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8-04 15:16
[뉴스] 해군, 2020년대 3천t급 잠수함 9척 전력화
 글쓴이 : 익산오라비
조회 : 5,991  

 
PYH2012122601530001300_P2_59_20130804131203.jpg

 
1천800t급 잠수함도 2018년까지 6척 추가 확보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해군이 장기 수중작전과 원거리 정밀타격이 가능한 3천t급 잠수함 9척을 2020년대에 전력화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소식통은 4일 "해군은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3천t급 잠수함 9척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며 "올해 초부터 1, 2호기 건조를 위한 상세 설계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3천t급 잠수함은 기존 1천800t급(214급)이나 1천200t급(209급) 잠수함과 달리 수직발사대를 갖추고 있어 획기적으로 개선된 잠대지 미사일을 통한 원거리 정밀타격 능력을 갖추게 된다.

수중 작전시간도 1천800t급에 비해 월등히 긴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의 한 관계자는 "1천800t급만 해도 잠항시간이 1천200t급에 비해 10배 정도 길다"며 "3천t급의 잠항시간은 1천800t급과 비교해 10배까지는 차이가 나지 않지만 훨씬 길다"고 설명했다.

디젤 엔진이 적용되는 3천t급 잠수함은 앞으로 해군이 창설하게 될 3∼4개의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의 해양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군은 해상 교통로 보호와 대수상함전 대비 목적으로 2018년까지 1천800t급 잠수함도 현재 3척에서 9척으로 늘릴 계획이다.

1990년대 초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1천200t급 잠수함 9척은 3천t급 잠수함이 전력화하는 2020년대에 순차적으로 도태될 예정이다.

2020년 이전까지 214급 잠수함 도입을 완료하고 2020년 이후 3천톤급 잠수함을 도입해 20척 이내의 잠수함 전력을 유지한다는 것이 해군의 계획이다.

북한은 70여척의 잠수함(정)을 보유하고 있어 양적으로 우리 해군을 압도하고 있다.

북한은 로미오급(1천800t급) 잠수함 20여척, 상어급(325t급) 잠수함 40여척, 연어급(130t) 잠수정 10여척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은 북한의 잠수함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부터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엘라하드 13-08-04 15:35
   
3천급이면 어느정도됨??
     
티모 13-08-04 15:39
   
디젤로는 최고 스펙급..
     
보라돌이 13-08-04 15:45
   
핵추진 잠수함을 빼고 디젤잠수함쪽에선 규모로 보나 화력으로 보나 거의 최고수준이죠. 그 이상 크기로 만들려면 추진력을 더 얻어야 하기때문에 핵추진으로 가야 합니다.
쌈지 13-08-04 15:39
   
늦었지만 그나마 훈련함부터 삼천톤급 잠수함등 해양의 중요성을 알고
차근차근 준비하는 모습이 든든합니다
세르파 13-08-04 16:25
   
어디선가 3800t급이라고 본적있음.
디젤잠수함의 단점은 속도입니다.
어뢰쏘고 후딱 도망치고 다시 은밀히 접근해서 어뢰쏘고...반복~해야하는데...
공격후 위치가 발각되는 관계로 혼자다니는 적함만 사냥해야합니다.
아군함대 기동시 속도의 한계때문에 합동작전도 제한적이라 봅니다.당근 적함대를 은밀히 추적하며 공격기회를 노리는것도 제한적.
지상타격시는 예외구요.

해군은 총18척의 잠수함보유를 희망함.
2020이후는 원잠으로 가야지 디젤함은 12척에서 킅내고 이후는 퇴역과 동시에 원잠으로 대처하길 앙망합니다.
쌈지 13-08-04 16:34
   
ㄴ2800톤으로 아는대요 수중배수량 3000톤 안넘습니다 중공의 청급은
디젤기관 최대로 수중배수량 6626톤 효용성은 글쎄요? 디젤기관의 최대 단점은
삼천톤이 넘어갈시 소음이 작살로 건조비용 역시 핵추진에 버금 간다고 합니다
이번 삼천톤급 역시 예상건조비욤 1조로 보는데 세종대왕급과 비슷하나 이건 희망사항이고
1조 3천억 내외로 보더군요 물론 대량으로 찍으면 규모의 경제논리 그대로 내려가지만요
     
세르파 13-08-04 16:37
   
그런가요.전 분명3800으로 봤는데,좀 찾아볼케요.
가끔쓴다 13-08-04 16:38
   
에구에구..  내 살아 생전엔.. 핵추진은.. 못보겠구나.
     
