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4-07 12:15
[전략] 사우디아라비아 관련
 글쓴이 : 면도기
조회 : 1,907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가 서먹해진 이유

시사인 2016.02.19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390


사우디, 미국과 멀어지고 중국과 ‘밀월관계’ 가나

한겨레 2022-03-15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034879.html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밀월관계

뉴스m 2017.06.26 http://www.newsm.com/news/articleView.html?idxno=7445


CNN "사우디, 中서 핵심기술 받아 탄도미사일 자체 제작 중"


서방의 러 고립작전, 중동·아시아 곳곳에 구멍

한국일보 2022.04.06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40614590005770

‘정상국가’ 원하는 이란과 美 의존 줄이려는 사우디의 협력

동아일보 2021-11-11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11110/110185626/1

-------------------------------------------------------------------------------------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320174200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다잇글힘 22-04-07 13:10
   
전세계 어느나라나 미국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울수는 없지만 우호적인 국가내에서도 그 영향력의 수준이나 의존도에서 또 차이가 나죠. 아시다시피.

이중 한국이라는 나라는 미국 의존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걸 인지하고 그 수준을 낮추려고 하는 노력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그걸 극복하는것이 쉽지 않죠. 지정학적인 위치가 강대국들끼리 부딪치는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고 식량,에너지,원자재 모두에서 외부의존성이 크고 그렇다고 산업적인 측면에서 국제적인 밸류체인에서 독립성이 강한 구조를 가진것도 아니라서 외부상황에 대한 안보대응능력이 취약합니다. 무엇보다도 북한이라는 존재가 미국과 적대적인 관계기 때문에... 그래서 미국이 북한을 겉과 달리 속으로는 정상적인 국가로 만들지 않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한국을 자국에 이익에 맞게 움직이도록 하는데 북한만한 위협과 불확실성이 없으니까요. 미국관점에서는 한국의 안보상황은 계속해서 불안해야 합니다. 그래야 계속 의존할테니까요.

중동은 우리와 다른 결정적인 부분이 규모면에서 중국이나 일본같은 심지어 미국을 제외한 서구권을 능가하는 강대국이 없다는 것입니다. 지정학적으로 지역전체에서 가지는 압도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한 나라도 없는지라  나라만 나뉘어져 있다뿐이지 중국이나 일본의 전국시대의 상황과 비슷합니다. 적대적인 수준이더라도 우리와 북한수준이라기 보다는 우리와 일본수준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외교방향의 변화가 큰 편입니다. 소위 말하는 '동맹의 역전'과 같은 상황이 중단기적으로는 수시로 발생할 수 있죠. 그렇다고 미국과의 관게에서 완전히 극에서 극을 오가는 경우는 정권이 불안해서 혁명같이 정부가 전복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많지 않고 주로 무게중심추의 이동수준에서 비교적 자주 일어나죠.  그중에서도 확실하게 자신만의 무기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 예를들어 터키나 이란, 사우디, 이집트같은 나라들. 이집트는 요즘은 석유같은 확실한 카드가 없고 취약한 산업구조 때문에 서구권에 좀 호구가 좀 잡힌듯한 느낌이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