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10-02 17:40
[기타] [펌] 한국 L-sam / 일본 N-sam 차이
 글쓴이 : 노닉
조회 : 6,000  





둘다 

•고고도용 적외선 센서 및 tvc 탑재 대탄도 미사일
•중/저고도용 레이더 센서 항공기 대응 미사일

인것까지는 같지만


한국의 L-sam abm은 kv절개후 dacs추진을 하고 (ex - THAAD, sm3)

일본의 N-sam 고고도 대응 미사일은 일반적인 측추력기를 장착함.(pac3, 천궁)

재밌는건 dacs추진기술은 미일이 공동개발로 먼저 확보했다고 볼 수 있는데, 자국 고고도 대응체계에 dacs기동체는 현재 확보중인 한국이 탑재함.

DACS(Divert Attitude Control System)은 우리말로 번역하면 궤도수정(궤도천이) 및 자세제어 시스템입니다. 이것은 주로 인공위성처럼 우주공간에서 쓰던 자세제어기법입니다.


댓글 펌
DACS 적용하는거 보면 향후 LSAM베이스로 sm-3급 개발하는걸 감안했다고 보면 편한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당나귀 21-10-02 18:36
   
요즘 발표하는걸 보자면 이미 설계개념은 다 잡아놓고 미국 허락이나 타이밍만 기다리는 중...
아마 뭐든 있을거야...그치?
hamish 21-10-02 19:58
   
둘 다 경제적 여유나 실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 실제환경 같은 실험을 할 수 없습니다. 해궁 마저도 마하 0.5로 비행하는 드론을 15-30미터 상공에서 (일직선으로 비행하는 환경에서) 격추했습니다.
실제라면 배럴 롤을 수행하는 마하 0.9의 타겟을 해수면 위 4미터 상공에서 격추시켜야 하는데 말이죠.

L-SAM 이든, 일본 시스템이든 실제와 같은 환경에서 실험되어야 하는데, 세상에서 걱정하지 않고 실험할 수 있는
공간은 미국 알라스카나, 호주의 사막 뿐이죠.
두 국가 모두 이스라엘처럼 실전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환경은 안 갖추고 있고
실험구역을 설정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으므로 미국과 협력을 강화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도나201 21-10-02 20:14
   
그렇다고 한국이 아주 손놓고.. 테스트장소를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uae하고 우주협약체를 맺어서.
실제 로켓관련 항로를 시험 테스트할수 있는 협약까지 맺어놓은 상황입니다.

사우디 역시. 원전개발건만 협정되면  이 우주협약에 같이 가입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인도네시아의 파퓨아뉴기니 섬에.... 관련해서도 농업경작지 개량으로 우리에게 토지를 양도하는 협정이 있는데. 이곳을 활용할수 있도록 할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호주하고 가깝고 호주와의 협력도 기대할수 있어서 이에 대한 관련사항도 생각해봄직한 곳이기도 합니다.

후에 .... 페루,  콜롬비아도....  활용이 가능하고 ...  이러한 협정에 따라서 우주개발에 대한 테스트장소에 대한 협정을 슬슬 해나가는게 의외로 도움이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