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7-22 16:35
[기타] [펌] 올해 한국의 인공위성 발사 계획
 글쓴이 : 노닉
조회 : 5,943  



아나시스-2가 성공적으로 발사 됐지만 거의 외국에서 수입한 수준임


하지만 올해 10월15일, 2번째 인공위성 발사 이벤트가 있음




CAS500-1라 불리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 





항우연과 KAI가 제작한 지구관측위성으로 500kg급 인공위성임. 현재 제작완료하고 러시아로 날아갈 준비중


현재 해상도 0.55m의 아리랑3A호와 해상도는 거의 동일하고 무게는 3분의 1정도로 줄임




사실 해상도의 핵심은 카메라의 반사경인데 아리랑 3A호의 800mm 반사경 보다 200mm 줄어 600mm 반사경을 탑재했음에도 고해상도 영상을 찍을 수 있음

(반사경을 많이 넣는 높은 기술력을 쓴듯)



암튼, 이런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러시아 소유즈 로켓에 실어 발사할 예정임


위성을 국토부에서 활용한다고 하지만 사실상 성능은 정찰위성이랑 다를바 없음 (아마 국정원에서 또 쓰겠지)


여기에 차세대중형위성 2호도 현재 제작중임 (1호와 동일한 스펙)


이건 항우연이 감독역할만 하고 KAI가 제작하게됨


항우연의 기술을 민간에 넘기는거지


2호는 아마 내년에 발사하지 않을까 싶음



3,4,5호는 현재 개발중

산림, 환경부, 기상청 에서 운용할듯



(P.S : 군용 정찰위성 사업인 '425사업'과는 다른 사업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316999&_rk=urT&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ype45 20-07-22 16:42
   
아리랑3A 중량이 1.1톤이라, 1/3이 아니라 절반 수준이네요.
코기주인 20-07-22 16:54
   
요즘은 위성 관련 기술의발전으로 고해상도의 소형 인공위성이 가능해서

일본도 정찰 위성을 소형화 하는 추세고 미국도 소형화하는 추세라 트랜드가 점점 소형화 추세로 가는것 같습니다.
모나미펜 20-07-22 16:57
   
차세대 중형 위성 3호는 누리호에서 쏘아 올리나 보네요
어떤 연구자 분이 우리 땅에서 우리 발사체로 우리 위성을
쏘아 올릴 날이 머지 않았다고 하신걸 봤었는데
연구진 여러분들의 노고로 한발짝 두발짝 다가가네요.
Jenkins 20-07-22 17:07
   
임무수명이 4년 밖에 안 되는 고가의 소모품이기 때문에 부피와 중량을 줄여 발사비용을 낮추는것이 다수의 인공위성을 지속적으로 운용하는데 있어 부담을 많이 줄여주겠죠.
유랑선비 20-07-22 17:43
   
3호부터는 국산발사체로 쏘아올리는군요.!
도나201 20-07-22 18:00
   
프랑스 발사체하고 마찰이 있어서 이것도 늦어진 것이라고.
이미 국내통신위성개체는 개발되어서........상당기간 방치 수준이였다고 하던데.....
오순이 20-07-22 18:19
   
수명이 4년인가요 헐..
전송속도는 생각보다 빠르네요 반기가 정도 될 듯.
워낙 고화질이라  속도가 어느 정도 되야 원활할지는 모르지만요.
     
새끼사자 20-07-22 18:40
   
아리랑3A도 임무수명 4년으로 되어 있어요. 15년도에 올라갔으니 햇수로는 5년째네요...보통 연료 아껴 쓰고 그래서 10년이상은 쓰지요.
Unicorn 20-07-25 07:20
   
한 발 한 발 걸어서 나아가는 수밖에 없죠.

경험은 하나 하나 쌓여서 만들어지는 거지 뛰어 넘어 생기는게 아니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