-4 덕트달린거로 사거리 증가 aam-6만들려고하는중이죠.고체연료로켓 미사일은 6-10초안에 분사후 관성에 의해 날아가는데 요사이는 종말유도시에 한번더 로켓점화 되는 미사일도 종종있죠.ks-172(k-100)은 운용돼고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