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12-03 18:12
[해군] 국군 차기 기뢰부설함 "남포급"
 글쓴이 : 밀리마니아
조회 : 4,758  

a0105007_55657bfe93240.jpg

노후화된 원산급 기뢰부설함을 대체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차기 기뢰부설함 "남포급" 이름은 기뢰부설함이지만 기뢰를 제거하는 소해임무도 겸합니다.



















e0055563_4e845a936daee.jpg


76mm 함포는 대함 및 제한적 대지 공격을 맡습니다.




















34137764.1.jpg

40mm 노봉 기관포는 대공방어 및 대함 공격을 맡습니다.























1643867_-_main.jpg


기뢰부설함 주제에 사거리 20km급인 해궁을 대공체계로 채택했습니다. 웬만한 중소국가의 기함 보다 대공능력이 뛰어납니다.




















kd2_08_saba0127.jpg


324mm 3연장 어뢰발사관 x 2 가 대잠공격을 맡습니다.























그림6_기뢰부설대.jpg

후방 기뢰부설기로 사용하여 기뢰를 부설합니다.























a0105007_4ae0fed878a03.jpg



한국형 수직발사장치도 채용했기 때문에 후에 324mm 어뢰 발사관으로 부족하다 싶으면 홍상어를 운용할 수도 있고 다른 국산무기의 장착 또한 폭넓게 가능합니다. 기존 원산급이 기뢰부설에만 특화된 함정으로써 전시가 아닐 때에는 그 활용이 난해하기 때문에 비전시에도 여러가지 임무를 폭넓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조치로 보입니다. 



















AIR_AW101_Japanese_MCH-101_w_ALMDS_Concept_NGC_lg.jpg

예산부족으로 아직 소해헬기는 없습니다. 2018년에 소해헬기를 선정한다고 하며 유력후보로는 MCH-101.MH-53 등이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무와바람 16-12-03 18:22
   
가장 중요한게 소해헬기인데....쩝..
4leaf 16-12-03 18:38
   
소해헬기로 AW101과 MH-53 이야기 하셨는데 실상은 시호크의 소해버전이 가장 유력... 시호크도 착륙과 수용이 버거울텐데 더 큰 멀린과 멀린보다 훨씬 더 큰 시드래곤은... 국내 함선 중 시드래곤 착함 가능한건 원산함과 독도함 밖에 없어요. 왜냐하면 남포급은 인천급 베이스라 아무리 좋게봐도 대구급 헬기데크와 격납고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밀리마니아 16-12-03 18:45
   
RAMICS 좌초되고 다른 장비의 개발이 워낙 난항중이기 때문에 그 사업자체의 미래가 불투명합니다.
사통팔달 16-12-03 18:58
   
소해헬기 싣고 다니면 좋긴한데 안되면 착륙해서 연료재보급 받고 임무해도 되겠죠.시호크 착륙할정도면 멀린도 착륙은 될만한크기기도하고 헬기데크엔 멀린들어가기가 힘들겁니다.시호크는 메인로터 폴딩하고 테일폴딩하면 12.5미터인가로 줄어서 인천급 헬기격납고 에도 들어가거든요.멀린도 다접히긴하는데 폴딩시 길이는 몰라서
멀린이 높이가 많이 높아서 시호크보다 1.4미터 정도 높아서 데크에 들어갈지가 문제죠.로터길이도 멀린이 2m가량 커서 착륙할수있는지도 문제고찿아보니 멀린이 시호크보다 로터포함하면 2.5미터 기네요.동체만따지면 멀린이 3m나 더기네요.로터 접었을때 크기가 시호크 로터포함 길이다보니 제원은 위키꺼로 보면 틀린게 많아서 위키로 보면 시호크가 길이가 20cm더크게 나오니 멀린은 메인로커 접으면 19.5미터 정도라 테일로터 접혀도 많이 줄어야 사진에 나온거보면 3m정도 주는크기라 데크가 유난히 크면 모를까 안들어가겠네요.
배곺아 16-12-03 19:20
   
여담이지만 북한에도 남포급이 있습니다. 용도는 다르지만요.
     
KCX2000 16-12-03 20:04
   
북한의 남포급은 자기들 해안도시라서 그렇게 붙였는데 우리는 거기다 기뢰를 깐다는 가정하에
남포급이라고 이름 붙였죠 ㅋ

원산급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