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9-18 16:51
[뉴스] 세계서 7번째, 한국형 항공모함 킬러 초음속 순항미사일
 글쓴이 : 노닉
조회 : 3,580  


[김대영의 무기 인사이드] 세계서 7번째, 한국형 ‘항공모함 킬러’ 초음속 순항미사일

지난 15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 서욱 국방부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과학연구소 종합시험장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발사시험과 함께 베일에 가려졌던 우리 군이 개발 중인 다양한 미사일들이 공개되었다.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과 고위력 탄도미사일 그리고 초음속 순항미사일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개발과 관련된 소식이 조금씩 알려지기는 했지만, 외형은 공개된 적이 없어 많은 궁금증을 자아내었다. 공개된 25초 동영상 속에서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수직발사관에서 콜드런치 후 하늘로 솟아올라 엔진을 작동시킨 후 목표물로 빠르게 비행했다. 초음속 순항미사일의 전체적인 외형은 과거 소련이 만든 P-800 오닉스(оникс)와 비슷했다. 지난 2002년부터 러시아군이 사용 중인 P-800 오닉스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최신형 모델의 경우 사거리가 최대 800km에 달하며 속도는 마하2 그리고 명중률은 1.5m로 알려져 있다.


국내 개발된 초음속 순항미사일이 P-800 오닉스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동일한 추진체계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800 오닉스는 일체형 로켓 램제트를 사용해 초음속 비행을 한다. 램제트란 제트엔진의 일종으로 압축기나 터빈이 없이, 고속으로 불어 넣은 공기를 원통 안에서 압축하고 연료를 분사해 점화 및 연소하여 추진력을 얻는다. 램제트는 특히 초음속 비행에 적합한 엔진으로 손꼽힌다. 국방부는 보도 자료를 통해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기존 미사일에 비해 속도가 빨라 적 함정의 대응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소개했다.

현존하는 대함 및 순항미사일들은 아음속 즉 마하 0.5에서 0.7 정도로 비행한다. 이를 요격하는 함대공 및 지대공 미사일과 근접방어무기체계들은 대부분 아음속 표적에 최적화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속도가 빠른 초음속 순항미사일을 요격할 때 많은 제약이 있다. 더불어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항공모함 킬러로 불리기도 한다. 일례로 대만이 독자 개발해 배치한 ‘슝펑(雄風)-3 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경우 마하 2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며 ‘항모살수(航母殺手)’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시험과정에서는 미사일이 대형군함인 전차상륙함의 선체를 뚫고 나오기도 했다. 아음속 대함 미사일에 비해 속도가 배 이상 빠르기 때문에, 순수한 운동에너지만으로도 상당한 위력을 낸다. 특히 국내 개발된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공개된 영상에서 바지선에 그물로 표현된 가상표적의 하단부를 정확히 뚫고 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항공모함과 같은 대형함정의 흘수선 즉 선체가 물에 잠기는 한계선 부근을 정확히 타격해 침몰시킬 수 있는 정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중국, 인도, 대만, 일본을 포함해 세계에서 7번째로 초음속순항미사일을 개발한 국가가 되었다. 향후 초음속 순항미사일은 해군의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인 광개토-3 배치 2(KDX-3 배치2)를 비롯해 KDDX에도 장착될 예정이며, 지대함과 지대지로 활용 영역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손이조 21-09-18 16:57
   
항모킬러는 초음속 미슬이 아닌 극초음속 미슬 아님 ?
     
nigma 21-09-18 16:59
   
만찬가지...
     
태지2 21-09-19 02:10
   
몇 년 안에 개발한다고 하는데... 아직 없는 물건이니...
nigma 21-09-18 17:03
   
궁금한 것이 영상을 봤을 땐 대략 따져보니 음속보단 빠른 것 같긴한데 아주 빠른 것 같지는 않던데 의도가 있는 건지 모르겠네요.
또 미사일 시점 영상이 흔들려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피격방지와 경로 조정을 위해서인지 완전 똑바로 나는 것 같니는 않네요.
     
나만의선택 21-09-18 17:41
   
참내 혼자만의 뇌피셜로 태클이네.

그리 궁금하면 국방부에 문의 넣으시던가
          
nigma 21-09-20 04:18
   
?? 나만님, 제글에 뭐가 문제가 있는지요?
공식 제원이 없으니 공개된 영상으로 추측하고 궁금해한 것이 그렇게 잘못한 건가요?
그리고 제글에 테클은 어디 있다는 것입니까?
     
archwave 21-09-18 18:03
   
돌아다니는 영상 대부분이 슬로우모션이던데요.

정상 속도 플레이 영상 보면 미사일은 보이지도 않고, 가만 있던 그물에 갑자기 구멍 뚫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밀덕달봉 21-09-19 01:00
   
음속미슬의 약점은 빠른 대신 고도가 높아서 멀리서도 보고 대응 가능하다는거.
영상에서 보는 국산 초음속 미슬은 상당히저공에서 접근하고 있음.
이말인즉슨 함선에서 30km내외에서 레이더에 잡힐거고, 마하3이나 마하2정도만 되어도 90초 내외에서 판단하고 미슬까지 쏴서 어느정도 고도로 올려놔야 대응이 가능하다는거.
현실적으로 국산초음속미슬 발견하고 대응 가능한 시간이 1분 안짝일거임.
허둥지둥 대다가는 바로 저승길 재수없음. 여러발대응해야 하니 1분 내외의 시간에 다 찾아내서 명령 체계 받아서 대응한다?
엄청 빡실거임.
          
archwave 21-09-19 01:05
   
마하 2 인데, 30 km 거리에서 포착한다면 피격까지 걸리는 시간은 44 초밖에 안 됩니다.
마하 3 이라면 29 초.

초음속 미사일을 함선 레이더로 탐지한다면 대응시간은 30 초도 안 나온다고 봐야죠.
          
archwave 21-09-19 02:36
   
요즘 초음속 미사일은 다른 국가들이 만드는 것들도 시스키밍합니다.

저공비행이 한국제만의 장점이 아님.
ranteria 21-09-18 18:49
   
나중에 기술발전되면 장거리 초음속 순항미사일도 나오겠죠? ㅎㅎ
노세노세 21-09-18 20:10
   
극초음속(마하5이상) 미사일은 현제 방어 할 수 잇는 수단이 없지 않나요?
대팔이 21-09-18 20:46
   
원래계획은 2015년 양산이었는데...
생각보다 오래걸렸음...

동북아에서 유일하게 초음속대함미사일이 없었는데...
한시름놨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