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6-12 18:47
[영상] [KARI] 한국형발사체는 물론 스페이스X와 우주강국들이 로켓 엔진을 고체가 아닌 액체엔진으로 개발하는 이유는?
 글쓴이 : 박카스
조회 : 3,839  

....................................(고체연료로켓 부스터) 미국과 협상해서 허락(참나 ㅋㅋ) 받는다고 했는데 아직 소식이 없네요. 한참 된거 같은데.아직도 협상중인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darkbryan 20-06-12 20:29
   
액체랑 고체 엔진중에 어떤게 더 좋고 더 어려운 기술인가요?
     
gaist 20-06-12 22:43
   
난이도는 액체가 높지만, 고체연료는 탄도미사일에 핵심적인 역할이 있어서 꼭 도입해야하죠...
사커좀비 20-06-12 20:37
   
대륙간 탄도탄도 아니고...
민간 우주발사체에 고체연료는 너무 비싸죠...
액체로켓으로 하는 이유는 지난 글 검색하시면 많이 나옵니다..
연료가 싸기 때문이죠...
     
자체발광 20-06-12 20:44
   
고체 로켓이 더 비싼거 맞아요?
일본이 고체 개발하고 액체로켓보다 3할 가격 다운 되었다고 기사에서 봤는데
          
archwave 20-06-12 21:39
   
일본의 코스트 구조는 아주 괴랄해서 걔네들 사례는 참고할 가치도 없습니다.
          
새끼사자 20-06-12 22:21
   
액체가 싸기는 쌉니다...KARI영상 찾아보시면 연료 가격 이야기하는 영상 있는데..엄청 싸더군요...그리고 추력 조절도 되고 재점화도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지요..하지만 막강한 추력은 고체가 한수위입니다.
따라서 강력한 추력이 필요한 1단의 보조 추력으로 고체를 사용하는 거지요.

일본의 경우는 액화수소가 연료입니다. 비싸요...

연료 효율은 액화 수소가 더 높습니다만 가격이 비싸고...우리나라가 사용하는 캐로신 계열은 가격은 무지 싸지만 효율이 떨어지지요. 그 중간에 위치한 연료가 메탄계열입니다.
그래서 요즘 전세계적으로 메탄 엔진 개발에 열을 올리는 거지요...
     
네이비ㅡ썰 20-06-12 21:17
   
고체가 더 비싸다는 소리는 금시초문인데요...

액체 로켓의 액체들은 대게 강한 산화물질들이라,
탱크 제작부터 저장용기, 로켓의 노즐, 분사장치등등 훨씬
더 어렵고 고난이도의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이 더 비쌉니다.

하지만, 민간 로켓을 액체로 굳이 하려는 이유는
무게당 추력비가 액체로켓이 월등하기 때문이죠.

우주로 쏘아올릴때, 단 1톤이라도 더 쏘아올리는데는 천문학적 돈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추력이 높은 액체 로켓에 목을 메는 겁니다.

더구나 고체를 선호하는 군과는 달리
민간로켓은 비상시에 긴급발사할 일이 없고 스케줄에 맞출수 있기 때문에
미리 만들어 저장해 놀 필요없이 발사할때 충전해서 사용해도 무리가 없죠.
          
archwave 20-06-12 21:29
   
그래서 액체연료로켓이 싸게 든다는겁니다.

스페이스X 는 철저히 상업성에 초점을 맞추는데도 불구하고,
고체 연료 부스터는 쓸 생각도 안 합니다.
     
방탕중년단 20-06-12 23:53
   
고체가 더 비싸다니요? 고체의 이점은 단순한 구조로 인한 가격의 다운이지만 단점은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한거고, 액체의 이점은 정밀조정이 가능하지만 가격이 비싼걸로 알고있습니다만...
cjfekdrks 20-06-12 21:05
   
대한민국 발전가로막는 미국은 물러가야 사사건건 미국 허락없이는 아무것도 우리맘대로 할수없어 우리가 전범국도 아니고 진짜 짜증난다 액체 연료보다는 고체연료가 효율적이고 개발하기도 쉽다는데
archwave 20-06-12 21:38
   
하여간 지겨운 사거리 운운.

