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5-08 20:18
[잡담] 근데 러시아 전투기 Su-75 체크메이트 생산되기는 할까요?
 글쓴이 : MK통신소
조회 : 3,897  






팍파랑 크기 비교하면 비슷하네요

저정도 크기의 전투기가 저가형이라니...흐음

FK21하고 경쟁 될거 같았던 전투기 인데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신형 전차나 장갑차 각종 무기들이 생산공장도 없는거 보고

과연 저게 생산될지..의심스럽네요 

물론 돈은 UAE에서 내고 있다고는 하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점퍼 22-05-08 20:40
   
날아다니는 모형은 제작 가능할 것 같지만, 주장한 성능을 모두 구현하려면 그 비용을 감당할 수 없을 것 같네요.
특히 전자 관련 민감부품은 수입품이 대부분인 상황에... 이 시국에 소련에 부품을 팔나라가 있을까요?
     
user386 22-05-08 21:31
   
그렇죠... 반도체 없이 저런 첨단제품은 제작될 수 없는데... 러시아가 가장 약한부분이 반도체등
전자공업... 게다가 군수계통의 부품은 러시아 수출제재에 묶여있어서 전후라도 다른 군수산업도 생산이
쉽지 않을겁니다. 물론 러시아의 우호적인 나라등에 의해 우회 부품공급은 받겠지만...
면도기 22-05-08 20:41
   
러 공군에서 쓸 기체도 아니였고 UAE가 주도로 한 거 같은데 UAE가 손뗄듯...
     
도나201 22-05-09 00:35
   
uae 가 돈덴것은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항공산업에 손을 댈려고 하는 모양새였습니다.
사실 그렇게 까지 기술이전해주겠다라는 국가는 러시아밖에 없어서.

인공위성등... 대부분을 한국에 의존하던  항공산업육성에 적극적이던 .. uae로서는 러시아의 기술이전에 모든 자금을 투입했지만,
결론적으로 말해서 손을 뎃을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차선책으로 한국의 kai를 방문하고 kf21에 대한 진행상황을 다시 체크하고 갔습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4세대 이상의 전투기를 원하고 있는데 .
2 엔진은 사실 고려 사항이 아닌 상황에서 .
uae가 원하는 전투기를 원했습니다.

항속거리가 긴 투발수단을 가장 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미국이 판매를 안하니,
kai 의 kf21 밖에 선택지 가 없는 상황이죠.

라팔 구매했지만 생각보다 후속지원이 상당히 까다로워서..
uae 는 프랑스하고 손을 뗀지 오래고 .

그것뿐만 아니라 전차도 르끌레르를 첨 도입한 국가로서 ..
그다지 좋은 평가를 듣지 못한 것 같습니다.
다만 이에 대한 기술파악에 상당한 도움을 준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합니다.

프랑스하고 연결고리 였죠 . 

현재로서는 uae 가 가장 원하는 것은 탄약 및 기타 지원에 대한 자체생산을 가장 원하고 있습니다.
항공 전투기 보다는 후속지원에 관련한 자체 운영능력을 보유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이부분에서는 kai의 입장과는 정반대라서 .

특히 공대공 및 공대지 미사일에 대한 생산능력을 기술이전을 원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부분은 상당한 설전이 나올듯이 보여집니다만, ...
현재로서는  자체 장공지 와  단거리 공대공능력을 보유하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여집니다.

kf21 자체 플랫폼이 있기전까지는 개발완료가 쉽지 않아서  이러한 부분에 시간관련해서는
uae가 상당히 급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엔진에 관련해서는 uae로서는 상당한 입맛을 다시는 상황이기에 .

kf21 수출형에서 .. 엔진이 미국제 엔진일지.. 영국엔진일지... 궁금해집니다.
현재로서는  e 200 이  kf21 uae 수출형으로 갈 가능성이 약간은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이러한 돈벌이를 놓칠리 없고 .
fw .. 로서  kf21 엔진공급에... 300대 이상의 수요가 창출된다고 봤을때.
사활을 걸만큼의 영업활동을 해야 하는 입장이기도 해서...

아주 골치 아플겁니다.

최종조립 및 기타 내부터빈로터 국내생산이 되어서 .. fw 에서도 ...
쉽지 않은 결정이 될듯.

가득이나, fa18g 의 fw f414 ee 형이  미해군에서 나가리 되는 상황이기에 ....
이를 빌미로 ... 신형엔진의 개발을 은근슬쩍 끼워줄 가능성이 높기도 합니다.

