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10-26 15:09
[사진] [펌] 수리온 동체를 연장해보자.jpg
 글쓴이 : 노닉
조회 : 4,035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야구아제 21-10-26 15:13
   
엔진 출력은 어떻게? 그리고 UH-60처럼 엔진과 동체를 분리하고 양 옆에 다는 형식이 더 낫지 않은지 의문입니다.

물론 우리가 그렇게 재설계나 변형을 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Tigerstone 21-10-26 15:34
   
수리온이 안이쁘다고 생각되고 비호감된게 콧구멍 때문이아니고 비율때문이었나 ㅋ
나름괜찮내 엔진이랑 구동계가 문제인데 해결해서 업글하면 나중에 수퍼붙여서 저렇게 해도될듯
     
야구아제 21-10-26 15:35
   
우리가 그럴 능력이 안 될 걸요? 그냥 설계도만 사온 것이라....
          
도나201 21-10-26 17:32
   
그게 애매한게 원래.. 기체설계도면의 동체길이가 더길었는데.

우리나라 육군 roc 가 한반도전체지역의 작전가능이라는 조건이 붙어서.
그에 대한 엔진출력강화가. 선결조건에 들었습니다.
원래 기체가 우리나라 roc 한반도 작전가능이라는 조건에 충족하지 못한것으로 알려져서.
엔진을 미군엔진으로 교체해서 .. 기어박스를 재설계한다라는 입장으로 ... 선회해버렸죠.
(정확한 부분은 여러가지설이 있으나, 그나마 공개된 문제점은 고도 4.5km 정도의 운행능력이였죠)

그와중에 프랑스 기술고문들이 이건 미친짓이라고 엄청나게 말렸다고 하는 일화가 많이 돌아다녔고,  이에 대한 이야기는 당시 kai 연구개발자들도. 많이 이야기하던 부분이였습니다.
아마 신동아였나 인터뷰에서 많이 밝혔죠.

결국 메인기어박스의 일정출력이 올라가면 동체의 진동현상이 심해져서.
sw적으로 어느정도 일정출력을 막는 방향으로 출시한게 . 수리온 입니다.

문제는 마린온이였죠.
대부분 수리온과 마린온이. 똑같은 헬기라고 생각하는데 .
전혀 다른 놈입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4륜구동오토바이 가.... 수리온이라고 하면.
요즘 .... 이 4륜구동오토바이에 쇼바 높이 올리고 산악용으로 개조한 놈이 보이던데. 

바로 이차이 만큼  수리온과 마린온의 차이가 있을정도입니다.

육상에서 운영하는 추력과 해상에서 운영하는 추력이 전혀 다릅니다.
백령도의 ah1s 운영시에.. 해상 3km 외 지역에서 운영은 30분도 못할 만큼.
엄청난 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해버립니다.

그래도 . 이를 염두해두고서 엔진을 교체한것도 있었지만, 
특히  공군에서 해상용 헬기 특히 작전구조헬기를
ka32 로 사용하는지 잘알려져 있습니다.
멀린 얼마나 대단한 헬기인지 모르고 하는 소리가 많습니다.
가격이 괜히 비싼게 아니죠.

바다에서 운영할려면 엔진추력이 30%는 더써야 하는데.  오히려 동체진동때문에 추력을 제한을 걸어 놨으니.  이에 대해서 마린온의 추락사고는 어쩌면 예고된 인재였을지도.
프랑스측에서도 이부분을 어필하려고 했으나,
이미 한국의 roc 관련해서 계약상내세운 상황이라서 .
결국 프랑스정부 부품인증으로 마무리되어 버렸죠.

현재 생각보다 수리온으로 인해서 엄청난 데이터를 축적하면서 운영한 상황이라서 .
수리온은 넘겨버리더라도..(앞으로도 많은 개량이 이뤄질것입니다)
lah 관련해서 이모든 오류에대한 기체적용이 되어서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현재 능력이 안된다라는 부분을 넘어서 이제는 뭐가 문제이고 그문제해결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라서...  아주 기술력이 맹탕이라는 헛소문은 믿지 말기를.

마린온으로 엄청난 기체설계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한 상황에서 그해결법을 프랑스의 정부인증부품으로 인해서.  어느정도 데이터가 축척된 상황입니다.

