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8-06 19:02
[기타] [펌] KFX와 수퍼크루즈
 글쓴이 : 노닉
조회 : 6,486  



1. 수퍼크루즈(초음속 순항)란?

초음속 순항 또는 슈퍼크루즈(supercruise)는 애프터버너(재가열)를 사용하지 않는 효율적인 초음속비행 방법이다

대부분의 군사용 항공기는 초음속으로 순항하기 위해 애프터버너를 사용한다. 

애프터버너는 배기 구간에서 일반적으로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기존 제트기 엔진의 작동방식에 비해서 비효율적이다



2. 수퍼크루즈와 5세대기와의 관계



애프터버너 불기둥이 레이다 신호를 반사하고 중요한 적외선 신호를 만들어낸다는 점을 고려하면, 

슈퍼크루즈는 스텔스기에게 이점을 줄 수 있다. 5세대기에 필수이다.



3. 수퍼크루즈 현상황

F22 : 마하 1.58

유로파이터 :  비무장시 마하 1.5, 무장시 마하 1.2

라팔 : 마하 1.4

SU-57 : 가능
J-20 : 업그레이드 예정?

F35 : 제작사에서는 가능하다는데 미심쩍다.

일설에 의하면 고고도에서 저고도로 내려올때  마하1 근처에서 제한적인 수퍼크루즈가 가능하다고 한다.




4. 익면하중과 추중비의 비교

출처 : https://blog.naver.com/itsley/221328530366




그래프 읽는 법 설명해준다.

Y축은 익면하중이고 선회력에 영향을 준다. 낮을 수록 좋다.

X축은 추중비고 가속력에 영향을 준다. 높을 수록 좋다.


*KFX와 F-22는 익면하중, 추종비에서 비슷하다.

이것은 KFX가 근본있는 F-22의 적장자이며 더러운 F-35와는 설계철학이 다르다는 증거이다.

(다만, F-22는 엔진의 추력편향이 가능해 익면하중에서 수평비교는 어렵다.)


*F-15를 제외하고는 KFX의 추종비가 가장 높다


*F-22와 라팔, 유파는 강력한 엔진과 효율적인 기체형상으로 수퍼크루즈가 가능하다. F-22와 형태가 비슷한 KFX도 가능하다는 추론이 타당하다.




5. 결론

*순수 밀파워를 고려해야겠지만, 최종결전병기 KFX는 온전한 수퍼크루즈 또는 제한적인 수퍼크루즈가 가능하다. 


*KFX와 F-35는 대체하는 입장이 아니고 서로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관계이다.

(F-35가 전방에서 상황인식 및 타겟식별을 하면 후방에 있던 KFX가 타격하는 전술이 가능하다) 



6. 사족

*Fa-50과 그리펜ng는 익면하중, 추종비가 비슷하다.

*그래프를 보면 느린 F-18E/F가 해군에게 왜 욕을 먹는지 알 수 있으며 F-35의 기동성은 더악질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보라매21 22-08-06 19:21
   
그렇군요.. 정말 끝내주게 만드네요. ㅎㅎ
푹찍 22-08-06 19:45
   
델타 카나드 삼형제 봐라 ㅋ 익면하중 깡패네 ㅋ
근게 그 모든 걸 씹어먹는 독수리 ㅋ
JaneDoe 22-08-06 20:19
   
라팔도 하강해서 음속돌파후 크루징이라고 했던것 같은데.
면도기 22-08-06 20:20
   
전에 외국 유튭보다가, 애프터 버너 후연 자체가 레이더 반사하고도 연관된다고 하던데
제가 제대로 들은건지 모르겠네요. 아시는 분?
Wombat 22-08-06 20:31
   
이전부터 저도 은근히 보라매 시험비행하면 슈퍼크루징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망상을 했습니다
솔찍히 추력비도 꿀리는것도 없고 f22 최고의 형상을 데드카피한 수준이라 적어도 제한적인 슈퍼크루징이라도 가능할지 모르죠
nigma 22-08-06 20:54
   
흠, 잘은 모르겠으나 KAI는 홍보를 위해 이런저런 어필을 하는 한편 또 이분야 터줏대감(?)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그냥저냥(?)해 왔던 것 같습니다.
모르긴 해도 개선된 블럭에서 F414-EE로 교체하며 기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드네요.
남산코끼리 22-08-06 21:26
   
F-2는 JAP 인가요?
     
무한의불타 22-08-06 21:35
   
          
남산코끼리 22-08-06 21:40
   
중공의 스텔스기라 불리는 j-20은 위치가 어디쯤에 있을까요?
               
방랑기사 22-08-07 07:56
   
기체크기에 비해 엔진은 ㅉㅉㅉㅉ
추중비는 FA50 및 그리펜 아래
아그립파 22-08-06 21:43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근데 자꾸 오타가 연속으로 나와 은근 신경이 쓰이;;
추종비x 추중비o
방랑기사 22-08-07 01:32
   
익면하중보다 형상이 중요하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리펜도 슈퍼크루즈  한다고 선전합니다.
F22도 가능한데 KF21 가능하겠죠
revneer 22-08-07 06:11
   
f16c 는 단발엔진인데 추중비가 저리높나요
     
archwave 22-08-07 08:00
   
저 그래프 수치가 잘못 되었습니다.

무장 전혀 없고 연료 절반 채운 상태이고, 애프터버너 켠 상태에서 F-16C 의 추중비는 1.246 이 나옵니다. F-18C/D 와 라팔과 비슷한 수준. 그런데 F-18C/D 와 라팔의 수치는 제대로 된 것인지 모르겠네요.
archwave 22-08-07 08:06
   
그러고 보니 F-15E 의 수치도 잘못 되었네요. 같은 조건에서 1.241 정도만 나옵니다.
F-16C 와 비슷한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