기존 엔진을 현재 팔아먹을때가 없어서...  새로운 엔진을 장착하면서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중인 미국으로서는 현존하는 엔진중 가장 안정성이 확인된  fw 의 ... f414  e400k  엔진은  좀더 변혁의 시기를 갖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fw 에서는 현재 f414 ee 버전을 생각보다 많이 밀고 있습니다.
은근히 새로운 엔진을 장착해서 미해군의 납품가를 줄일려고 하고 있는데.
아마 이과정에서  kf21 엔진이.... 많은 부분이..... 이엔진을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밀덕달봉 22-05-09 02:32
   
uae가 원하는건 f-35입니다.
애초 이란의 핵심목표를 타격하기 위해서 도입하려는걸 미국의회가 노하니 차선책으로 체크메이트로 간겁니다.
스텔스기로 은밀히 이란의 핵심인사나 핵심시설을 타격할 수 잇는 수단을 갖고 싶어하는건 사우디와 uae 공통의 목표이고 수십년째 이런 수단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사우디는 중국쪽이랑 결국 조인해서 탄도탄쪽으로 UAE는 스텔스기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UAE 입장에서 원하는건 하나입니다.
이란의 방공망을 무력화 시키고, 지들이 원하는 이란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있냐.
KF-21를 보러 온건 그걸 물어보러 온 겁니다.
실제로 21의 성능이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이란의 방공망을 무력화 시킬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타격할수 있나.
북한과 이란의 방공망이나 탄도탄등 비슷한점이 많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어떻게 이용하고 어떤 성능을 가진 장비들을 집어넣어 사용하는지 보러 왓고, 여기서 본인들의 국가에도 적용할 수 있다면 살수 있단 입장이죠.
이름없는자 22-05-08 21:06
   
기술이나 생산 문제보다 고객을 확보하는데 쉽지않을 듯. Mig-21 이나 Mig-29 등을 샀던 구소련 영향권이나 인도 중동국 아프리카 남미 등이 주된 고객일 텐데... 러시아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중국의 영향력이 커져 팔기가 여의치 않음.  앞으로 항공 무기시장에서 러시아의 위상은 점차 축소될 것
무한의불타 22-05-08 21:32
   
불가능 하죠~
체크메이트의 물주가 UAE 인데 미국의 압력으로 비용 지급이 불가능 하죠.
벌레 22-05-08 21:46
   
MiG-35가 안팔리는 것처럼 이 기체도 나뒹굴 예정입니다
현재 99프로 확률로 나가리됐어요
기가듀스 22-05-08 22:02
   
TFX가 될지도....?
     
도나201 22-05-09 00:36
   
불가능합니다.

현재  러시아도 절대로 터키에게 엔진기술이전을 주지 않을 겁니다.
껏해야  미그 29  엔진을 기술이전해주겟다고 하지만,
그건  일부분이고 우리처럼 일부생산공장만 넘겨주는 상황일겁니다.

터키도.... 미친놈들이지....  엔진 완성형을 누가 다 기술이전해주고  판매권까지 주는 것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미친놈들입니다.
태지2 22-05-09 00:09
   
무엇보다 돈이 없어서 못 만들 것 같네요.
이번 전쟁으로 물주가 나타날 가능성도 없어진 것 같고....
커브마스터 22-05-09 00:26
   
부품 수급부터 나가리 될거같은데요... 탱크 만들 부품도 수입못해서 난린데.
도나201 22-05-09 00:42
   
체크메이트 의 가장 부품수급에 어려운 것은 콕피트 디스플레이분야입니다.
미션컴퓨터부터 시작해서 .
사실상 현대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기체인데.
그러한 부품수급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

이미 중국에서 상당부분을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었지만,
그것도 일부분이고,

다만 항공기에 들어가는 반도체 및 비메모리분야 최고성능이 아닌  관련 설계능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하는게 아니라서...  이분야에 있어서는 많이 상반된 견해를 갖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관련 분야에서 .... 부품관련해서는 바로 가장 큰게 ... 현대화작업에 필요한 부품이 절대적으로 러시아에서 생산하기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라는 견해가 심합니다.

기본 미션컴퓨터라던가 .. 자체생산은 가능하지만,
실제적인  관련 현대화 관련 부품에서는  절대적으로 부품수급이 불가능하다라는 것이죠.

아주 골때린 상황에 도래하게된 러시아의 탈출구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중국에서는 이를 빌미로 지네 반도체를 비싸게 팔계획에 있다고 하니,

사실상 제작불가능한 부분이 많다고 보여집니다.
     
밀덕달봉 22-05-09 02:35
   
엔진부터 조종장치까지 못만듭니다.
당장 ram 삼성에서 안파니 전차부터 전투기 수송기까지 공장이 다 멈췃다는데.
엔진도 이젠 대부분 전자장비가 컨트롤하기 때문에 반도체 수급이 안되면 못만듭니다.
예전처럼 진공관 넣어서 대량으로 찍어내던 시절로 돌아가지 않는 이상 못만듭니다.
그렇게 되면 레이다도 30분이상 켜놓으면 열때문에 녹기 시작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