프랑스정도의 최신헬기의 자체설계능력을 가지려면. 아직도.... 15년이상의 연구진행이 필요한 상황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연구진행방향이... 일반생각하는 중국의 수준을 넘어서는 연구진행이라는 것이죠.

현재 중국의 z9 과.. 비교할때..  lah 관련해서는 성능자체가 다릅니다.
비교대상이 아닐정도로 말이죠.

그리고 이에 대한 대형기체에 문제해결방법접근자체가 다릅니다.
그저 단순히 중국처럼 무작정 때려맞추기식 개량이 아닌.

좀더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데이터 축척에 더 힘을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직까지 자체설계능력에 관한 부분은  중요한 엔진관련은 재껴 두고,
기어박스에 관한 자체적인 성과를 어느정도 진행될수 있다고 본다면.
그에 대한 자체설계능력까지 확보하려는 게  이번사업의 핵심이라고 보여집니다.

100% 를 친다면..  한 98%........ 2% 모자란 .. 부분이  그동안 투입예산의 50%를 더투자해야할만큼 중요한 기로라는 소리죠.
어떻게 보면 2%.. 성공을 위해서.  투입예산 절반분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사업철수가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가끔 꼬투리 잡는 사람이 있어서 부연설명.  각부품간에... 기술력이 2% 모자라다는 이야기임)

전혀 그렇지 않다라는 것입니다.    충분히 투입예산의 절반가량을 투입해서라도
확보하는 방향이 이사업을 마무리 짓는 상황입니다.

그걸 증명하기 위해서 내놓은 것이 lah  테스트 상황에서.. 엄청나게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면서  기어박스 자체개발사업에 투자를 이끌어낸 상황입니다.

원래 헬기개발이  데이터축척만 아무리 빨라도 30년 걸립니다.
이게 마린온 사업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보면 아직도 먼시간이 남았습니다.
돈있고, 사람있고,  소재개발다되어 있어도...  그렇게 걸립니다.

인류가 개발한 머신중에서 가장 자연을 역행한 기계가 바로 헬기라는 존재입니다.

뭐 이번 아덱스에서 누군가 이부분에서 물어봤는데.
대답하길 우리나라가 자체 기어박스개발 완료되면 출력이 30%정도 올라간다고 하니.
출력부분에서는 엔진문제가 아니라는게 확인되는 순간이였죠.

사실상 현재 ...출력에서 30% 증가한다고 한다면.
이중로터연구도 현재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서 ...  조만간 희안한 물건이 나올것 같습니다.
뭐 개발기간이 5년으로 잡고 있지만,  이건 국회예산안 관련해서 나온 부분이라서.
얼마나 투입되고 있는지.. 현재 연구개념과제로 선정된 부분입니다.

자체설계능력의 확보에 대한 데이터 축척이 현재도 이뤄지는 와중이라서.
다른 국가의 개발과는 궤를 달리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면됩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프랑스도면에  개발과정을 미국의 테스트과정을 적용한다라는 느낌이랄까요.

아무리 그래도 미국의 항공산업기술력의 80%이상은 개발과정의 검증에관한 기술능력이니까요.

그래서 신뢰성이 가기도 하지만, 현재 헬기분야의 개발속도나 인력 및 기타 관련 기반시설로 볼때...... 이정도의 성장을 이룬게... 정말  가장 기적같은 상황입니다.
현재 누리호도 ....800명으로 .. 기반시설에. 개발자체가 기적이라고 하지만,

그거의 최소 4배이상은 어려운 상황에서 개발되고 있는게 .... 현제 헬기산업입니다.
땡말벌11 21-10-26 15:53
   
사진을 늘린 건가요? ㅋㅋㅋㅋㅋ
한국 무기 개발할 때 디자이너는 안넣나요? ㅋㅋ 충분히 이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네요.
나그네x 21-10-26 21:07
   
이럴꺼면 애당초 큰직한 쿠거원형 그대로 갔다 쓰지.
수리온 형상보다 차라리 쿠거형상이 좀더 나아보이던데..
jeondeoksoon 21-10-26 23:32
   
봐도봐도 정떨어지는 디자인
돼지 콧구멍이 동체 3분의 1을
차지하니 원. 뒷 부분은 족발 같고

날렵함이 전혀 안보이는 디자인
벌레 21-10-27 13:08
   
얼마나 못생겼으면 프라모델로도 출시 안함.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