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12-22 08:43
[기타] KF-21 기본형조차 함재기로 충분한 성능(이미지 수정)
 글쓴이 : archwave
조회 : 4,804  


예전엔 계산해볼 생각을 안 했었는데, 아래 올라온 글 덕에 계산해봤습니다.

결론은 놀랍게도 KF-21 기본형조차 함재기로 쓰기에 충분한 날개 면적을 갖고 있었네요.

라팔을 두고 처음부터 함재기로도 쓸 것을 상정해서 만들었다 하죠.
그런데 KF-21 조차 그렇게 말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일반적인 스펙에 나오는 익면하중 (기체중량/날개면적) 은 무장을 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 합니다.

함재기로 쓸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륙 순간 즉 무장 다 단 최대 이륙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해봤습니다.
( 최대 익면하중 = 최대 이륙 중량 / 날개 면적. --- 작을수록 함재기로 쓰기 적합. )

물론 동체 자체에서도 양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숫자만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만,
스텔스기 또는 KF-21 같은 스텔스 형상인 기체들은 동체 형상이 거의 비슷하므로 단순 계산도 충분히 의미있겠고요.

F-22A F-35C Rafale M KF-21 F/A-18E/F F-35A
동체 길이 18.92 15.7 15.27 16.9 18.31 15.7
동체 폭 (날개 길이) 13.56 13.1 10.8 11.2 13.62 10.7
날개면적 (㎡) 78.04 62.06 45.7 46.5 46.5 42.74
최대이륙중량 (톤) 38 31.8 24.5 25.4 29.9 31.8
추력 (톤) 23.59 12.70 10.21 11.79 11.79 12.70
추력 (톤)-애프터버너 31.75 19.50 15.42 19.96 19.96 19.50
추력/최대중량 0.62 0.40 0.42 0.46 0.39 0.40
추력/최대중량-애프터버너 0.84 0.61 0.63 0.79 0.67 0.61
최대익면하중 (kg/㎡) 487 512 536 546 643 744

함재기로 쓰기 적합한 순서는 F-22A > F-35C > Rafale M > KF-21 > F/A-18E/F > F-35A 입니다.

F-22A 가 기동성을 극대화해서 별의 별 기동을 하다 실속 상태에 빠지기 쉬운 탓인지 날개 면적을 일반적인 함재기 이상으로 많이 키웠네요.

KF-21 의 날개면적은 F/A-18E/F (슈퍼호넷) 과 같으면서 무게는 훨씬 더 가볍습니다.
KF-21 의 날개면적이 라팔보다 더 넓은 대신 무게는 더 나가네요.

KF-21 에서 무장을 0.5 톤만 적게 달면 최대 익면하중이 라팔과 같습니다.
1.6 톤 적게 달면 F-35C 와 같고요.
놀랍게도 KF-21 에서 무장을 4.5 톤을 더 많이 (!) 달면 슈퍼호넷과 같습니다.

추력대중량비도 F-22A 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기체들을 압도합니다.

함재기로 쓰던 기체들보다 날개면적도 더 크고 추력도 더 큰데 함재기로 못 쓸 이유가 없죠.
( 당연히 최대이륙중량 대비 비교임 )

물론 기골 보강, 랜딩기어 보강, 방염처리등은 당연히 할 것이고 중량이 1~2 톤 늘어날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네요. ( 날개 면적을 대폭 늘리거나 후퇴각을 줄일 필요없이 플랩만 좀 보강해도 될 듯 )

하지만 저공 지상공격에서나 의미있는 복좌와 내장 기관포를 포기하면 대폭 감량이 가능합니다.
( 저공 지상 공격은 지상공격기의 대명사인 A-10 조차 포기하고 매버릭 셔틀이나 한다죠.
저강도 분쟁에서조차 대공포, 휴대용 대공 미사일 덕분에 저공 접근은 위험해진 것이 현대전입니다. )

KAI 의 말로도 겨우 몇백 kg 만 늘어날 뿐이라죠. ( 내장 기관포 포기 여부는 불확실. )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실무진들이 설계용 소프트웨어 돌리고 시뮬레이션해서 나오는 결과들입니다.

