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9-01 21:52
[잡담] 중국의 해상봉쇄 사례
 글쓴이 : 아그립파
조회 : 2,600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unkbear02&logNo=140208569991&proxyReferer=https:%2F%2Fm.search.naver.com%2Fsearch.naver%3Fpage%3D2%26query%3D%25EC%25A4%2591%25EA%25B5%25AD%2B%25ED%2595%25B4%25EC%2583%2581%25EB%25B4%2589%25EC%2587%2584%26sm%3Dmtb_pge%26start%3D1%26where%3Dm_web

ㅡㅡ
필리핀이 실효지배하고 있던 스카버러섬에 대한 중국 해군의 기습적인 해상봉쇄 이후 결국은 중국으로 지배권이 넘어가버린 사건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그립파 21-09-01 21:53
   
     
메니멀 21-09-01 23:30
   
저건 해상봉쇄랑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저건 불법점유 에 가깝죠

해상봉쇄는 불법점유랑 비교도 안되고 골치아픈 사안입니다
과거 2차 대전때 독일이 잠수함으로 영국을 해상봉쇄한 이후로 해상봉쇄는 현대에는 불가능한 선택옵션입니다
그 이유는 국제법상 “무해통항권” 이 보장되기에 한개 국가가 임의로 공해를 통행해라 마라 할 권리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만일 진짜루 해상봉쇄를 한다면 그건 국제법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게 됩니다. 미국을 제외한 어떤 나라도 할수 없는 짖이죠

그나마 20세기에 해상봉쇄에 가까운 시도를 한건  “시드라만 사태” 의 리비아의 행위가 있는데….

그당시 미국이 그 “해상봉쇄스런 어거지” 를 깨부순게 뭔지 아세요?
그게 바로 “항행의 자유 작전” 이에요

요즘 중국이 설치는거 참교육시키는 그게 원래 그거에요

원래부터 해상봉쇄를 깨는게 항행의 자유작전이고 지금 미국이 열심히 하고 있는거라구요

즉, 중국의 해상봉쇄가 두려우면 항모니뭐니 난리칠게 아니고 미국의 항행의 자유작전에 같이 힘을보태면 간단히 해결되는 겁니다
          
아그립파 21-09-01 23:47
   
원용 기사인 Defence news에 명백히 China' blockade 라고 '해상봉쇄'라는 단어를 씁니다만.
          
달빛대디 21-09-02 08:16
   
거 참......쿠바사태 때 미국이 해상봉쇄 했었다니까요.

누가 민간선박을 봉쇄한게 아니니 해상봉쇄가 아니라고 궤변까지 늘어놓던데, 팩트 자체도 틀린게 소련이 핵미사일 등을 쿠바에 반입할때 감시를 피하기 위해 민간선박으로 위장해서 반입시도하니까 민간선박까지 다 막아버렸죠.

막말로 한 국가가 다른 나라의 해상교통로를 방해할때 누가 "우리 불법 저지릅니다~" 이러고 봉쇄한답니까. 

그럴듯한 핑계를 만들어서 봉쇄하지.

일본이 수출규제할때 뭐라고 핑계대면서 수출규제 했었죠? 

그건 뭐 합법이었습니까..ㅋㅋㅋㅋㅋ..


해상봉쇄는 현대에서 불법이라서 절대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무지하거나, 순진하거나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누구보다 밀리터리 분야에  조예가 깊은 매니멀님이라면

전쟁은  유사시를 대비한 것이고, 

그 유사시란게 대부분 불법적인 행위로 일어나게 된다는거 잘 아실텐데 말이죠?
야구아제 21-09-01 22:11
   
필리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그립파 21-09-01 22:19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
ㅋㅋㅋㅋ은 몇개 써놓고 복붙하는건가요,
아님 일일이 다 치는 건가요?
님 스타일을 보면 일일이 다 칠 것 같기도 하고ㅋ
          
야구아제 21-09-01 22:24
   
누리고 있었는데요?
               
아그립파 21-09-01 22:25
   
아하 컴으로 치셨구만~ 다행입니다.
손가락은 소중하죠ㅋㅋ
                    
야구아제 21-09-01 22:27
   
아, 웃은 이유는 필리핀 해군력 때문입니다.
                         
아그립파 21-09-01 22:31
   
1,000톤급 이상 해군전력을 비교해보자면 한국 역시 중국의 17% 전력에 불과합니다.
필리핀보다야 물론 나은 수준이긴 합니다만..
                         
야구아제 21-09-01 22:32
   
지금 우리 해군과 필리핀 해군을 비교하신건가요? 그건 좀.....
                         
아그립파 21-09-01 22:36
   
비교는 아니구요.
우리 해군력이 주변국에 비하면 그리 안심할 수준은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야구아제 21-09-01 22:37
   
안심할 수준이 아닌 것과 필리핀의 예는 서로 연결 고리가 작은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아그립파 21-09-01 23:03
   
일리있는 얘기십니다.
현대사에 있어 실효적인 해상봉쇄 사례가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진 분들이 계셔서 참고삼아 보시라고 올린 글입니다.
                         
야구아제 21-09-01 23:08
   
중국의 한국 해상 봉쇄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으나 제가 제기한 내용이 아니므로 노코멘트 하겠습니다.
에이테킴스 21-09-02 03:16
   
사실... 항모 그리고 해상 봉쇄 이야기가
나오면,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에 대해
논의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제가 항모 보유에 부정적인 이유 중 가장
큰 것이 바로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의 개발
및 배치 입니다.

아직 그 성능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막을 방법도 사실
없습니다.

그만큼 항모의 활동범위는 위축 되겠고...
특정 해상에서 머물면서 선박을 검문하고
나포하는 행위가 가능할까? 라는 생각...

우리 잠수함에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 로딩
해서 타켓과 200키로 정도 떨어진 곳 물 속
에서 연달아 세 발 정도 쏴 주면...

아직 그 실체가 불분명해서 단정지어 말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현존하는... 과거에는
없던 신형 무기 체계라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을
빼고 항모나 해상 봉쇄에 대해 이야기 할 수는
없지 않을까요?
     
아그립파 21-09-02 07:36
   
충분히 있음직한 얘기십니다.
한국 역시 야혼트를 기술개량해 마하3수준까지 완성했죠.

그러나 이에 대한 해법 역시 결국 강구되지 않을까 싶네요.
40mm대공포에서 CIWS로 발전해왔듯 함정의 대응체계 역시 발전해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래는 관련주제에 대한 이춘근박사의 인터뷰 내용 인용문입니다.

ㅡㅡㅡ

전쟁사를 전공한 국제정치학자 이춘근 박사는 “전쟁사와 무기발달사를 보아도 어뢰가 발명되었을 때 전함의 시대가 끝났다고 여겨졌고, 잠수함이 발명됐을 때도 이미 항공모함의 시대는 끝났다고 여겨졌다.

대전차미사일이 개발됐을 때 탱크의 시대는 끝났다고 여겨졌고,
지대공미사일이 발명되었을 때 전투기의 시대는 끝났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아직도 탱크와 전투기, 항공모함은 그대로 존재하고 있다”며
“중국의 둥펑(東風) 시리즈 DF-21, DF-21A, DF-21D, DF-26, DF-31, DF-41 등과 같은 사거리 1500~5000Km에 이르는 ASBM(Anti-Ship Ballistic Missile : 대함탄도미사일)과 IRBM(Intermediate Range Ballistic Missile : 중거리탄도탄미사일)의 개발은 항공모함이 막아야 할 무기의 종류가 하나 더 추가된 데 불과하다”고 밝힌 바 있다.