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9-25 13:38
[사진] KGGB 원가절감용 재설계
 글쓴이 : 노닉
조회 : 3,026  


KGGB는 한국형 중거리 GPS 유도폭탄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IMU(Inertia Measurement Unit)를 이용하여 일반목적용탄에 부착하여 전천후, 야간공격작전, 사거리 증대 및 정밀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유도무기 체계로 형상은 아래와 같음
KGGB는 많은 실전으로 정밀공격효과를 검증받아 도입을 위해 해외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해외 유사 무기체계 대비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가격 경쟁력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KGGB 구성품인 비행보조키트, 플래퍼론 모터와 전개서보모터 재설계를 진행했고 비행시험 지상시험을 무사히 통과함

​1. 비행제어장치 재설계 ​
비행제어장치(FCU : Flight Control Unit)는 무선통신 기반 임무 정보 수신, GPS/INS 항법, 자세제어 및 통합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장치로 9개의 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상은 Fig. 2의 (좌)와 같다.
비행제어장치는 ‘전원 및 신호를 연결하는 좌/우측 모기판 및 내부배선 2종’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보드(PWR)’, ‘관성측정장치(IMU)와 GPS 수신신호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GPS수신보드(GRC) 및 통합항법보드(INC)’, ‘유도조종 알고리즘 생성 및 구동명령 생성하는 유도조종보드(GCC)’, 플래퍼론 구동기 및 전개서보모터
구동 알고리즘 및 제어를 수행하는 구동제어보드(ACC), 구동보드(DRV) 및 전개구동보드(DDC)’, 항공기 조종사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유도조종보드로 전달하는 자료송수신(DTC)’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도는 Fig. 3의 (좌)와 같다.
비행제어장치 재설계는 외관 및 펌웨어는 동일하게 유지하였고, 하우징 형상 변경으로 무게는 소폭 증가되었다. 보드(회로카드)와 내부배선을 그룹별로 통합성을 고려하여 보드 장착 방향을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변경하였으며 진동/충격으로 보드파손 방지를 위한 지지대를 추가하였다. ‘좌/우측 모기판, 내부배선 2종을 모기판통합보드로 통합’, ‘유도조종보드, 통합항법보드, GPS수신보드를 유도항법보드로 통합’, ‘구동제어보드, 구동보드, 전개구동보드를 구동제어보드로 통합’하였으며, ‘DTC와 PWR’은 외관만 재설계하였다. 재설계 형상  Fig. 2의 (우), 구성도는 Fig. 3의 (우)와 같다

​2 전개서보모터 및 플래퍼론모터 재설계​
전개서보모터는 투하 후, 날개 전개를 위한 DC모터이고, 플래퍼론 모터는 활공 시 자세 제어를 위한 BLDC모터이다.
전개서보모터 재설계는 ‘모터케이스 일체화를 통한 조립방법 간소화’ 및 ‘브러쉬홀더 조립체의 정류자 소형화’를 Fig. 4와 같이 수행하였다.

플래퍼론모터 재설계는 ‘모터케이스의 용접구조로 변경’ 및 ‘축 일제화 가공’, ‘자석접착 공정 개선’을 Fig. 5와 같이 수행하였다.
​3. 지상실험​

재설계한 구성품 검증을 위해 상용GPS수신개조키트 품질보증요구서와 KGGB 개발 시험 시 수행한 시험 항목을 일부 준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시험 항목은 저장, 운용, 고도, 습도, 충격 및 진동 등의 환경시험과 차량시험, Intra-EMC 시험이며, 각 시험의 결과는 모든 요구 조건을 충족하였다.
또한, 비행시험에 앞서 재설계 구성품과 기존의 구성품과의 작동성능 검증을 위해 아래와 같이 HILS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정상임을 확인하였다.
​4.비행시험 ​
계획된 비행시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항공기 투하 후, 표적 지점까지 비행정보 획득은 체이서기를 통해 KGGB 분리 및 일정 지점까지의 활공 상황을 POD로 촬영하였고, 탄착 정보는 표적지 근처에 설치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였다. KGGB가 사전 계획한 임무에 따라 비행 후, 아래처럼 표적지에 명중함을 확인하였고, 정확도가 매우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태지2 22-09-25 13:53
   
과거 군은 500LB, 1000LB, 2000LB 중에서 500LB급이 아니라! 2000LB급을 원했었는데....
더불어 생산업체와 군의 분쟁도 있었지요.
군의 약속 변경 요구에 생산업체는 그러면 설계부터 다시 해야 한다고 했었고...
그래서 군은 이스라엘과 미국으로부터 키트를 수입했었는데...

윗 본문에 이런 글이 있네요
"해외 유사 무기체계 대비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해 가격 경쟁력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500LB급을 판매 할 곳이 있다는 얘기인데, 읽다가 말았는데... 어느 곳인지는 안 나와 있는 것 같네요.
     
범내려온다 22-09-25 14:15
   
조선족 가생이 담당 왔는가?
          
도나201 22-09-26 15:13
   
저 아뒤하나로 ... 4명이 돌려가며 사용하는데.
지금 이놈은 팀장급이네요.....

어이 팀장 오랜만....  자료조사가 시급하네....... 좀 알아봐라.  인터넷 몇군데 뒤지면.
바로 나올국가들이다.  총 6개국...  힌트준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만의선택 22-09-25 14:42
   
엔지니어분들 열악한 환경에서도 정말 개고생들이심.
zaku 22-09-25 22:13
   
왜 '많은 실전' 일까? ㅋㅋㅋ
기가듀스 22-09-25 23:36
   
이젠 사우디에서 신제품 테스트까지 하나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