선박 엔진이나 만들던 업체가 탱크용 엔진 만든다고 하면서 그 개발비조차 온전히 전력 투입하지 않은 업체의 뻥과는 다른 맥락입니다.

그건 그렇고 라팔 또는 델타익(삼각날개)에 대한 환상은 아직도 계속 유지인건가요 ?

저속에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실속하기 쉬운 탓에 이착륙시 기수를 쳐들어서 받음각을 높여야만 하는 델타익을 왜 함재기용으로도 쓰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가는데요.

기체 그림들을 봐도 라팔이 델타익을 가졌다 해서 별달리 양력 얻기 더 좋아보이지도 않습니다.

위에 언급한 기체들을 정확한 축척으로 보이도록 조정한 이미지 파일로 교체했습니다.
다만 KF-21 은 현재 나온 시제기와 일치하는지는 확실하지 않군요.

KF-21 시제기의 앞날개와 꼬리날개의 날개죽지부분이 위에서 볼 때 겹쳐져야 정상인데,
위 그림에서는 그렇지가 않군요. 작년말에 나온 이미지라서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손이조 21-12-22 08:59
   
KF21 블럭 ? 을 근거로 추정한 것인가요 ?
블럭3 는 배제한거죠 ?
시간이 많이 소요되니깐요.
게다가 블럭 3까지 가면서 형상변형이 발생 할수도 있을거구요.
     
archwave 21-12-22 09:05
   
미래의 뭔가가 아니라 지금 나온 KF-21 기준입니다. 위키에 올라온 ADD / KAI C109 제원을 기준했고요.
          
손이조 21-12-22 09:07
   
초도 비행시 문제가 생길 경우 기본 형상이 변경될 가능성은 배제한 것이네요.
               
archwave 21-12-22 09:11
   
문제가 생긴다 해도 기체 중량이나 날개 면적이 유의미하게 변할 가능성은 거의 없죠.

외형 형상은 아주 소소한 변경에 그칠 것이고, 주로 비행 제어 소프트웨어 갈고 닦기가 될테고요.
아그립파 21-12-22 09:03
   
디테일한 분석글이네요. 잘 봤습니다.
KF21 평면도도 같이 넣어주셨다면 금상첨화였을듯 하지만,
본문만으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군요. 감사합니다.
점퍼 21-12-22 09:06
   
엔진 토출구 기준 주날개의 위치를 보면 f22 도 기본은  델타익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신 꼬리 날개가 토출구 뒤쪽으로 한참 후퇴해 있지요.
     
archwave 21-12-22 09:13
   
KF-21 도 그 점은 같습니다.

정말 F-22A 를 데드카피했다 해도 믿을 정도이니까요.

말씀하신 것처럼 델타익에서 앞 쪽에 있던 카나드를 꽁무니로 옮겨놓은 꼴이죠.
면도기 21-12-22 11:55
   
저는 folding wing 제외했으면 더 좋겠습니다. 
통상 6대, 작전 시에 12대, 맥스 꽊꽉하면 20대일텐데.. 여기서 날개 접어 탑재 댓수 더 늘린다고 해봐야 2-4대 수준일껍니다.
기본 수량이 적다보니 성능 좋은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zaku 21-12-23 01:02
   
그래도 애초에 공군기로 만든 기체를 날려보지도 못한 상태에서 해군형으로 개조한다는게 좀...

말은 당장 결심해야 항모도입에 맞출 수 있다라던데

그러면 공군형의 피드백을 해군형에서 다시 고스란히 재방송할 수가...
archwave 21-12-23 06:04
   
위에 언급한 기체들을 정확한 축척으로 보이도록 조정한 이미지 파일로 교체했습니다.
다만 KF-21 은 현재 나온 시제기와 일치하는지는 확실하지 않군요.

KF-21 시제기의 앞날개와 꼬리날개의 날개죽지부분이 위에서 볼 때 겹쳐져야 정상인데,
위 그림에서는 그렇지가 않군요. 작년말에 나온 이미지라서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