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7-10 22:33
[잡담] 현재 원자력 발전과 과 핵융합의 차이
 글쓴이 : 전쟁망치
조회 : 1,247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어서 그냥 써봅니다
원자력 = 핵분열 / 핵융합


핵분열 = 방사능 덩어리 우라늄으로 발전

핵융합 = 고온의 자기장필드에서 바닷물의 중수소를 어쩌구 저쩌구 융합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는 기술
(뭐 제가 전문가는 아니라서 혹 중수소의 융합 과정에서 방사능이 조금이라도 발생 되는지는 전문가분께서 설명을...)


즉... 우라늄 사용안함...  바닷물이 원료임

그리고 플라즈마라는건 중수소가 고온의 상태에서 유지되는 어떤 기체인지 유기체 인지 하는 애매한 상태의 물질인데.

기존 산업에서 중수소를 이용한 플라즈마는 이용됨 절단기라던지 코팅이라던지

그런데 핵융합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인 고온의 융합된 중수소 플라즈마는 무기로 사용될수 있는 이론이 있음

SF 소설에서는 핵융합장치가 소형화되어서 총에도 달수 있는 플라즈마 총이 나옴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방각 16-07-10 22:56
   
핵융합도 원자력의 일종이죠.
핵융합과 비교되는 개념은 핵분열임.
햇갈리신 듯...
wepl 16-07-10 22:58
   
원자력은 핵분열 핵융합을 통틀어서 쓰는 말임
원자력에서 핵분열과 핵융합으로 나누어짐
핵분열 : 우라늄 235<가끔 플루토늄도 사용함 단 핵무기는 플루토늄탄이 많이 쓰임>를 사용 원자핵이 열중성자와 충돌하면하면 2개의 다른 원자핵 2개와 고속중성자2개로 분열하는 것을 핵분열이라고 한다. 이때 빛의속도로 연쇄분열을 촉진하며 원자핵은 전혀 다른 물질로 변화하면서 엄청난 열을 발생하게 됨 <핵분열후 플루토늄이 만들어짐>

핵융합 : 1억℃ 이상의 고온에서 가벼운 원자핵이 융합하여 더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창출해 내는 방법으로 이 과정을 이용하여 수소폭탄이 만들어짐. 이 핵연료는 무한하며, 방사성 낙진도 생기지 않고 유해한 방사능도 적음 하지만 1억℃라는 열을 내기위해서는 핵분열을 통한 방법 때문에 역시 방사능 양에서는 핵분열 방식과 다를 봐 없음 핵융합의 핵심은 이 1억℃라는 어마어마한 열을 유지하는게 관건인데 여기서 토카막이라는 공법이 가장 안전하게 열을 잡아두는 공법이라고 함 일종의 소형인공태양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됨 <수소폭탄은 그 인공태양을 잠깐 털어 트리는 거지만 즉 핵분열이든 핵융합이든 원자로나 반응로의 냉각수로 바닷물을 씀>
딸기색문어 16-07-10 23:45
   
이전 게시물에 핸드폰으로 만지작 거리다 보니 잘못된 곳에 리플 달았던 모양이네요.
잠깐이라도 기분이 나쁘셨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전쟁망치 16-07-10 23:49
   
제가 머리가 나쁜건 아니라서
다른분한테 했다는걸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허허 괜한 걱정을 하셨네요 어쨌든 세심함 배려 감사합니다
이로써 완벽하게 오해가 풀렸네요
아롱홀로 16-07-11 18:14
   
초소형 핵융합나오면 에너지 시대는 끝이죠. 새시대의 시작입니다... 아직은 공상과학 ㅋ
어리버리쏜 16-07-13 15:00
   
방사능이란 말은 마치 물질 처럼 오해 될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이란 말을 쓰겠습니다.

핵융합시 방사선이 나옵니다.
핵 융합시 발생되는 에너지는 어마무시 합니다. 이 에너지가 방사선 (radioactive ray) 형태로 나옵니다.
다만 핵분열 발전과 다른 점은, 지속성은 없습니다. 
핵분열 발전에 이용하는 우라늄, 플로토늄등은 가만히 나둬도 자연 분열되어
에너지를 발생 시키게 됩니다. 그래서 위의 물질 근처에 가면 방사능에 노출 되게 됩니다.
만약 우라늄을 이용하는 발전소가 폭파되면, 우라늄이 공기중으로 비산되고 공기중으로 비산된
우라늄이 토양, 인체 등에 축척되 영구적으로 방사선을 방출합니다.
만약 위 물질이 자연 붕괴 되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가 걱정할 필요가 없겠죠.

핵융합에 의한 발전은 발전소가 폭파되어 원료 물질이 대기중에 퍼지더라도 자연적으로
융합되지 않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폭팔력은 쎄지만 말이죠

조금만 덧 붙혀 말하자면 수소 폭탄이 핵융합을 이용하는데요
이때는 방사능 물질이 유출 됩니다.
왜냐하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려면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한데
무선상태(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에서 이에너지를 공급할수 있는 수단이
핵분열탄(우라늄, 플루토늄을 이용한)밖에 없기 때문에 핵 폭탄에 경우에는
수소탄이라 하더라도 방사능 물질의 위험이 상당히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