민간 용도 로켓에까지 고체 연료 타령에는 참 질린다 질려.

군용으로 만든 로켓 재활용하는 것외에는 민간 용도에서는 죄다 액체 연료 로켓을 쓰는구만.
왜 이런 쪽 까지도 사거리 운운하나..

정작 군에서는 사거리에 대해 별 불만도 없구만.

더 멀리 가는 미사일 개발해놓고 추후 미국에 통보하는 쪽에 더 가까운데, 이걸 왜 이리 비비꼬아서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구만.
     
자체발광 20-06-12 22:32
   
기술이 발전하지 않았다면 분명 군도 고체 연료 노래를 불렀을 거에요
하지만 램제트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이 속속 출현하는지라
사거리 때문에 고체연료에 목매다는 실정이 아니죠.
          
archwave 20-06-13 10:04
   
뭔 엉뚱한 얘기를 하시는지 ?

군이 갖고 있는 로켓/미사일은 모두 고체 연료입니다.
( 순항 미사일 제외 )
디비디비딥 20-06-12 21:53
   
고체연료는 안정적이라 아무때나 점화할 수 있으니 비싸도 긴급하게 사용할 군대에서 사용하고
액체연료는 불안정해서 발사직전에 주입하는데, 주입에만 한나절 걸리니 군대에서 쓰기엔 좀... 뭣하죠.
새끼사자 20-06-12 22:29
   
현재 개발중인 누리호는 발사체 분류상 소형 발사체에 속하는 1.5톤급이라 한계가 분명하지요. 4연배열된 힘은 300톤 급이라 어느정도 충분하지만 그걸로는 중형급 위성을 운반하기는 불가능하지요. 하지만 만들기 간단한 편에 속하는 고체 부스터를 다는 순간...중형을 넘어 대형급까지도 가능한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봅니다.
일본의 H-2B 메인 부스터 추력이 현재 우리가 개발 중인 누리와 비슷합니다. 대신 H-2B는 고체 부스터를 가지고 있지요.  고체 부스터를 장착하는 순간 꽤 많은 제약이 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누리가 비추력에 있어 약점이 있기 때문에 고체부스터를 가진다고 H-2B만큼의 페이로드를 올릴 수는 없지만요
동키일일일 20-06-13 03:13
   
고체연료와 액체연료는 명백한 장단점이 이습니다.
고체연료는 연료자체는 비싸지만 관리비용이 적게들고 추력비가 높지만 단시간에 소모되므로 전체 경로에 대한 제어가 어렵습니다.
연료소모가 제어되기 힘들어 보조 제어장치가 꼭필요합니다
액체연료는 연료자체는 저렴하지만 관리비가 많이듭니다
하지만 엔진을 통해 제어가 가능하고 연료가 분리가능해 운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은 퇴역한 스페이스셔틀의 경우 이 두가지를 모두 사용하였는데 높은 추력비와 정밀한 제어가 모두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이녀석은 너무 무겁기 때문에 발사단계는 액체연료와 고체연료를 같이 사용합니다
고체부스터와 외부연료통에 든 액체연료, 이것을 셔들 엔진을 통해 분사하여 연소시킵니다
추력비와 조작을 동시에 노렸지만 발사비용이 너무높아 퇴역한 비운의 우주선입니다
나그네x 20-06-13 22:34
   
로켓연료관련에서 액체연료/고체연료는 단순 비용 문제만이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가격문제를 떠나 액체연료 같은 경우 우주로 향하는 로켓 관련제어를 액체연료 같은 경우 상당히 세세하게 제어가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액체로 되어있다보니 액체의 양이나 타이밍으로 속도,시간,조절 타이밍을 제어하는게 용의하다고. 고체연료는 이게 좀 애매하다고 들었습니다만 자세한건 패스.
다만 다들알다시피 고체는 상업적인것 보다 군사적인 분야에 확실히 자리매김하는게 일단 보관이 용의하다와 이동에도 상당한 안전성이 높고 액체연료처럼 준비타이밍 없이 발사할수있다는..
고체의 장점 이동,보관,안정성,즉각성
뭐 군사적으로 액체를 이용한다거나 우주로켓에 고체연료를 이용하는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게 주류는 아니라는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