세르파 13-08-04 16:46
   
국방비중 해군여산17%.
할거많고 쩐은 부족하고~
북괴놈들 미사일 실험덕분에 대부분의 예산은 kmd에 사용될거 같구,

이어도,독도믄제로 중.일과 국지전이나 해상 무력시위 발생하는건 시간문제인데 안그래도 부족한데 개정은이가 발목을 잡네요.
호랭이님 13-08-04 16:38
   
잘 모르시는것 같은데
디젤의 단점은 속도가 아니라 작전반경과 작전 지속 시간임.
핵추진은 따로 스노클링이 필요없지만 디젤은 스노클링으로 전지를 충전해놓지 않으면 작전 불가임.
바닷속에서는 디젤기관을 연소시키지도 않고, 전지에 충전된 에너지로만 움직이는게 디젤 재래식 잠수함임.
때문에 우리나라가 핵잠을 보유하려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음. 지속적인 작전을 능력이 해군 잠수함세력이 원하는 최고의 전략임.
디젤속도나 핵추진 속도나 단 한방의 경어뢰 같은 녀석들에게는 무용지물임.
어뢰가 앞도적으로 빠르고 대잠세력도 잠수함에 비해 엄청나게 빠름...
따라서 정숙성이 최고로 우선시 되는 잠수함에게 속도경쟁력은 커다란 의미가 없음.
     
세르파 13-08-04 16:54
   
우리가 당장 대양을 누비며 작전할것도 아니고 우선 독도와 이어도정도가 우리의 작전범위라 생각하구요,(30일)
대만,말라카해협까지 작전하려면 잠항능력이 주요하겠지요.
어떤경우라도 원잠의 최고 장점은 속도이구요.크니까 첨단장비.무기.잠항시간...유리함.
          
피빛엔젤 13-08-04 18:32
   
디젤의 단점이 속도도 큰 이유인데. . 포클란드 해전때 디젤 잠수함이
 속도가 느려가지고영국 기동함대한테 20시간이나 추척당했다고 하니, 게다가 그 느린 속도 때문에
좋은 공격위치 선점하기도 어렵구요, 매복이 아닌한, 그리고 원잠 정숙성이 떨어진건 다 옛말.. 솔직히 다른나라도 다 돈만 있으면 디젤 잠수함 안쓰고 원잠 쓰고 싶어하죠.. 미국,영국,프랑스 같은경우는 아주 오래전부터 디젤 잠수함 전푸 폐기 처분하고 원자력 잠수함만 운용했었죠. 일본하고 호주도 괜히 좋아서 디젤잠수함 운영하는거 아니고요..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100081&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9B%90%EC%9E%90%EB%A0%A5+%EC%9E%A0%EC%88%98%ED%95%A8&sop=and
싱싱탱탱촉… 13-08-04 17:56
   
3천톤급에 수직발사대가 8개 였던가요?
9개면 72발이네요.
좀 부족하지 않을까 싶은데.......
9one 13-08-04 20:48
   
ㄴvls에  여차하면 더티밤이나 핵을 장착한다며?!!
9one 13-08-04 20:49
   
잠대지 제대로 운용할려면 역시 핵핵핵
스마트MS 13-08-04 21:18
   
209급 퇴역시기에 대비하여..전력공백없이. 강력한.잠수함전단...잠수함 사령부가 등장하길. 기원해 봅니다/
남풍 13-08-04 23:35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동아시아에서 최강의  비밀병기가 될지 싶습니다 워낙 숫자가 적으니 무기란 무기로 도배를 하고 있습니다 잠수 전력은 우리가 나을지 싶습니다 삼국중에서요
우루룽 13-08-05 00:55
   
승무원이 문제지..
잠수함 승무원 조낸 힘들다고 함...
작전 나가면 몇달동안 비좁은 곳에서 제대로 씻지도 못하고.. 끙..
꺼져쉐꺄 13-08-05 01:18
   
뉴스 보니깐

일본이 디젤 엔진으로된 잠수함 중에  4500t 급 잠수함 3댄가 있다고 하네요 ㄷㄷㄷ
     
꺼져쉐꺄 13-08-05 01:26
   
아 다시 보니깐  4200t급 디젤 잠수함 2척이 있네요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702160&re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