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08-23 15:56
[기타] 일본 방위산업 특징인 저율생산의 끝판왕급 사례
 글쓴이 : 노닉
조회 : 3,433  


US-2.

2009년에 첫 기체 인도 해서 작년에 6번기 인도... 그러니까 대충 1년 반에 1대 꼴로 찍은 것;

그리고 2021년에 인도될 기체가 2009년에 인도된 초도기를 대체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서,

밀어내기식 대체하는 방식으로 생산 유지하며 7대 굴릴 계획.

UH-X 도 1년에 6~7대씩 거의 20년 생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znxhtm 19-08-23 16:02
   
수상기는 만드는 나라도 별로 없어서
그만저만한 성능에
그만저만한 가격이면
그럭저럭 수출 될텐데
그걸 못하네 ㅋ
그지 같은 넘들 ㅋ
draw 19-08-23 16:04
   
밀알못인데 저게 용도가 뭔가요?
     
루크007 19-08-23 16:05
   
수상용 수송기 기체입니다
     
아이쿠 19-08-23 20:09
   
가령 먼바다에서 전투기가 추락했는데
조종사가 무사히 탈출했습니다

근처에 배라도 있으면 다행이지만 배가 없다면
조종사가 물속에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존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하지만 헬기로 구출하기에는 너무 먼바다입니다
이럴경우 수상기가 신속하게 날아가서 구조하는것이죠

이건 군사용도 뿐아니라
상선에 선원이 심장마비로 쓰러졌습니다
하지만 육지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위치입니다
헬기가 갈수없어요

배가 가까이 올때까지 기다리기에는 너무 위급합니다
이럴경우 수상기가 날아가는것이죠

이렇게 수상기가 몇대 있으면 요긴하게 써먹을 경우가 있습니다
     
Silli 19-08-23 21:08
   
인도네시아같은 작고큰 섬들이 많은 나라에서 유용한 기체입니다 해상에서 이륙이 가능하기 떄문에....
새끼사자 19-08-23 16:28
   
그래도 수상비행기는 좀 부럽긴 합니다...ㅋㅋ
꾸물꾸물 19-08-23 16:39
   
저거 인도에 제의했죠. 인도가 혹했는데, 대당 1,000억 내. 그래서 포기했다고.
자유생각 19-08-23 17:48
   
일본이 저런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방위산업체계를 운영하는 이유는
돈이 들더라도 군사대국화 할 때 필요한 기술력의 유지가 중요하다는 생각 때문이죠.
미국의 무기를 도입할 때도 굳이 라이선스 생산을 고집하거나, 최소한 일본 내에서
조립이라도 하겠다고 비싼 돈 들여 조립공장 짓는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결국 언젠가 평화헌법 바뀌고 재무장 시작하면 일본 국내에서 무기를 찍어내겠다는
계획을 감추지 않고 대놓고 선전하고 있으니, 그걸 옆에서 지켜보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얼마나 찝집하겠습니까?
     
해충퇴치 19-08-23 18:30
   
근데 일본에서 조립한 것들만 문제 생기는걸 보면 기술력 유지는 실패한것 같네요.
     
서애 19-08-23 19:36
   
표면적 의도는 기술유지라고 하는데...
어찌 라이센스로 생산을 하는데 원재조사의 품질을 못 따라 가는건...
쫌 웃긴 일이죠...
금속기술 강국이라 주장하는 일본이 총기류 하나 똑바로 못 만드니...ㅎㅎㅎ
글구 라이센스 생산이 기술을 유지한다는거에 대하 조금 의문이 있는게
완성된 파츠 받아와서 조립만 하는 경우는 돈지랄이라고 봐야합니다.
조립하는 기술을 유지한다는게 ..ㅎㅎㅎ
     
아이쿠 19-08-23 20:15
   
기술 유지보다
방산 기업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단시간에 빠르게 만들어 버리면
다 만들고 난뒤에
기술자는 다른일 찾아 떠나고 라인은 공중 분해 되어버리죠

저렇게 초저율 생산으로 1호기가 퇴역할때쯤 마지막 생산품이 나오도록
생산 속도를 조절하는겁니다

위의 경우는
수상기라는 물건이 워낙 유니크하고 요구 수량이 적다보니 저렇게 기형적이 된것이고


거의 모든 무기들이 방산기업의 유지를 위해 생산 속도를 조절합니다
우리나라 k-2소총도 최근에야 예비군 물량 생산이 종료되었죠
예비군 물량 종료하고 차기 k2c소총 생산에 들어간겁니다
이보다 훨씬 빠르게 생산은 할수있지만
그러면 우리나라 총기 회사는 생산 끝나면 회사 문닫아야 하죠

이런 총기 뿐 아니라 모든 무기가 방산 기업의 유지를 위해
생산 속도를 조절합니다
          
흰꽃샤프란 19-08-23 21:38
   
맞아요... 기술력은 개꽝입니다.
군수, 민수 모두 전설의 일제라는 거는 애시당초 구라가 50%였던 기술들...

기업의 군수 라인 유지가 목적이죠...
          
자유생각 19-08-23 22:06
   
방위산업체에 일감을 줘서 기업과 인력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목적이 기술이 흩어지지 않게 유지해주는 건데, 무슨 큰 차이라도 있는
것처럼 쓰셨네요. 특별하게 구분해야할 뭐라도 있나요?
 
그리고 일본 같은 경우는 방산기업 유지를 위한 생산속도 조절이라고
이해해주기 힘들 정도로 극단적이니까 문제가 되는 거겠죠. 그리고 이런
극단적 사례가 특별하지 않고 일반적이라는 것도요. 1년에 탱크 몇 대
장갑차 몇 대씩 10대도 안되는 수량을 뽑아내면서 수십년간에 걸쳐
배치하는 걸 정상으로 보는 나라는 없을 겁니다.

이정도로 비효율적 구조를 억지로 유지하는 나라는 지구상에서 일본이
유일하며, 다른 나라도 다 하는 평범한 일이 절대 아닙니다.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가 하는 짓을 보면 더욱 더 의심하고 경계하는게 지나치지 않고,
만일의 경우까지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골생활 19-08-23 22:19
   
무서운 원숭이들 이군요!!
랍스타 19-08-23 23:02
   
생긴게 귀엽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